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AI 시대의 대학강의/시험에 대한 새로운 실험

 

2019-05-21 이원영 (수원대 교수, 국토미래연구소장)

 

AI는 불가역적 시대조류입니다

AI를 어떻게 받아들인 것인가 하는 것은 사회나 개인에게 큰 과제입니다

대립적인 관계든 상호보완적인 관계든 인간으로서 AI와 잘 어울릴 줄 아는 능력을 배양하는 것이 필요하겠다는 생각을 예전부터 해왔습니다. 이번 새 학기에 다음과 같은 실험을 해보기로 했습니다아래의 내용은 학기초에 학생들에게 공지된 것입니다.

 

학생 자신이 스스로 문제를 출제하고 답변하고 평가하기

1) 대상은 수원대 건축도시부동산학부1년생 90명이고 과목은 도시계획개론으로서 두 사람의 교수가 동시에 강의.

2) 필자에게 할당된 점수는 50.

3) 필자는 다음과 같이 배점을 설정 : 출석 1/4 의제설정능력1/4 논리전개능력1/4 평가능력1/4

4) 학기중 리포트 없음. 중간고사 없음.

5) 64()90분동안 단한번의 학기말 시험 : 오픈북 오픈노트 스마트폰 사용가능

6) 문제수의 제한은 없고, 왜 그 문제가 중요하다고 판단했는지에 대한 이유를 병기하여야 함.

7) 답안지는 A3사이즈중 3/4에 해당하는 세로부분만을 활용하여 작성. 그림을 활용하면 유리.

8) 답안을 스마트폰으로 찍어서 http://cafe.daum.net/ecocycling-city/nEbQ 에 각자 올리기

9) 올려진 답안을 모두가 평가하여 http://cafe.daum.net/ecocycling-city/nEbQ/1 에 가서 시험후 모든 답안에 대해 610() 자정까지 평가를 한 후 우수하다고 판단되는 상위 10개의 이름을 비밀댓글로 작성바람.

10) 우수한 답안은 통계로 집계될 것이고 이는 배점의 <의제설정능력1/4 논리전개능력1/4>25점 배점으로 집계될 것

11) 비밀댓글에 대한 통계를 내어서 평가결과를 적중한 만큼 평가점수에 반영될 것임. 이는 배점의 <평가능력1/4>에 반영될 것임.

12) 그러므로 평가를 객관적으로 진행해야 하므로 90개의 답안 모두를 평가하는 과정에서 다른 이들의 관점을 제대로 공부하고 평가하는 능력을 배양하게 됨. 이 과목에 대한 또하나의 중요한 공부는 64일부터~10일의 평가기간에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음.

 

이제 한달도 남지 않았군요. 저도 실험결과가 궁금합니다.

 

 

 

 


[레벨:5]국궁진력

2019.05.21 (01:51:08)

결과가 기대됩니다. ^^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242
613 대칭에 의한 비대칭의 예 image 2 김동렬 2013-06-24 7533
612 용서? 용서는 개뿔. 경계를 세우는 것이 먼저다! -성적 학대와 그 극복에 대하여- image 5 오세 2013-06-22 4856
611 질문 .. 세레나의 잘못은 무엇? 11 김동렬 2013-06-20 4393
610 구조론 팟캐스트 1회 대본 11 오세 2013-06-20 5202
609 참과 거짓 image 김동렬 2013-06-19 4173
608 수동의 발견 담 |/_ 2013-06-14 3365
607 보트를 젓는다면? 6 김동렬 2013-06-06 4398
606 꿈의 발견 3 담 |/_ 2013-06-03 3896
605 평행우주? 단순한 속임수 김동렬 2013-06-02 4744
604 비과학적 사고의 예 2 김동렬 2013-05-28 4855
603 그림에서 잘못된 것은? image 14 김동렬 2013-05-27 4355
602 인류는 많지 않다. 칠십억도 그렇다 담 |/_ 2013-05-15 8323
601 인류의 기원 김동렬 2013-05-15 7470
600 1만 5천년 된 언어 image 3 김동렬 2013-05-13 4665
599 어느 쪽이 낫소? image 13 김동렬 2013-05-02 5735
598 질문.. 왜 전문가는 항상 틀릴까? 10 김동렬 2013-05-01 4812
597 구조론 문제 12 김동렬 2013-04-29 4593
596 여자는 왜 꽃을 좋아하는가? 2 냥모 2013-04-28 4706
595 질문.. 관점을 포착하라 11 김동렬 2013-04-25 5628
594 전쟁, 남북은 없고 세계는 있다 1 담 |/_ 2013-04-24 34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