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407 vote 0 2019.06.13 (17:16:18)

    

    1) 우주에는 끊어지는 것과 합쳐지는 것만 있다.


    2) 끊어짐은 선의 한 지점이 끊어지고 합쳐짐은 두 지점이 이어져 선을 이룬다.


    3) 한 점이 끊기므로 끊어짐의 비용은 1이고 두 지점이 이어지므로 합쳐짐의 비용은 2다.


    4) 사건은 최초 연결된 상태에서 시작하므로 먼저 끊어지고 그다음에 합쳐진다.


    5) 자연에서 우연히 끊어질 확률이 우연히 합쳐질 확률보다 높다.


    6) 합쳐진 상태가 끊어진 상태보다 에너지가 높으므로 사건은 합쳐진 상태에서 시작되어 끊어지는 상태 쪽으로만 일어난다.


    7) 합쳐진 것은 스스로 끊어질 수 있지만 끊어진 것은 스스로 합칠 수 없다.


    8) 합쳐진 것은 2로 존재하므로 끊어지는데 드는 비용 1을 조달할 수 있다.


    9) 끊어진 것은 1로 존재하므로 합치는데 드는 비용 2를 자체 조달할 수 없다. 


    10) 2 안에는 1이 있지만 1 안에는 2가 없다.


    11) 2는 1 +1로 쪼개질 수 있지만 1은 어떤 경우에도 2가 될 수 없다.


    12) 사건의 출발선에서 모두 이어져 있으므로 사건은 무조건 끊어지는 방향으로 일어난다.


    13) 이어져야 에너지가 전달되며 에너지가 전달되어야 사건이 일어난다.


    14) 무언가 1을 합치면 보이지 않게 뒤에서 2가 끊어진다.


    15) 부모와 끊지 않고 파트너와 합칠 수 없다.


    16) 이미 가족과 합친 상태에서 추가로 1을 더 합치면 보이지 않게 부인이나 남편에다 자식까지 2가 끊어진다. 


    바둑을 두어도 이기는 쪽은 대마가 전부 연결되어 있고 지는 쪽은 곳곳에 끊어져 있다. 끊어진 것을 잇는 데는 2의 비용이 들지만 이어진 것을 끊는 데는 1의 비용이 들기 때문에 끊어진 쪽이 진다. 이기는 방법은 간단히 상대방의 연결을 끊는 것이다.


    이때 나는 바둑알 하나로 슬쩍 들여다봐서 상대의 연결을 끊지만 상대방은 최소 두 번을 두어서 막으므로 한 집 손해본다. 그 손해가 조금씩 쌓여 지는 것이다. 엔트로피가 바둑에도 적용된다는 점을 모르는 사람은 엔트로피를 아는 사람이 아니다. 


    엔트로피는 거의 모든 것에 적용된다. 선거를 해도 내 지지자 한 명을 붙이기보다 상대방 지지자 두 명을 떼기가 쉽다. 이낙연과 황교안이 대선에서 대결한다면 이낙연 지지자를 모으기보다 황교안 지지자를 떼는 것이 비용이 적게 들어간다. 


    황교안은 붙이기를 한다고 박빠부대를 끌어당긴다. 태극기부대 한 명을 잡을 때 중도파 두 명이 떨어져 나간다. 당연히 망한다. 중도파를 잡겠다고 선심공약을 써봤자 잡히지 않는다. 상대방을 갈라치기 하면 중도파는 저절로 이쪽에 들어와 있다. 


    엔트로피는 간단하고 쉽다. 게다가 적용되지 않는 분야가 없다. 엔트로피는 배우고 3분 안에 현장에서 바로 써먹을 수 있어야 한다. 커플이 깨지는데 드는 비용이 1이라면 솔로가 커플로 되는데 드는 노력은 2다. 당연히 깨지기가 더 쉬운 것이다.


    잘 깨지지 않는 그룹도 있지만 잘 살펴보면 그런 고립주의 집단은 사방에서 깨져 있다. 북한은 자기네들끼리 뭉쳐 있지만 주변국 모두와 틀어져 있다. 2를 잃지 않고 1을 얻을 수 없다는 게 자연의 법칙이다. 이왕 잃어야 한다면 잘 안 쓰는 것을 잃자.


    바로 그것이 구조론이다. 잘 찾아보고 내게 필요 없는 것을 버리면 쓸만한 것을 얻게 된다. 게임을 할 시간 2를 버리면 성적 1을 얻는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19.06.14 (03:11:08)

"2를 잃지 않고 1을 얻을 수 없다는게 자연의 법칙이다. 이왕 잃어야 한다면 잘 안 쓰는 것을 잃자."

http://gujoron.com/xe/1097255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5143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4917
1270 성선택설은 가짜다 2 김동렬 2020-03-20 3238
1269 구조와 대칭 김동렬 2021-04-15 3237
1268 아베 총격범 야마가미 김동렬 2022-07-11 3236
1267 진화론과 창조설의 사기 image 2 김동렬 2019-11-18 3234
1266 노무현과 문재인의 운명 김동렬 2023-04-18 3233
1265 조국백서의 의미 2 김동렬 2020-08-12 3231
1264 신과 나누는 이야기 김동렬 2022-03-15 3230
1263 인공지능 회의론 1 김동렬 2020-01-27 3230
1262 전략균형론 1 김동렬 2020-12-06 3229
1261 왜 왜가 문제냐? 2 김동렬 2020-07-22 3229
1260 자유의지의 의미 김동렬 2021-10-25 3227
1259 바보야! 답은 재용이다. 김동렬 2020-09-18 3226
1258 세상은 하나다 3 김동렬 2019-12-08 3225
1257 다윈이 틀렸다. 3 김동렬 2020-11-22 3223
1256 구조론의 유래 2 김동렬 2019-12-13 3223
1255 본질과 현상 그리고 만남 1 김동렬 2019-12-06 3223
1254 1은 없다. 2 김동렬 2019-10-25 3223
1253 사건의 세계관 1 김동렬 2021-04-27 3221
1252 동원이란 무엇인가? 1 김동렬 2020-07-26 3220
1251 석가의 깨달음 김동렬 2024-01-25 3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