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164 vote 0 2019.05.14 (15:43:51)

555555.jpg

      
   

    입자라는 개념은 황당하기 짝이 없는 것이다. 말이 안 된다. 언어적으로 불성립이다. 궁극적으로는 장이 있고 장은 방향을 가진다. 방향이 특정하게 꼬이면 입자가 된다. 세상은 대칭이다. 대칭을 만드는 형태는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다. 초끈의 진동은 웃긴 표현이고 방향전환으로 보는게 자연스럽다.


    전자의 위치가 없어야 하는 이유는 계속 방향을 바꾸기 때문이다. 장은 부분이 전체를 대표하므로 장에 속하는 어느 위치든 거리는 같다. 영화 스크린에서 주인공 춘향과 몽룡의 거리는 3미터지만 그림자에 불과하고 원본인 디지털 필름에는 거리가 0이다. 즉 장은 거리의 간격을 인정하지 않아야 한다.


    전자구름이 확률로 표현되는 이유는 방향을 계속 바꾸고 있으므로 방향이 바뀌면 없거나 있기 때문이다. 가운데서 포착될 확률이 높다. 일반인들은 경험적 직관을 따른다. 문제는 경험한 것이 별로 없다는데 있다. 스탠리 큐브릭의 영화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에 나오는 모노리스는 사실 설득력이 없다.


    부족민은 움직이지 않는 것에 반응하지 않는다. 아인슈타인은 수학적 직관을 따른다. 보어는 그런 직관을 배제한다. 아인슈타인은 머리 속에 모형을 만들어놓고 있기 때문에 양자역학을 반대하는 것이다. 그 모형은 틀린 것일 수 있다. 더 높은 의사결정단위가 있기 때문이다. 바른 모형을 찾을 수 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19.05.16 (03:11:36)

" 더 높은 의사결정단위가 있기 때문이다. 바른 모형을 찾을 수 있다."

-http://gujoron.com/xe/1089055

프로필 이미지 [레벨:11]오맹달

2019.05.16 (06:28:08)

문제는 경험한 것이 별로 없다는데 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1]오맹달

2019.05.16 (06:30:03)

시간이 되신다면 모노리스에 대해 조금만 살을 붙여주셨으면 합니다. 영화를 아직 보지 않아서 유추해내기 어렵네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9.05.16 (10:18:51)

영화를 안 보면 별로 의미가 없지요.

스포일러이긴 한데 하여간 외계인이 인류의 진화를 촉발할 의도로

돌기둥을 하나 세워놨다는 거.


소설판에 의하면 각변의 비율이 1:4:9인데, 이건 1, 2, 3의 제곱수이다. 자연적인 확률로는 나오기 힘들며, 스스로 인공물임을 주장하는 사각형 덩어리. 다만 영화에서는 비주얼적인 문제로 비율을 다르게 만들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1]오맹달

2019.05.16 (11:07:48)

감사합니다.
작정하고 봐야겠네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5291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5109
6590 나폴레옹은 누구인가? 김동렬 2023-12-17 2022
6589 인간의 비극 김동렬 2023-11-12 2023
6588 구조론의 균형감각 김동렬 2022-05-25 2028
6587 앎과 믿음 김동렬 2023-10-28 2035
6586 진리충격 김동렬 2023-01-18 2036
6585 기본단위 김동렬 2023-08-29 2037
6584 진리의 기쁨 김동렬 2022-05-02 2039
6583 에너지의 방향성 2 김동렬 2022-06-29 2040
6582 메커니즘 김동렬 2023-08-27 2040
6581 인생의 전부 김동렬 2023-01-24 2041
6580 엔트로피 2 김동렬 2023-02-20 2041
6579 생각을 하자 김동렬 2022-04-30 2043
6578 삼국사기 초기 기록의 신뢰성 문제 김동렬 2023-07-28 2044
6577 철학의 탄생 김동렬 2022-03-26 2047
6576 구조충격 1 김동렬 2023-02-16 2047
6575 진리의 문 김동렬 2023-03-04 2048
6574 한국인들에게 고함 1 김동렬 2023-11-22 2049
6573 국혐 포기는 이르다 김동렬 2024-03-14 2049
6572 생각을 하는 방법 김동렬 2023-02-02 2054
6571 바보들이 국민을 바보취급 하다 바보된 날 김동렬 2024-04-08 20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