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779 vote 0 2019.06.09 (10:10:51)


    에너지의 통제가능성


    에너지는 스스로 움직이지만 대칭에 막힌다. 대칭으로 막힌 것은 호응으로 풀린다. 에너지의 대칭과 호응이 만유의 씨줄 날줄이 된다. 돌은 구르다가 다른 돌에 막히고 자갈은 구르다가 다른 자갈에 막힌다. 돌은 돌끼리 모여 있고 흙은 흙끼리 모여 있고 물은 물끼리 모여 있고 풀은 풀끼리 모여 있다. 그러므로 통제할 수 있다. 


    돌은 돌에 막혀서 돌끼리 모이고 흙은 흙에 막혀서 흙끼리 모이고 모래는 모래에 막혀 모래밭을 이룬다. 그러므로 퍼담으면 된다. 물은 물끼리 모여 있으므로 두레박으로 퍼 올릴 수 있고 흙은 흙끼리 모여 있으므로 삽으로 퍼담으면 된다. 통제하기 쉽게 정렬해 있는 것이다. 섞여 있으면 에너지를 투입하여 흔들어주면 분리된다.


    자연의 원심분리기 효과다. 다만 충분한 시간이 필요하다. 곧 호응이다. 물은 흘려보내면 풀린다. 돌은 굴려 보내면 풀린다. 흙은 무너뜨리면 풀린다. 대칭이 풀린다. 대칭을 조직하여 멈출 수 있고 호응을 조직하여 다시 움직일 수 있다. 공간에서는 두 다리를 벌려서 멈출 수 있고 시간에서는 두 다리를 움직여서 전진할 수 있다. 


    단 순서가 있어서 역주행은 안 된다. 역류할 수 없다. 항명할 수 없다. 멈춘 다음 움직이고 움직인 다음 멈춘다. 멈춤이 먼저고 움직임이 나중이다. 수비가 먼저고 공격이 나중이다. 선공을 해도 멈춘 상태에서 선공하는 것이다. 키스를 하더라도 멈추어야 한다. 달리면서 키스할 수 없다. 멈춤을 통해서 세상은 널리 통제된다. 


    에너지는 원래 움직인다. 겉보기로 멈추어 있다면 내부에서 움직이고 있는 것이다. 움직이면 충돌하고 충돌하면 이기거나 진다. 지는 것은 사라지고 이기는 것만 남아 있다. 대칭과 호응만 남아 있다. 효율적인 것만 남아 있다. 통제가능한 것만 남아 있다. 균일해져 있다. 사물 고유한 속성은 없고 구조의 통제가능성이 유일하다. 


    멈출 수도 있고 동시에 그 멈춤이 풀릴 수도 있다. 그러므로 일할 수 있다. 우리는 풀과 나무와 돌과 흙과 쇠붙이의 개별적인 성질을 파악하고 일일이 대응하려고 하지만 계의 통제가능성 위주로 파악해야 한다. 몰아서 한 방향으로 줄세워놓고 하나의 기준으로 파악해야 한다. 쇠붙이는 비중대로 줄 세우면 거의 드러난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19.06.09 (10:22:11)

"멈춘 다음 움직이고 움직인 다음 멈춘다. 멈춤이 먼저고 움직임이 나중이다."

http://gujoron.com/xe/1095896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498 약한 고리는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2-10-21 8526
2497 관계란 무엇인가 ? image 김동렬* 2012-10-21 11284
2496 상호작용의 밀도를 높여라 image 1 김동렬* 2012-10-21 8574
2495 의미를 버리고 관계를 얻어라 김동렬* 2012-10-21 9367
2494 캐릭터의 족보 image 김동렬* 2012-10-21 8638
2493 완전성이란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2-10-21 8675
2492 스타일은 자기다움이다 image 김동렬* 2012-10-21 9107
2491 삶의 인과법칙은 있다 image 김동렬* 2012-10-21 9154
2490 삶의 정답은 있다 image 김동렬* 2012-10-21 8386
2489 깨달음의 정답은 스타일이다 image 김동렬* 2012-10-21 8603
2488 깨달음에 정답은 있다 image 김동렬* 2012-10-21 8570
2487 깨달음의 문학 image 김동렬* 2012-10-21 8851
2486 깨달음의 족보 김동렬* 2012-10-21 8064
2485 관계를 깨달음 2 김동렬* 2012-10-21 8980
2484 관계를 깨달음 김동렬* 2012-10-21 8665
2483 깨달음은 이미지다 김동렬* 2012-10-21 9210
2482 깨달음은 스타일이다 image 김동렬* 2012-10-21 8686
2481 폐경이 있는 이유 image 김동렬* 2012-10-21 8955
2480 깨달음은 관계다 image 김동렬* 2012-10-21 8587
2479 깨달음 ~ Z까지 김동렬* 2012-10-21 93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