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367 vote 0 2019.06.29 (19:26:16)

  

    판타지 만화라면 세계관부터 설명하고 들어가는 게 보통이다. 게임을 하더라도 마찬가지다. 세계관을 모르면 작품에 몰입할 수 없다. 어벤져스를 보더라도 1편부터 봐야 한다.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의 세계관을 모르면 영화를 즐길 수 없다. 영화라면 장르라 하겠다. 판타지 영화를 사실주의 영화를 보는 관점으로 논하면 안 된다.


    코미디 영화를 두고 고증이 틀렸다고 시비하면 안 된다. 통째로 거짓말인 서부영화를 두고 역사적 사실과 안맞다고 따지면 넌센스다. 우리가 세상을 바라보는 지점에 대해서도 근본적인 장르의 차이를 포착할 수 있다. 어떤 사람에겐 세상이 스릴러고 어떤 사람에겐 세상이 멜로다. 좋아하는 장르가 다르면 대화는 거기서 막힌다. 


    진보와 보수는 세계관이 다르다. 장르가 다르다. 인생의 방향이 다르다. 무대가 다르고 게임이 다르다. 많은 경우 세계관이 다른 사람과의 대화는 의미없다. 나는 민화투를 치고 있는데 상대방은 고스톱을 치고 있다면 파토나고 만다. 먼저 세계관을 맞추어야 한다. 남을 이겨먹으려는 자세를 가진 사람과의 대화는 피하는 게 맞다. 


    나를 적대하는 사람과 대화할 이유는 없다. 대화는 아이디어를 공유하자는 것인데 이익을 독점하려는 자와 대화를 왜 하지? 사람을 의심하고 적대하고 어떻게든 약점을 찾아 이용하려는 사람과는 대화하지 않는 게 맞다. 나를 공격하는 사람인데 내가 왜 공격을 받아주지? 세계관을 일치시켜 한편이 되어야 대화자리가 세팅된다. 


    공유의 세계관이냐, 대결의 세계관이냐다. 세상을 보편성으로 보고 연속적으로 보는가 아니면 세상을 특수성으로 보고 불연속으로 보느냐다. 세상이라는 큰 무대로 나아가려고 하는가, 아니면 자기방어에 골몰하는가다. 세상의 중심으로 전진하기 위해 공부하고 무기를 획득하지만 어느새 그것을 자기방어에 쓰는 현실을 보게 된다. 


    지식을 쌓든, 친구를 사귀든, 기술을 배우든, 돈을 벌든, 명성을 얻든 그것은 변방에서 일어선 그대가 세상의 중심으로 나아가는데 필요한 수단에 다름 아니다. 그러나 대개 도중에 주저앉아 좌판을 벌이고 장사하는 추태를 부린다. 지식도 동료도 기술도 돈도 명성도 시골에서 틈새시장 열고 권력을 오로지 하는 수단으로 사용한다.


    그대는 세상의 어디까지 가보았는가? 진리의 기슭까지 가보기는 했는가? 노다지를 찾아 금광으로 간다고 기세 좋게 길을 나섰다가 어느새 지나가는 광부들에게 청바지를 팔고 있는 자신을 보게 된다. 대화할 수 있는지다. 세상의 중심으로 쳐들어갈 의사가 없는 사람과는 의미 있는 대화가 불가능이다. 애초에 장르가 다른 것이다.


    세상이 어떤 모습인지 그 이미지를 머릿속에 그려놓아야 한다. 세상이 어떤 식으로 돌아가는지 그 이미지를 가지고 시뮬레이션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어떤 판단을 할 때마다 그 근본적인 이미지에서 아이디어를 빼서 쓰는 것이다. 사건의 메커니즘을 복제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점검하는 것이다. 세계관은 거기서 조직되는 것이다.


    모든 아이디어의 자궁이 되는 무한복제의 원본 이미지를 갖추고 있어야 한다. 그것이 갖추어졌다면 진지한 대화의 상대로 인정할 수 있다. 그 이미지가 없다면 어른들의 대화에 끼워줄 수 없다. 처음 시작점이 다르면 간격은 터무니없이 벌어진다. 다시 화해할 수 없다. 세계관이 정립되어 있어야 한다. 가던 길을 계속 갈 수 있다.


    다른 사람의 아이디어를 흡수할 수 있고 동료의 임무를 대신할 수 있다. 동료와 기쁨을 나눌 수 있다. 아이디어를 공유할 수 있다. 먼 길을 함께 갈 수 있다. 장개석이 모택동에게 패하고 남베트남 정권이 공산군에게 패한 것은 세계관이 다른 자가 억지로 동맹했기 때문이다. 방어할 수 있을 뿐 공격할 수 없다. 한순간에 무너진다. 


    구조론연구소를 방문한 사람은 먼저 구조론의 세계관을 배워야 한다. 동료가 되어야 한다. 임무를 맞춰야 한다. 자신의 그릇된 세계관을 유지한 채로 아이디어만 빼가겠다는 생각을 가진 사람과는 대화할 수 없다. 그들은 적이다. 배척되어야 한다. 생각이 다른 것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방향이 다르다면 적대행동이 된다. 




