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5]김미욱
read 1738 vote 0 2019.05.25 (14:42:54)

인류라는 단위가 출현한 이후 인류는 자연의 소통원리를 인류 질서의 근간으로 뇌에 세팅해온 바 그 자연의 질서를 인류의 시스템으로 환원하는 데 있어 언어만큼 강력한 도구는 없다고 생각한다.

구조론은 사고모형과 개념배열에 있어 어떤 학문과도 짝짓기가 가능하다는 보편성으로 인해 가히 인류의 '교과서'라 칭할 만하다. 데카르트가 이름 짓지 못하고 비트겐슈타인이 해내지 못한 일이다.

요즘 구조론에서 강조하는 '통제가능성'의 개념은 구조론의 맥락에서 볼 때 새로운 인류의 미래를 설계할 이상적 용어로 손색이 없다. 트럼프도 시진핑도 빠져나갈 구멍이 없다. 언어부터 통제하라.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4752 사교육 vs 공교육의 한판승부를 걸어 볼까 한다. 4 이상우 2010-07-16 6550
4751 관조와 접속 가온 2006-07-08 6534
4750 구조론 미디어 선언 image 1 양을 쫓는 모험 2010-07-04 6533
4749 주한미사령관, 대북 확성기방송 재개 반대 (한겨레) 노매드 2010-07-07 6513
4748 작은절 수련회는 좋은점이 많다오 image 8 곱슬이 2009-08-02 6511
4747 스타일리스트 카다피 image 4 김동렬 2011-02-24 6494
4746 평화로운 문재인 image 7 토마스 2012-12-21 6491
4745 어떻게 판단하고 계신지요? 1 열수 2006-01-04 6474
4744 안상수 코미디 image 1 김동렬 2010-11-30 6473
4743 물기둥-섬광-화염 못봤다 3 김동렬 2010-06-24 6469
4742 달의몰락 image 7 꾸이맨 2009-06-27 6468
4741 진성여왕과 박근혜 2 노매드 2013-03-31 6436
4740 가입했습니당~^^ 순진남 2006-07-29 6435
4739 김제동 뭔가를 아네. image 5 김동렬 2011-10-25 6426
4738 SNS의 실태와 명암(2) - 신뢰성이 없는 정보는 가치가 없는 것인가? image 2 양을 쫓는 모험 2011-06-29 6424
4737 커스 다마토와 마이크 타이슨 image 4 락에이지 2015-10-08 6416
4736 가을입니다. 1 아제 2010-09-16 6410
4735 젊은이여,무조건 모터 사이클을 타시라 image 15 까뮈 2014-07-12 6402
4734 구조론을 읽다가. 1 오세 2006-03-08 6400
4733 후보빨랑좀 정해주지 5 곱슬이 2010-07-17 63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