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AI 시대의 대학강의/시험에 대한 새로운 실험

 

2019-05-21 이원영 (수원대 교수, 국토미래연구소장)

 

AI는 불가역적 시대조류입니다

AI를 어떻게 받아들인 것인가 하는 것은 사회나 개인에게 큰 과제입니다

대립적인 관계든 상호보완적인 관계든 인간으로서 AI와 잘 어울릴 줄 아는 능력을 배양하는 것이 필요하겠다는 생각을 예전부터 해왔습니다. 이번 새 학기에 다음과 같은 실험을 해보기로 했습니다아래의 내용은 학기초에 학생들에게 공지된 것입니다.

 

학생 자신이 스스로 문제를 출제하고 답변하고 평가하기

1) 대상은 수원대 건축도시부동산학부1년생 90명이고 과목은 도시계획개론으로서 두 사람의 교수가 동시에 강의.

2) 필자에게 할당된 점수는 50.

3) 필자는 다음과 같이 배점을 설정 : 출석 1/4 의제설정능력1/4 논리전개능력1/4 평가능력1/4

4) 학기중 리포트 없음. 중간고사 없음.

5) 64()90분동안 단한번의 학기말 시험 : 오픈북 오픈노트 스마트폰 사용가능

6) 문제수의 제한은 없고, 왜 그 문제가 중요하다고 판단했는지에 대한 이유를 병기하여야 함.

7) 답안지는 A3사이즈중 3/4에 해당하는 세로부분만을 활용하여 작성. 그림을 활용하면 유리.

8) 답안을 스마트폰으로 찍어서 http://cafe.daum.net/ecocycling-city/nEbQ 에 각자 올리기

9) 올려진 답안을 모두가 평가하여 http://cafe.daum.net/ecocycling-city/nEbQ/1 에 가서 시험후 모든 답안에 대해 610() 자정까지 평가를 한 후 우수하다고 판단되는 상위 10개의 이름을 비밀댓글로 작성바람.

10) 우수한 답안은 통계로 집계될 것이고 이는 배점의 <의제설정능력1/4 논리전개능력1/4>25점 배점으로 집계될 것

11) 비밀댓글에 대한 통계를 내어서 평가결과를 적중한 만큼 평가점수에 반영될 것임. 이는 배점의 <평가능력1/4>에 반영될 것임.

12) 그러므로 평가를 객관적으로 진행해야 하므로 90개의 답안 모두를 평가하는 과정에서 다른 이들의 관점을 제대로 공부하고 평가하는 능력을 배양하게 됨. 이 과목에 대한 또하나의 중요한 공부는 64일부터~10일의 평가기간에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음.

 

이제 한달도 남지 않았군요. 저도 실험결과가 궁금합니다.

 

 

 

 


[레벨:5]국궁진력

2019.05.21 (01:51:08)

결과가 기대됩니다. ^^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152
2113 무한과 연속성의 차이 chow 2023-01-12 1076
2112 냉전 이후 자본주의와 디지털 혁신 dksnow 2023-01-16 1077
2111 삼성과 남한 dksnow 2022-05-27 1080
2110 구조론의 응용 dksnow 2022-04-07 1118
2109 다이아몬드는 왜 가치가 있는가? chow 2022-05-29 1118
2108 생명로드55 - 기후위기시대의 문법을 생각한다 수원나그네 2020-04-12 1136
2107 21세기 진보 dksnow 2022-04-25 1139
2106 손잡이의 원리 2 chowchow 2022-05-20 1148
2105 곡성과 라쇼몽, 아킬레스와 거북이, 상대성이론 chow 2022-05-31 1151
2104 선거 후기 1 레인3 2022-06-02 1161
2103 생명로드50- 지구촌 '마더'를 만드는 길 image 수원나그네 2019-12-10 1162
2102 밖이 답이지만 그 밖은 우리가 찾아나서야 한다. 현강 2020-08-14 1166
2101 구조론 목요모임(서울역) image 오리 2020-07-23 1168
2100 움직이면 시간이 천천히 간다? chow 2022-05-28 1170
2099 구조의 확장 현강 2020-01-07 1179
2098 관계와 관측 그리고 사건 현강 2020-08-09 1179
2097 문명은 하나 dksnow 2022-05-03 1180
2096 외력을 맞이하는 관점을 비틀기. 현강 2020-08-05 1188
2095 노동운동의 문제 image 1 chowchow 2022-05-01 1190
2094 진리에 대한 주저리 1 다음 2020-07-26 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