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9]systema
read 1859 vote 1 2019.05.04 (04:06:22)

글을 써보고 알게되는 것인데, 필자가 글을 쓰는게 아니라 글이 글을 쓴다. 전제가 진술을 부르고, 주어가 동사를 부른다. 글이 산만해 지지 않고 긴장감 유지하기 위해서는?  첫 문단, 첫 문장이 강렬해야 한다. 강렬한 만남, 강렬한 부딪힘으로 글 전체를 이끌어가는 긴장감을 얻는다. 


뜬금없이 글 이야기를 하는 이유는, 문학작품이나 영화나 같은 구조를 공유하고 있음을 이야기하기 위함이다. 가장 예시를 들기 쉬운 영화를 들자면, 영화감독의 입장에서 평균 2시간이나 되는 시간동안 관객의 관심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어떤 방법을 써야 할까? 기본에 충실한 탄탄한 내러티브, 스토리의 힘 등이 답이 될 수 있겠다. 그래서 그 탄탄한 내러티브를 어떻게 만드느냐? 답을 할 수 있어야 한다. 


타이타닉 - 배라는 고립된 공간에 계층이 다른 주인공들이 갇혀있내.

에일리언 - 우주선에 인간과 외계인이 갇혀있내.

스피드 - 달리는 버스안에 폭탄과 경찰이 갇혀있내.

시티오브갓 - 답 없는 도시에 마약상끼리 갇혀있내. 

노예 12년 - 흑인이 백인우월주의 도시에 갇혀버렸내.


더 예시를 들 필요는 없는 듯하다. 뇌를 간지럽히는, 다음 장면을 궁금하게하는, 강렬한 긴장감을 어떻게 부여할 것인가?

드러나는 것은 공간의 구조다. 닫힌계에 밀도를 걸면 이야기는 술술 전개된다. 질의 감각을 획득하기다. 에일리언보다

시티오브갓이나 노예 12년에 더 점수를 준다면, 그것은 작품의 이야기와 관객이 통하기 때문이다. 한국인이라면

몰라도 남미인이나 흑인이라면 느끼는 그런거 있겠다. 작품안의 긴장이 작품바깥의 관객의 일상에서 느낀 긴장과 

연결되기 때문이다. 소실점 바깥에 소실점 하나 더 찾기다.


그래서 결론은...? 일상속의 타자성을 깨닫기. 지구라는 닫힌계 안에 트럼프와 갇힌 처지. 깨달음의 구조안에 갇힌 처지.

인생이라는 영화속에 필름은 이미 돌아가고 있다. 뉘라서 벗어날수 있는가? 벗어날수 없다면 영화한편은 찍고 가야지.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3420
630 [미디어오늘] 한강하구, 국제기구도시를 상상한다 2 수원나그네 2018-11-24 1538
629 [미디어오늘] KS 오리엔트 특급으로 아시아를 누비자 수원나그네 2018-11-29 1514
628 후쿠시마 원전오염수 국제소송 준비토론회 image 수원나그네 2018-12-03 1407
627 눈을 돌리면 다른세상이 보인다. 4 systema 2018-12-05 1651
626 생명로드 31 - 한반도는 이미 탈원전시대 수원나그네 2018-12-06 1409
625 마술을 꿰뚫어보자. image 2 김동렬 2018-12-07 2538
624 생명로드 32 - 다시 길을 떠나다 image 6 수원나그네 2018-12-15 1604
623 생명로드 33 - 지구생명헌장2018서울안(국문 영문) image 수원나그네 2018-12-15 1703
622 생명로드 34 - 후반기 일정 및 코스 image 수원나그네 2018-12-16 1460
621 AI 에 정통하거나 관심이 깊은 구조론 동지님께 수원나그네 2018-12-25 1550
620 일상의 구조론(1) - 일반인들에게 쓰는 글 2 이상우 2018-12-26 1831
619 생명로드 35 - 인도 순례 소식 image 수원나그네 2019-01-03 1648
618 일 잘하는 관료의 특징 1 수원나그네 2019-01-04 2110
617 같음이 먼저고 다름이 나중이다. 1 아제 2019-01-08 1944
616 답이 있다. 아제 2019-01-10 1907
615 [제민] 중심을 노려보는 아웃사이더의 눈빛을 가져라 3 ahmoo 2019-01-16 2749
614 전체와 부분 사이 systema 2019-02-03 2115
613 생명로드 36 - 또다른 UN이 필요하다 image 수원나그네 2019-02-17 1567
612 생명로드 37 - 달라이라마를 뵙다 image 2 수원나그네 2019-03-07 1801
611 수학의 기원 -1 눈마 2019-04-04 16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