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9]systema
read 1838 vote 1 2019.05.04 (04:06:22)

글을 써보고 알게되는 것인데, 필자가 글을 쓰는게 아니라 글이 글을 쓴다. 전제가 진술을 부르고, 주어가 동사를 부른다. 글이 산만해 지지 않고 긴장감 유지하기 위해서는?  첫 문단, 첫 문장이 강렬해야 한다. 강렬한 만남, 강렬한 부딪힘으로 글 전체를 이끌어가는 긴장감을 얻는다. 


뜬금없이 글 이야기를 하는 이유는, 문학작품이나 영화나 같은 구조를 공유하고 있음을 이야기하기 위함이다. 가장 예시를 들기 쉬운 영화를 들자면, 영화감독의 입장에서 평균 2시간이나 되는 시간동안 관객의 관심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어떤 방법을 써야 할까? 기본에 충실한 탄탄한 내러티브, 스토리의 힘 등이 답이 될 수 있겠다. 그래서 그 탄탄한 내러티브를 어떻게 만드느냐? 답을 할 수 있어야 한다. 


타이타닉 - 배라는 고립된 공간에 계층이 다른 주인공들이 갇혀있내.

에일리언 - 우주선에 인간과 외계인이 갇혀있내.

스피드 - 달리는 버스안에 폭탄과 경찰이 갇혀있내.

시티오브갓 - 답 없는 도시에 마약상끼리 갇혀있내. 

노예 12년 - 흑인이 백인우월주의 도시에 갇혀버렸내.


더 예시를 들 필요는 없는 듯하다. 뇌를 간지럽히는, 다음 장면을 궁금하게하는, 강렬한 긴장감을 어떻게 부여할 것인가?

드러나는 것은 공간의 구조다. 닫힌계에 밀도를 걸면 이야기는 술술 전개된다. 질의 감각을 획득하기다. 에일리언보다

시티오브갓이나 노예 12년에 더 점수를 준다면, 그것은 작품의 이야기와 관객이 통하기 때문이다. 한국인이라면

몰라도 남미인이나 흑인이라면 느끼는 그런거 있겠다. 작품안의 긴장이 작품바깥의 관객의 일상에서 느낀 긴장과 

연결되기 때문이다. 소실점 바깥에 소실점 하나 더 찾기다.


그래서 결론은...? 일상속의 타자성을 깨닫기. 지구라는 닫힌계 안에 트럼프와 갇힌 처지. 깨달음의 구조안에 갇힌 처지.

인생이라는 영화속에 필름은 이미 돌아가고 있다. 뉘라서 벗어날수 있는가? 벗어날수 없다면 영화한편은 찍고 가야지.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2457
2026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2-10-06 2830
2025 한국에서 사이비가 판을 치는 이유 dksnow 2022-10-04 2806
2024 2022년도 세계 상황 2 dksnow 2022-09-29 3149
2023 페트로 달러, 사우디아라비아와 러시아 군사협력협정, BRICS 기축통화, 러시아-인도 남북수송회랑 1 mowl 2022-09-27 2926
2022 완벽한 설명 이상우 2022-09-23 3242
2021 사람이 귀하다. systema 2022-09-23 2970
2020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2-09-22 2492
2019 아인슈타인의 절대성이 문제 chow 2022-09-19 2563
2018 아인슈타인도 이해 못 한 상대성이론 1 chow 2022-09-17 2851
2017 엇박자 경제대응 1 SimplyRed 2022-09-15 2780
2016 양자컴퓨터 chow 2022-09-10 3281
2015 입자세계의 파동현상 image chow 2022-09-09 3668
2014 중간 점검 dksnow 2022-09-09 3076
2013 장안생활 격주 목요모임 image 오리 2022-09-08 3048
2012 지성주의의 길 systema 2022-09-02 3629
2011 폭락전야 image dksnow 2022-08-31 4275
2010 여기자는 왜 그랬을까? dksnow 2022-08-28 4456
2009 자이로의 원리 image chow 2022-08-27 3950
2008 장안생할 격주 목요 모임 image 3 오리 2022-08-25 3886
2007 15세기 대항해 시대 이후 dksnow 2022-08-23 41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