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우선 동렬님 쓰신 책 10권 가량은 거의 다 읽고, 게시판에 있는 예전글까지 거의 다 읽은 것 같습니다.

(2년 정도 걸렸습니다. 회사 생활 틈틈히 읽었네요. 팟캐스트 녹음실에도 18년 말, 19년 초에 몇 번 갔었습니다)


개인적인 질문이 하나 있습니다. 구조론적 관점에서의 해답을 찾고 싶습니다. 




어떤 의사결정을 내릴 때, 개인적으로 어떤 제약이나 규칙을 정해놓은 것이 있습니다. 


이 일은 절대 하지 말아라 라든가, 이 코스를 갈 때는 이렇게 이렇게 단계를 반드시 밟아라 같은 내용 말입니다. 


근데 제가 30대 중반 정도 되었는데, 사회나 가족으로부터 주입받은 이런 관념들이 반드시 절대규칙은 아니더군요. 



저는 오히려 삶과 세상을 현대적인 operational research(운용 과학)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이 맞는 것 같습니다. 


구조론에서 자주 사용하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동적인 시공간에서의 시스템적 확률싸움" 말입니다. 


그렇게 삶과 세상을 바라보기 시작하면서 제 인생이 많이 달라졌고, 지금도 변화하고 있습니다. 


변화하는 환경변수를 캐치하고, 전체적인 틀과 방향성을 보면서, 시스템적으로 리스크를 줄이고, 확률을 조금씩 높여나가는 방향으로 말입니다.



그런데 제가 마지막으로 부여잡고 있는 몇 가지 규칙들(스스로 세운)이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고정적 규칙이나, 추상적 틀에 얽매이는 것이, 구조론적, 시스템적, 전략점 관점에서 맞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마지막으로 이 규칙을 졸업하려하는데, 제 이런 의사결정이 과연 구조론적으로 맞는지 궁금합니다. 




써놓고 보니 좀 관념적이고 추상적인 글이 되어버렸는데, 추상에 강한 구조론 연구소 분들은 이해하시리라 생각합니다. 


미리 감사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9.06.07 (16:01:42)

야구선수들도 징크스가 있는데

스트레스를 줄이려고 하는 회피기동이지요.


즉 징크스를 믿는 플러스 통제가 아니라

마음이 어수선해지는 것을 막는 마이너스 통제입니다.


말하자면 사실은 징크스를 믿지 않는다는 겁니다.

그러므로 시합에 지면 바로 징크스를 바꾸는 것입니다.


이기면 그날부터 팬티를 안 갈아입거나 면도를 하지 않거나 하는데

어쨌든 거의 모든 선수들이 나름대로 루틴을 지키고 있습니다.


이치로는 평생 피자만 먹었다고 하는데 이것도 루틴이지요.

이치로가 바보라서 그런건 아니고 루틴이 흔들리면 파괴됩니다.


그러므로 여러가지 점에서 선을 그어놓고 지키는게 편하지요.

교회를 가는 이유도 그런 루틴과 기믹을 조달하려고 하는 것이고 


기믹은 자신은 어떤 사람이다 하고 자기규정을 하는 것이고

루틴은 야구선수가 타석에서 하는 안해도 되는 이상한 행동입니다.


류현진도 시합날은 3시간전에 할 일, 1시간 전에 할 일, 30분 전에 할 일이 정해져 있으며

그 동안에는 동료도 말을 걸지 않는데 무개념 한국기자나 방해를 하지요.


루틴이나 징크스나 기믹 중에 쓸데없는 것은 당연히 버려야 하지만

인간들이 거기에 집착하는 것을 보면 인간은 정신적으로 나약한 동물인 것이며


그것을 버리면 술을 먹거나 담배를 피우거나 도박을 하거나 게임을 하거나 

뭔가 사고를 치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그렇게 하는 것입니다.


제가 그런 지키는 선들을 버려라 마라 할 일은 아니고

다만 그것을 버리더라도 지키더라도 정확하게 알고 해야 합니다.


종교의 교리는 다 거짓말이고 인간에게는 캐릭터와 기믹과 

루틴과 징크스가 필요한 것이며 그게 심하면 강박증이나 정신병이 되는 것입니다. 


정신집중을 하고 하는 일에 전념을 하기 위해서는 규칙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강박증이나 편집증으로 발달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제가 강조하는 믿음이나 의리나 사랑이나 존엄이라는 것도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기믹일 수 있습니다.


그게 없으면 변덕을 부리고 기행을 하다가 사고를 치게 됩니다. 

인간은 그리 강한 존재가 아니므로 선을 그어 일부 포기하고 되는 것에 집중해야 합니다.

[레벨:9]회사원

2019.06.07 (16:30:46)

감사합니다. ^^

[레벨:2]말시인

2019.06.12 (17:45:56)

세상에, 이 댓글은 칼럼 한 편으로 그대로 올려주신다면 더 많은 사람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 같아요! 

징크스, 즉 귀여운 강박증은 
인간 행동의 불합리함을 다 면도해주는 
긍정적 역할을 하고 있는 거구낭ㅎㅎ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4912 따돌림 당하던 애가 따돌림을 면한 증거는? 이상우 2019-10-14 1535
4911 구조론 목요모임 image 오리 2019-10-10 1381
4910 타다의 무리수 1 챠우 2019-10-08 2096
4909 사모펀드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4 수원나그네 2019-10-07 1814
4908 구조론 방송국 재생 횟수 통계(최근 7일) image 5 오리 2019-10-06 1692
4907 반포대로의 한쪽 끝은 예술의 전당이고 다른쪽은 반포대교입니다. 챠우 2019-10-04 1901
4906 요즘 교사 이야기 4 이상우 2019-10-03 1836
4905 개천절 구조론 모임(6시로 앞 당깁니다) image 오리 2019-10-03 1413
4904 이춘재의 고딩시절 의혹 한 가지 3 락에이지 2019-10-03 3465
4903 더하기에 숨겨진 빼기 1 첫눈 2019-10-02 1495
4902 [공모] 영상제작 및 책자제작 (원전안전기술문제 아카데미) image 수원나그네 2019-10-02 1552
4901 걸스데이 유라 그림실력 2 말시인 2019-10-02 1958
4900 서초동 집회 참여합니다. 15 나나난나 2019-09-28 2399
4899 동렬님 질문 드립니다 1 우리보리깜디쪽 2019-09-26 1847
4898 구조론 목요모임 image 오리 2019-09-26 1404
4897 '사학비리' 봐준 검찰부터 개혁을 image 수원나그네 2019-09-24 1526
4896 ΛCDM 모형 르네 2019-09-23 1663
4895 가을에 동해안 걷기를~ 수원나그네 2019-09-22 1365
4894 평균의 종말 4 스마일 2019-09-20 1805
4893 구조론 목요모임 image 오리 2019-09-19 13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