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9]systema
read 1529 vote 0 2019.06.20 (23:22:41)

세상은 사건으로 이루어져 있다. 사건은 구조동일성을 가진다. 그렇다면 모든 리더는 구조적으로 동일한 의사결정의 문제에 직면한다. 어떤 조직이든 그 조직의 배후지를 확보하는 것이 제 1법칙이다. 배후지가 없으면 조직은 망가지기 시작한다. 두번째는 상부구조의 균일화 문제이다. 질 단계에서 계급, 인종, 지역, 종교 간 차별이 존재하면 치명적이다. 역으로 인종이나 지역이 다르더라도 하나의 이념이나 하나의 미학으로 강력하게 묶여야 산다. 입자와 힘은 편제의 문제이다. 권력을 어디까지 나누면서 어떻게 통제할 것이냐다. 입자가 강한조직이 좋은가 힘이 강한 조직이 좋은가는 수비냐 공격이냐 지리적구조가 어떻게 되냐에 따라 다르다. 수비는 입자가 강해야 되고 공격은 힘이 강해야 한다. 산업을 예를 들자면 산업 후기에는 방어에 강해야 하고 산업초기에는 공격에 강해야 한다. 후기에는 배후지 변화가 없으므로 비용절감으로 굳히기에 들어가고 초기에는 새로운 배후지가 계속해서 나오므로 빠른 방향전환이 필수이다. 전쟁의 법칙은 신속한 돌파로 유리한 포지셔닝을 차지한 다음 굳히기로 말려죽이기다. 현장에서 신속대응을 위해서는 중간편제인 장교에 권한을 줘야 한다. 산업후기에 대기업이면 보고에 또보고를 해서 리스크를 줄이는게 맞고, 벤처는 빠른대응을 하는게 맞다. 


왜 선진국으로 갈수록 중산층이 두꺼우냐가 문제가 되는지 생각해볼바다. 후진국은 차관을 땡겨서 인프라나 교육에 투자하고, 계획은 최상부에서 계획경제로 기반산업과 기반기술에 투자하는게 맞다. 선진국은 공격을 해야한다. 공격이 방향전환이다. 금융이든 제조업이든 패션이든 현장에서 환경변화를 읽고 대응해야하는데 중간계층이 없으면 현장에서 최상부층으로 정보의 피드백이 되지않는다. 


결론은 리더는 조직의 진화형 생존구조를 셋팅하는 동일한 문제를 해결해야 하며, 복제의 원본이 되는 핵 - 전천후 플레이어- 리더가 존재하고, 핵을 복제해서 각 단위에서 판단 결정 실행을 할수 있는 편제를 구축한 다음 실전 경험을 쌓아야 한다. 

문명의 진보는 상대가 강하냐 약하냐는 상대성의 문제가 아니라, 아군을 어느정도까지 동원해서 통제할수 있느냐는 절대성의 문제로 회귀한다. 어느 사회의 엘리트든 구조적으로 동일한 문제에 직면해 있고, 사회의 진보라는 해결책은 인류단위로 전파되기 때문에 인류는 이미 한팀이라고 볼 수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고민하는 것이나 메르켈이 고민하는 것이나 구조적으로는 같은 문제라는 것이다. 


한 사회나 조직에 있어서 치명적인것은 그 복제의 원본이 될 핵이 몇명이냐 존재하냐는 것이다. 그 한명이 없는 조직은 치명적으로 무너진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19.06.21 (04:29:23)

"리더는 조직의 진화형 생존구조를 셋팅하는 동일한 문제를 해결해야"

---> 원본이 되는 핵이 존재하는가? 만들어지는가? 

---> 그리고 그 핵이 복제될 수 있는 임계점까지 어떻게 버틸 것인가?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2788
2047 쉬어가며 읽는 글: 서로 다른 관점이 낳는 오해의 예 2 기준님하 2009-07-21 5235
2046 관계와 소통 완벽정리 1 기준님하 2009-07-21 4624
2045 하나의 일을 완성하는 원리 6 이기준 2009-07-21 4696
2044 노무현이 죽는 이유 그리고 우리가 필승하는 방법 4 이기준 2009-07-22 5004
2043 쉬어가며 읽는 글: 우리는 왜 자본주의를 해야하는 거죠? 기준님하 2009-07-23 5003
2042 사회체제 속에 숨은 진실 1 기준님하 2009-07-23 4502
2041 이 세상은 왜 혼란스러운가 2 기준님하 2009-07-23 4478
2040 '기준님하'의 '노무현이 죽는 이유에' 대한 댓글. 3 눈내리는 마을 2009-07-24 4990
2039 구조론을 적용한 질적 연구방법론 3 오세 2009-07-24 5530
2038 신자유주의를 극복하는 방법 3 기준님하 2009-07-24 5117
2037 서로 다른 관점을 이용하는 방법 1 기준님하 2009-07-25 5167
2036 신기술 세력이 주종 관계를 극복해야 한다. 3 기준님하 2009-07-25 6341
2035 인터넷, 인류 진보. ░담 2009-07-27 6275
2034 앞으로 연구방향에 대해서 알림 1 기준님하 2009-07-29 5209
2033 구조론적인 사고법 3 김동렬 2009-07-29 6183
2032 이런 저런 대화 지여 2009-08-05 5699
2031 [질문] 왜 죽었다는 뜻으로 '깨(께)팔러 갔다'고 하는지? 10 우야산인 2009-08-13 14607
2030 예술이란 무엇인가? image 2 양을 쫓는 모험 2009-08-28 6155
2029 굿바이 송진우 눈내리는 마을 2009-08-31 5774
2028 조형창작교육 개괄 3 ahmoo 2009-09-08 4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