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중국 소수민족인 거라오족의 여자는 혼인 전에 두개의 치아를 뽑는데 그 이유가 여자가 남자의 집을 해치는 걸 막기위해서라는데 무슨 근거로 남자의 집을 해친다는 건지에 대해선 설명이 없네요. 외모 언어 식성 등을 통제한다는 추측이 들긴 합니다. 이런 습속이 발견되는 곳이 더러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9.04.23 (11:35:32)

발치습속은 한국과 일본을 비롯해

폭넓게 관찰되는 세계공통의 고대습속인데 


세계 어느나라든 신체훼손, 문신, 상처문신, 

두개골 변형 등의 다양한 부족표지가 있습니다.


이런 짓을 하는 이유는 멍청하기 때문이지 다른 이유가 없습니다. 

한 가지 분명한 사실은 어떤 신체훼손도 없는 고대부족은 없다는 점입니다.


그 중에서 가장 악질은 중국의 전족관습이지요.

유태인의 할례와 한국인의 포경수술도 미개한 짓입니다.


'위하여'는 전부 지어낸 말입니다.

'위하여'가 아니라 '의하여'인데 다른 부족은 눈에 띄는대로 죽이므로


부족의 표지를 나타내는 방법으로 결속을 다지는게 첫 번째고 

가학적인 성인식을 해서 청소년집단에 들게 하는게 두 번째입니다.


고대 한국인과 일본인들은 죄다 문신이 있었으며

일본의 게이샤들은 근래까지 치아를 새까맣게 염색했습니다. 


하이힐을 신고 코르셋을 하는 것도 일종의 그런 거죠.

예뻐보인다는건 핑계고 할줄 아는게 그거니까 그걸 하는 거지요.


부족을 제압하고 통제하는 시스템이 필요할 뿐

무엇을 해치는걸 막는다는둥 하는건 남들이 물어보니까 지어낸 말입니다.


스님들은 머리를 깎아놔야 통제가 되고

수녀들은 수녀복장을 입혀놔야 통제가 되고


학생은 교복을 입혀놔야 통제가 되고

선비는 갓을 써야 통제가 되고 


부족민은 신체훼손을 통해 통제가 되고

요즘은 결혼제도를 통해 통제하는 것이고.


그래서 결혼을 하지 않는 동성애자는 얄밉고

통제의 형식을 세련되게 발달시키는게 문명입니다.

[레벨:5]김미욱

2019.04.23 (11:48:25)

현대에도 원시 부족민의 습성이 많이 남아 있다는 사실이 놀랍습니다. 이런 멍청한 야만의 역사는 언제 청산될까요. 답변 감사합니다.
[레벨:1]Am

2019.04.23 (12:00:56)

내가 다니는 회사 사장이 경상도 분이신데요
같은 경상도 직원을 떡 하나 더 주는 식이죠
들리는 소문에 의하면
‘우리가 남이가? 이런 말을 했다는군요...
나로서는 참 깝깝합니다-_-;;

이런 형식이 선생님이 위에 말씀하셨듯이
패밀리 주의 부족을 나타내는 문신이나
뭐 그런 거라 생각합니다 ^^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5072 김동렬입니다. 김동렬 2005-09-28 14676
5071 축하합니다. 가려움 2005-09-29 10038
5070 축하드립니다... 양을 쫓는 모험 2005-09-29 9769
5069 기다림이 즐거움임을 압니다. 굿길 2005-09-29 10232
5068 축하합니다. 큐이 2005-09-30 9646
5067 순위권이네 ahmoo 2005-09-30 9904
5066 축하드리며...또. 온새미로 2005-09-30 10023
5065 박찬경님께 김동렬 2005-09-30 13647
5064 단상.. 히딩크 할배가 와도 2 김동렬 2005-09-30 9454
5063 홈페이지 재단장 축하드립니다. 쟈칼 2005-09-30 12912
5062 홈페이지 개편 축하드립니다. EUROBEAT 2005-10-01 8926
5061 새로와서 낯설긴 하지만 훨 좋네요 우리보리 2005-10-01 8998
5060 서프 글쓰기에 대하여 1 열수 2005-10-03 8538
5059 축하드립니다. 1 미리내 2005-10-04 8249
5058 [re] 박찬경님께 우주의끝 2005-10-04 10796
5057 박신애님 김종호님께 김동렬 2005-10-04 11369
5056 o.k rama 2005-10-11 8627
5055 개미당에 대한 문의 1 열수 2005-10-11 7973
5054 김동렬님 1 피투성이 2005-10-20 11175
5053 게시판 관리를 엄격하게 하겠습니다. 3 김동렬 2005-10-20 103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