[레벨:1]지소장

2019.06.29 (20:21:23)

"모택동이 장개석에게 패하고"
오타 아닌지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9.06.29 (21:30:01)

감솨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수원나그네

2019.06.30 (04:32:27)

공유의 세계관이냐, 대결의 세계관이냐다. 세상을 보편성으로 보고 연속적으로 보는가 아니면 세상을 특수성으로 보고 불연속으로 보느냐다. 세상이라는 큰 무대로 나아가려고 하는가, 아니면 자기방어에 골몰하는가다. 세상의 중심으로 전진하기 위해 공부하고 무기를 획득하지만 어느새 그것을 자기방어에 쓰는 현실을 보게 된다.

지식을 쌓든, 친구를 사귀든, 기술을 배우든, 돈을 벌든, 명성을 얻든 그것은 변방에서 일어선 그대가 세상의 중심으로 나아가는데 필요한 수단에 다름 아니다. 그러나 대개 도중에 주저앉아 좌판을 벌리고 장사하는 추태를 부린다. 지식도 동료도 기술도 돈도 명성도 시골에서 틈새시장 열고 권력을 오로지 하는 수단으로 사용한다.

그대는 세상의 어디까지 가보았는가? 진리의 기슭까지 가보기는 했는가? 노다지를 찾아 금광으로 간다고 기세좋게 길을 나섰다가 어느새 지나가는 광부들에게 청바지를 팔고 있는 자신을 보게 된다. 대화할 수 있는지다. 세상의 중심으로 쳐들어갈 의사가 없는 사람과는 의미있는 대화가 불가능이다. 애초에 장르가 다른 것이다.

세상이 어떤 모습인지 그 이미지를 머리 속에 그려놓아야 한다. 세상이 어떤 식으로 돌아가는지 그 이미지를 가지고 시뮬레이션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어떤 판단을 할때마다 그 근본적인 이미지에서 아이디어를 빼서 쓰는 것이다. 사건의 메커니즘을 복제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점검하는 것이다. 세계관은 거기서 조직되는 것이다.

모든 아이디어의 자궁이 되는 무한복제의 원본 이미지를 갖추고 있어야 한다. 그것이 갖추어졌다면 진지한 대화의 상대로 인정할 수 있다. 그 이미지가 없다면 어른들의 대화에 끼워줄 수 없다. 처음 시작점이 다르면 간격은 터무니없이 벌어진다. 다시 화해할 수 없다. 세계관이 정립되어 있어야 한다. 가던 길을 계속 갈 수 있다.

다른 사람의 아이디어를 흡수할 수 있고 동료의 임무를 대신할 수 있다. 동료와 기쁨을 나눌 수 있다. 아이디어를 공유할 수 있다. 먼 길을 함께 갈 수 있다. 장개석이 모택동에게 패하고 남베트남 정권이 공산군에게 패한 것은 세계관이 다른 자가 억지로 동맹했기 때문이다. 방어할 수 있을 뿐 공격할 수 없다. 한 순간에 무너진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19.06.30 (08:52:10)

"생각이 다른 것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방향이 다르다면 적대행동이 된다."

http://gujoron.com/xe/1101984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6994
2517 인간은 왜 자유의지를 추구하는가? 1 김동렬 2019-03-04 3334
2516 마음이 좋더라 2 김동렬 2019-03-05 3779
2515 마음의 마음 2 김동렬 2019-03-07 3375
2514 사랑은 말로 표현할 수 없다 1 김동렬 2019-03-08 4052
2513 우주의 처음을 사색하자 3 김동렬 2019-03-09 3580
2512 나쁜 남자와 나쁜 여자 3 김동렬 2019-03-10 4119
2511 진정한 만족감은 어디서 오는가? 1 김동렬 2019-03-11 3764
2510 인간의 행동에는 이유가 없다 5 김동렬 2019-03-11 3691
2509 정준영은 왜 그랬을까? 2 김동렬 2019-03-12 4623
2508 인간에게 자아가 있는가? 1 김동렬 2019-03-13 4445
2507 프로이드의 욕망 1 김동렬 2019-03-14 4106
2506 사랑은 방해자를 밀어내는 것이다. 1 김동렬 2019-03-15 3535
2505 핑크 플라맹고의 비극 image 2 김동렬 2019-03-15 3541
2504 예수 마르크스 샤르트르 까뮈 3 김동렬 2019-03-17 3728
2503 무심은 유심이다 1 김동렬 2019-03-18 4375
2502 사랑은 척력이다 1 김동렬 2019-03-19 3723
2501 마음의 변화 2 김동렬 2019-03-20 4799
2500 이 순간을 이겨라 2 김동렬 2019-03-22 4325
2499 고통은 없다 2 김동렬 2019-03-24 4355
2498 개겨야 산다 5 김동렬 2019-03-25 3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