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영화, 다큐, 도서, 사이트 등 공부하는데 필요한 매체를 구조론 회원님들의 도움을 받아 찾아 보고 싶습니다.

나이 26 , 카카오톡 아이디:lsyeong2

 

https://www.youtube.com/watch?v=BSCG_VPjuNo

(김대식 교수 뇌과학 강의)

 

김대식 교수가 교회에 초청을 받아서 뇌과학 강의를 하는데

원론을 다루는 과학과 기독교 교리가 충돌하는 부분이 있어서 목사가 요상한 질문을 하게 됩니다.

중요한 건 한 과학자의 논리가 다수에 해당되는 교회 사람들을 제압하는 걸 보고 저는 과학에 힘이 있다고 느끼고 과학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19.04.28 (08:01:21)

안녕하세요? 구조론 사이트 자체가 1번 소스 아닐까요? 그리고 종교와 과학이 같은 계층이 아닌 것처럼 과학과 구조론도 단순히 비교하기가...
[레벨:4]연역

2019.04.28 (10:12:03)

구조론 사이트에 글이나 라디오나 영상이나 많이 봐왔으나 다른 분야에 공부는 많이 안되어 있는 편이라 지식의 균형이 안맞습니다. 구조론은 과학의 보편적 지식을 과학이 다루지 못하는 부분을 응용하여 다룹니다. 구조론에서 늘 말하는 엔트로피나 마이너스나 인력은 없고 척력은 있다나 위하여는 없고 의하여는 있다나 생물은 퇴화가 기본모드라거나 이런 것들은 과학적 지식을 에너지로 한 줄에 꾀려는 거 아닙니까?
[레벨:4]연역

2019.04.28 (10:19:39)

예를 들어 디자인에는 규칙이 있는데 그 중 하나가 부분을 통해 전체를 예측할 수 있게 하여 인지적 편안함을 주는 것입니다. 복잡하면 뇌자원이 많이 발생하므로 그 공간에 있으면 피곤해집니다. 즉 에너지가 인간을 통제하니 그 결에 따라 디자인도 정해진다는 겁니다. 근데 이런 말을 비전문적으로 하면 사람들이 안믿습니다. 그래서 전문적인 과학 지식이 필요한 겁니다.
[레벨:1]Am

2019.04.29 (00:21:36)

인간 내부의 에너지인지요?
공부로 지식은 얻을 수 있지만
지식은 언어를 잘 포장하는 수단에 불과합니다
자신을 학대하다 보면 내 안의 에너지가 보일 껩니다
보인다고 다냐? 그 에너지를 잘못 사용하면
훅하니 골로 갑니다
그 에너지를 느끼는 순간
세상을 크게 볼 수 있고 편견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죠
까뮈의 이방인 추천드립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6]덴마크달마

2019.04.30 (00:00:27)

오랜시간이 걸리더라도 모든 구조론서를 천천히 잼나게 읽어보심을 추천드립니다. 제가 26 때 구조론을 만났더라면 워후,,,!! 공부를 응원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9]systema

2019.05.01 (22:07:28)

개인적으로 구조론 책외에 구조론을 공부하는데 가장 도움되는 것은 상대성이론을 공부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레벨:4]연역

2019.05.06 (14:29:15)

상대성 이론을 공부한다면 어떻게 공부를 할까 이런 고민이 생깁니다. 혼자 자료 찾기에는 비효율적이라 인맥이 필요하게 됩니다. 논문은 어디에서 검색하고번역은 어떻게 하고 어떤 매체를 찾아야하고 구체적로 어떻게 공부를 할지 도움이 필요한 겁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4952 유투브동영상 올리는 방법.(수정) image 68 배태현 2016-01-04 8809
4951 이것이 76미리 포탄이다 image 김동렬 2010-12-01 8797
4950 청주맛나게 마시기 13 곱슬이 2010-03-09 8776
4949 화두(話頭)란 무엇인가? 10 아란도 2010-08-10 8737
4948 유명인사가 된 소매치기 image 3 김동렬 2009-02-11 8729
4947 역사의 반복, 비극과 희극.. 약수동목장갑 2013-06-19 8701
4946 강병규 그리고 선수협의 진실 1 김동렬 2011-09-22 8685
4945 o.k rama 2005-10-11 8682
4944 백발종군 - 만평의 신, 장도리 image 1 이상우 2012-12-05 8672
4943 뜬금없지만 PUA 이론도 구조론으로 설명이 되는거 같네요. 4 귤알갱이 2012-02-08 8650
4942 유혹 8 鄭敬和 2010-08-20 8648
4941 구조강론 사진 & 영상_20130509 image 3 냥모 2013-05-14 8642
4940 낙차, 대한민국 무한도전 3 ░담 2010-08-18 8605
4939 대선 포스터 image 9 지명 2012-11-26 8576
4938 네안데르탈인의 조각상? image 김동렬 2009-05-14 8543
4937 서프 글쓰기에 대하여 1 열수 2005-10-03 8540
4936 연주자의 꿈 김동렬 2006-06-27 8533
4935 컴퓨터의 죽음 image 6 양을 쫓는 모험 2010-09-19 8525
4934 운명의 바닥 또는 低點(저점)에 관하여 (2) _ 2010.9.28 (펌글) 7 곱슬이 2010-09-29 8499
4933 화학에서 가역적인 반응과 비가역적인 반응 2 이은지 2014-11-08 84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