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9]systema
read 1846 vote 1 2019.05.04 (04:06:22)

글을 써보고 알게되는 것인데, 필자가 글을 쓰는게 아니라 글이 글을 쓴다. 전제가 진술을 부르고, 주어가 동사를 부른다. 글이 산만해 지지 않고 긴장감 유지하기 위해서는?  첫 문단, 첫 문장이 강렬해야 한다. 강렬한 만남, 강렬한 부딪힘으로 글 전체를 이끌어가는 긴장감을 얻는다. 


뜬금없이 글 이야기를 하는 이유는, 문학작품이나 영화나 같은 구조를 공유하고 있음을 이야기하기 위함이다. 가장 예시를 들기 쉬운 영화를 들자면, 영화감독의 입장에서 평균 2시간이나 되는 시간동안 관객의 관심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어떤 방법을 써야 할까? 기본에 충실한 탄탄한 내러티브, 스토리의 힘 등이 답이 될 수 있겠다. 그래서 그 탄탄한 내러티브를 어떻게 만드느냐? 답을 할 수 있어야 한다. 


타이타닉 - 배라는 고립된 공간에 계층이 다른 주인공들이 갇혀있내.

에일리언 - 우주선에 인간과 외계인이 갇혀있내.

스피드 - 달리는 버스안에 폭탄과 경찰이 갇혀있내.

시티오브갓 - 답 없는 도시에 마약상끼리 갇혀있내. 

노예 12년 - 흑인이 백인우월주의 도시에 갇혀버렸내.


더 예시를 들 필요는 없는 듯하다. 뇌를 간지럽히는, 다음 장면을 궁금하게하는, 강렬한 긴장감을 어떻게 부여할 것인가?

드러나는 것은 공간의 구조다. 닫힌계에 밀도를 걸면 이야기는 술술 전개된다. 질의 감각을 획득하기다. 에일리언보다

시티오브갓이나 노예 12년에 더 점수를 준다면, 그것은 작품의 이야기와 관객이 통하기 때문이다. 한국인이라면

몰라도 남미인이나 흑인이라면 느끼는 그런거 있겠다. 작품안의 긴장이 작품바깥의 관객의 일상에서 느낀 긴장과 

연결되기 때문이다. 소실점 바깥에 소실점 하나 더 찾기다.


그래서 결론은...? 일상속의 타자성을 깨닫기. 지구라는 닫힌계 안에 트럼프와 갇힌 처지. 깨달음의 구조안에 갇힌 처지.

인생이라는 영화속에 필름은 이미 돌아가고 있다. 뉘라서 벗어날수 있는가? 벗어날수 없다면 영화한편은 찍고 가야지.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2907
2107 구조론을 읽고 김동렬 2009-01-20 5521
2106 GUJORON VS PARTICLE PHYSICS (based on external force) 3 눈내리는 마을 2009-01-23 5513
2105 구조론 아카데미 건의 image 3 도플솔드너 2009-01-24 4342
2104 사랑의 구조 1 르페 2009-01-25 4606
2103 한국 진보의 잘못: '합리성'과 '영성' 2 눈내리는 마을 2009-01-29 4908
2102 한국사회를 무식하게 분석하면, 1 르페 2009-01-30 4816
2101 먼 미래에 백인이 멸종할수도 있지 않을까요?? image 5 가혹한너 2009-01-31 8759
2100 김동렬님 제가 구조론에 입각하여 쓴 글입니다 4 가혹한너 2009-02-04 6607
2099 한국 과학 교육의 교착 지점 3 눈내리는 마을 2009-02-06 11013
2098 <내남자> 1 하루 2009-02-08 5324
2097 선이 굵어야 아름답다. image 3 굿길 2009-02-13 5063
2096 그냥 사는게 사는걸까요? 1 가혹한너 2009-02-16 4945
2095 교사란 무엇일까요? 4 후추 2009-02-23 5240
2094 북미 관계 어떻게 볼것인가 4 눈내리는 마을 2009-02-24 4887
2093 지금 딴나라당이 잘못하고있는건가요?? image 1 가혹한너 2009-02-28 5065
2092 파시즘의 도래 가능성 1 선풍기 2009-03-01 5273
2091 섬으로의 고립을 드러내라 눈내리는 마을 2009-03-12 5129
2090 관계는 생명입니다. 3 ahmoo 2009-03-16 4842
2089 불교를 구조론으로 풀어내는 것에 대해서 <질문 드립니다.()> 1 아란도 2009-03-17 5086
2088 아란도님의 질문에 대하여 5 김동렬 2009-03-17 47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