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9]systema
read 1861 vote 1 2019.05.04 (04:06:22)

글을 써보고 알게되는 것인데, 필자가 글을 쓰는게 아니라 글이 글을 쓴다. 전제가 진술을 부르고, 주어가 동사를 부른다. 글이 산만해 지지 않고 긴장감 유지하기 위해서는?  첫 문단, 첫 문장이 강렬해야 한다. 강렬한 만남, 강렬한 부딪힘으로 글 전체를 이끌어가는 긴장감을 얻는다. 


뜬금없이 글 이야기를 하는 이유는, 문학작품이나 영화나 같은 구조를 공유하고 있음을 이야기하기 위함이다. 가장 예시를 들기 쉬운 영화를 들자면, 영화감독의 입장에서 평균 2시간이나 되는 시간동안 관객의 관심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어떤 방법을 써야 할까? 기본에 충실한 탄탄한 내러티브, 스토리의 힘 등이 답이 될 수 있겠다. 그래서 그 탄탄한 내러티브를 어떻게 만드느냐? 답을 할 수 있어야 한다. 


타이타닉 - 배라는 고립된 공간에 계층이 다른 주인공들이 갇혀있내.

에일리언 - 우주선에 인간과 외계인이 갇혀있내.

스피드 - 달리는 버스안에 폭탄과 경찰이 갇혀있내.

시티오브갓 - 답 없는 도시에 마약상끼리 갇혀있내. 

노예 12년 - 흑인이 백인우월주의 도시에 갇혀버렸내.


더 예시를 들 필요는 없는 듯하다. 뇌를 간지럽히는, 다음 장면을 궁금하게하는, 강렬한 긴장감을 어떻게 부여할 것인가?

드러나는 것은 공간의 구조다. 닫힌계에 밀도를 걸면 이야기는 술술 전개된다. 질의 감각을 획득하기다. 에일리언보다

시티오브갓이나 노예 12년에 더 점수를 준다면, 그것은 작품의 이야기와 관객이 통하기 때문이다. 한국인이라면

몰라도 남미인이나 흑인이라면 느끼는 그런거 있겠다. 작품안의 긴장이 작품바깥의 관객의 일상에서 느낀 긴장과 

연결되기 때문이다. 소실점 바깥에 소실점 하나 더 찾기다.


그래서 결론은...? 일상속의 타자성을 깨닫기. 지구라는 닫힌계 안에 트럼프와 갇힌 처지. 깨달음의 구조안에 갇힌 처지.

인생이라는 영화속에 필름은 이미 돌아가고 있다. 뉘라서 벗어날수 있는가? 벗어날수 없다면 영화한편은 찍고 가야지.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3569
2170 안녕하세요 강도혁입니다 1 강도 2005-10-30 10820
2169 김동렬님께 강도 2005-11-29 11719
2168 김동렬님..이 사이트의 글 좀 읽어주십시요. 1 날다 2005-12-19 10123
2167 가족 혹은 우리의 결혼제도에 대한 의견... 1 강도 2006-01-17 9008
2166 동렬님께... 3 kkh 2006-01-24 8955
2165 '차길진' 이라는 재미있는 사람이 있더라구요 1 송파노을 2006-02-22 12703
2164 동렬님 1 송파노을 2006-02-22 8210
2163 대중의 한계와 인터넷 2 송파노을 2006-02-27 7492
2162 즐거움이 없는 베품이랄까? 3 프로메테우스 2006-02-27 7752
2161 문명과 대중 그리고 지식 송파노을 2006-03-01 9297
2160 [re] 문명과 대중 그리고 지식 1 김동렬 2006-03-01 8575
2159 문명과 지식 1 김동렬 2006-03-02 8215
2158 고수와 하수 김동렬 2006-03-02 9936
2157 굿을 어떻게 이해할수 있을까요? 1 프로메테우스 2006-03-19 9272
2156 질문있습니다 ^^ 강도 2006-05-06 8779
2155 [re] 질문있습니다 ^^ 2 김동렬 2006-05-06 8680
2154 전기로 물을 염색해보려고 해요... 강도 2006-05-17 9273
2153 [re] 전기로 물을 염색해보려고 해요... 1 김동렬 2006-05-17 9219
2152 욕망을 혁명하기 6 강도 2006-06-05 8957
2151 구조론 부적응 1 아티스 2007-11-18 5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