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5]김미욱
read 1755 vote 0 2019.05.25 (14:42:54)

인류라는 단위가 출현한 이후 인류는 자연의 소통원리를 인류 질서의 근간으로 뇌에 세팅해온 바 그 자연의 질서를 인류의 시스템으로 환원하는 데 있어 언어만큼 강력한 도구는 없다고 생각한다.

구조론은 사고모형과 개념배열에 있어 어떤 학문과도 짝짓기가 가능하다는 보편성으로 인해 가히 인류의 '교과서'라 칭할 만하다. 데카르트가 이름 짓지 못하고 비트겐슈타인이 해내지 못한 일이다.

요즘 구조론에서 강조하는 '통제가능성'의 개념은 구조론의 맥락에서 볼 때 새로운 인류의 미래를 설계할 이상적 용어로 손색이 없다. 트럼프도 시진핑도 빠져나갈 구멍이 없다. 언어부터 통제하라.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5032 Carpe diem 비랑가 2013-11-12 12426
5031 신, 구의 조화를 끌어내는 디자인 image 4 챠우 2015-08-26 12142
5030 남조선 연구(1) Full squat 2008-01-23 12064
5029 동해에서 북쪽으로 해안선 따라 계속 걸으면 image 7 오리 2013-07-17 11882
5028 여자인가 남자인가? image 5 김동렬 2009-08-23 11755
5027 놀이터 조으다. image 4 오리 2012-05-03 11633
5026 질문과 구조론닷컴 검색 image 5 ░담 2010-08-06 11503
5025 한국 축구대표팀중에 챔피언보디에 가까운 사람은 누가 있을까요? 16 락에이지 2014-06-19 11402
5024 박신애님 김종호님께 김동렬 2005-10-04 11368
5023 김동렬님 1 피투성이 2005-10-20 11174
5022 절규와 보호 image 2 아란도 2012-12-19 11162
5021 구조론에 어울리는 사진작가 김 아타 image 1 삼백 2013-07-11 11151
5020 대선토론 보려 TV 앞에 앉았네요.. 14 다원이 2012-12-10 11147
5019 우구치 계곡 image 8 김동렬 2014-10-05 11002
5018 달은 지구를 공전하나? image 15 삐따기 2011-12-27 10930
5017 선불교 법맥으로 살펴 보는 선차(茶) 계보 image 3 아란도 2012-03-22 10913
5016 [re] 박찬경님께 우주의끝 2005-10-04 10791
5015 인간의 입술 두께 7 까뮈 2014-07-08 10727
5014 마옥당(磨玉堂 : 구슬을 가는 집) 꼬레아 2011-09-13 10580
5013 박봉팔이 최근 사망했다는 소식을 듣고 8 까뮈 2015-07-29 105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