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9]systema
read 1849 vote 1 2019.05.04 (04:06:22)

글을 써보고 알게되는 것인데, 필자가 글을 쓰는게 아니라 글이 글을 쓴다. 전제가 진술을 부르고, 주어가 동사를 부른다. 글이 산만해 지지 않고 긴장감 유지하기 위해서는?  첫 문단, 첫 문장이 강렬해야 한다. 강렬한 만남, 강렬한 부딪힘으로 글 전체를 이끌어가는 긴장감을 얻는다. 


뜬금없이 글 이야기를 하는 이유는, 문학작품이나 영화나 같은 구조를 공유하고 있음을 이야기하기 위함이다. 가장 예시를 들기 쉬운 영화를 들자면, 영화감독의 입장에서 평균 2시간이나 되는 시간동안 관객의 관심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어떤 방법을 써야 할까? 기본에 충실한 탄탄한 내러티브, 스토리의 힘 등이 답이 될 수 있겠다. 그래서 그 탄탄한 내러티브를 어떻게 만드느냐? 답을 할 수 있어야 한다. 


타이타닉 - 배라는 고립된 공간에 계층이 다른 주인공들이 갇혀있내.

에일리언 - 우주선에 인간과 외계인이 갇혀있내.

스피드 - 달리는 버스안에 폭탄과 경찰이 갇혀있내.

시티오브갓 - 답 없는 도시에 마약상끼리 갇혀있내. 

노예 12년 - 흑인이 백인우월주의 도시에 갇혀버렸내.


더 예시를 들 필요는 없는 듯하다. 뇌를 간지럽히는, 다음 장면을 궁금하게하는, 강렬한 긴장감을 어떻게 부여할 것인가?

드러나는 것은 공간의 구조다. 닫힌계에 밀도를 걸면 이야기는 술술 전개된다. 질의 감각을 획득하기다. 에일리언보다

시티오브갓이나 노예 12년에 더 점수를 준다면, 그것은 작품의 이야기와 관객이 통하기 때문이다. 한국인이라면

몰라도 남미인이나 흑인이라면 느끼는 그런거 있겠다. 작품안의 긴장이 작품바깥의 관객의 일상에서 느낀 긴장과 

연결되기 때문이다. 소실점 바깥에 소실점 하나 더 찾기다.


그래서 결론은...? 일상속의 타자성을 깨닫기. 지구라는 닫힌계 안에 트럼프와 갇힌 처지. 깨달음의 구조안에 갇힌 처지.

인생이라는 영화속에 필름은 이미 돌아가고 있다. 뉘라서 벗어날수 있는가? 벗어날수 없다면 영화한편은 찍고 가야지.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3020
2128 붕괴의 물리학 1 양지훈 2023-11-15 2905
2127 슈뢰딩거 고양이의 의미 2 chow 2023-11-13 2717
2126 한국시리즈 무료 직관 번개 image 2 ahmoo 2023-11-11 2403
2125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3-11-09 2138
2124 학교폭력이 학교를 망치고 있나, 학교폭력예방법이 학교를 망치고 있나? image 이상우 2023-11-02 2678
2123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3-10-25 2792
2122 유체역학의 진짜 이론 chow 2023-10-15 3672
2121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3-10-11 3452
2120 장 중심의 에너지 이론 2 chow 2023-10-01 4202
2119 구조론 격주모임 수요일[수원생활준공기념] image 3 ahmoo 2023-09-26 4509
2118 중력은 왜 진짜 힘이 아닌가? chow 2023-09-26 4465
2117 A Gain 최선최석규 2023-09-25 3823
2116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3-09-13 3584
2115 서이초 선생님의 죽음으로 촉발된 교사들의 교육운동 상황 이상우 2023-09-01 3460
2114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3-08-30 2418
2113 사이비가 창궐하는 세상 SimplyRed 2023-08-25 2585
2112 인생은 으하여 다 최선최석규 2023-08-20 2377
2111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3-08-16 2084
2110 [공지] 기업은행 구조론연구소 계좌 없음 김동렬 2023-08-15 2596
2109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3-08-02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