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9]systema
read 1898 vote 1 2019.05.04 (04:06:22)

글을 써보고 알게되는 것인데, 필자가 글을 쓰는게 아니라 글이 글을 쓴다. 전제가 진술을 부르고, 주어가 동사를 부른다. 글이 산만해 지지 않고 긴장감 유지하기 위해서는?  첫 문단, 첫 문장이 강렬해야 한다. 강렬한 만남, 강렬한 부딪힘으로 글 전체를 이끌어가는 긴장감을 얻는다. 


뜬금없이 글 이야기를 하는 이유는, 문학작품이나 영화나 같은 구조를 공유하고 있음을 이야기하기 위함이다. 가장 예시를 들기 쉬운 영화를 들자면, 영화감독의 입장에서 평균 2시간이나 되는 시간동안 관객의 관심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어떤 방법을 써야 할까? 기본에 충실한 탄탄한 내러티브, 스토리의 힘 등이 답이 될 수 있겠다. 그래서 그 탄탄한 내러티브를 어떻게 만드느냐? 답을 할 수 있어야 한다. 


타이타닉 - 배라는 고립된 공간에 계층이 다른 주인공들이 갇혀있내.

에일리언 - 우주선에 인간과 외계인이 갇혀있내.

스피드 - 달리는 버스안에 폭탄과 경찰이 갇혀있내.

시티오브갓 - 답 없는 도시에 마약상끼리 갇혀있내. 

노예 12년 - 흑인이 백인우월주의 도시에 갇혀버렸내.


더 예시를 들 필요는 없는 듯하다. 뇌를 간지럽히는, 다음 장면을 궁금하게하는, 강렬한 긴장감을 어떻게 부여할 것인가?

드러나는 것은 공간의 구조다. 닫힌계에 밀도를 걸면 이야기는 술술 전개된다. 질의 감각을 획득하기다. 에일리언보다

시티오브갓이나 노예 12년에 더 점수를 준다면, 그것은 작품의 이야기와 관객이 통하기 때문이다. 한국인이라면

몰라도 남미인이나 흑인이라면 느끼는 그런거 있겠다. 작품안의 긴장이 작품바깥의 관객의 일상에서 느낀 긴장과 

연결되기 때문이다. 소실점 바깥에 소실점 하나 더 찾기다.


그래서 결론은...? 일상속의 타자성을 깨닫기. 지구라는 닫힌계 안에 트럼프와 갇힌 처지. 깨달음의 구조안에 갇힌 처지.

인생이라는 영화속에 필름은 이미 돌아가고 있다. 뉘라서 벗어날수 있는가? 벗어날수 없다면 영화한편은 찍고 가야지.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5882
2075 스타일에 구속당하는가? 스타일을 주도하는가? 1 양을 쫓는 모험 2009-06-10 4899
2074 삶의 일관성을 일깨우는 교육 image 5 ahmoo 2009-06-10 5431
2073 구조론이 생각하는 '조직관리'가 듣고 싶습니다 3 눈내리는 마을 2009-06-11 5214
2072 뿌듯한 느낌 6 ahmoo 2009-06-14 4584
2071 궁금한데요... 2 다원이 2009-06-15 4983
2070 지역주의의 구조론적 해결방안 질의 1 천왕성 편지 2009-06-15 7041
2069 징병제가 낫다. 1 양을 쫓는 모험 2009-06-16 8486
2068 낳는 일이 존재의 가장 고귀한 목적이다. 3 ahmoo 2009-06-29 4731
2067 무르팍에 나온 '안철수'를 보고 4 눈내리는 마을 2009-07-08 5881
2066 구조론으로 가짜 미네르바 증명하기. 9 양을 쫓는 모험 2009-07-12 4632
2065 중국의 소수민족 위구르 시위를 보며 1 눈내리는 마을 2009-07-12 4932
2064 에너지의 조달방법?? 4 천왕성 편지 2009-07-12 4559
2063 독배 혹은 독백 2 마법사 2009-07-13 4281
2062 질문입니다. 2 마법사 2009-07-13 4065
2061 <상상력>에 대한 질문입니다. 3 마법사 2009-07-13 4632
2060 '어떻게'를 어떻게 이해하면 좋을까요.(구조론291~300p 관련) 7 통나무 2009-07-13 4578
2059 토론의 차원 7 통나무 2009-07-14 4676
2058 선형분석에서 면적분석으로 (n차에서 n+1차로의 차원이동) 2 눈내리는 마을 2009-07-18 5637
2057 페미니즘 image 2 꾸이맨 2009-07-20 4838
2056 김동렬을 대신해서 씀 2 기준님하 2009-07-21 50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