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7]눈마
read 1782 vote 0 2019.04.11 (01:52:22)

https://namu.wiki/w/원주율


P = 2* pi * r ==> pi = P/(2*r) = P/diameter


Screen Shot 2019-04-10 at 12.41.58 PM.png


http://muslimheritage.com/article/muslim-founders-mathematics


7-13세기를 이슬람 수학의 전성기로 두고 있다. 몽골 침략이야기는 그만하고, pi를 강조하는 이유는,


r (radius) -- 2 pi r (perimeter) -- pi r^2 (area)


가 정확하게 오른쪽으로 적분방향, 왼쪽으로 미분 방향과일치하기 때문이다.

정확하진 않지만, 구조론에서 점-선-각 으로 나갈때 깜짝 놀란적이 있다.

점선면이 아니라, 점선각...


면이 아니라 각이라는 것. 면을 표현하는것이 선을 일정한 변동률 (각)으로 돌려서, 둥그런 면을 만들어내는것. 


pi를 대수적 기하학적으로 표현한것이, 위의 링크에 나오는 이슬람의 수학자들이고, 그 기간이, 7-13세기.

그리고, 서양 수학자의 최고봉으로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오일러'와 이슬람 수학자 '오마르' 의 그림을 보자.

 Screen Shot 2019-04-10 at 12.59.24 PM.png Screen Shot 2019-04-10 at 12.47.44 PM.png


오일러는 지금의 러시아 셍 페테르스부르크 ( 레닌그라드)에서 수학을 공부했고, 러시아와 페르시아는 오랜 무역의 전통이 있는 나라들이다. 물론, 몽골 (바투)의 침략으로 13세기에 두나라다 아작 났다...


원주율 pi라는 무리수 (소수점 이하가 끝나지 않는수)로, 선-->각 이라는 차원변동이 일어나고, 미분과 적분이 자유자재로 사용되게 된것이다. 그 역할을 중세 (7-13세기) 이슬람지역이  해내었던 것이다. 


르네상스 시기에, 베네치아 가문과, 스위스 공작들이 13세기의 이슬람 참변의 수혜를 입은거고.


다음에는, 미적분을 상세히 보자. 뉴턴과 라이프치히를 좀 뒤져 볼 생각이다.


푸코의 진자는 덤으로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797
2075 마루치 아라치의 기원 2 김동렬 2011-02-14 8701
2074 흑인이 백인처럼 문명을 발달시키지 못한 이유 10 김동렬 2017-08-14 8669
2073 콜럼버스의 달걀 image 2 양을 쫓는 모험 2010-12-26 8643
2072 에디슨의 명언 image 5 김동렬 2013-12-12 8641
2071 거북선의 진실 image 3 김동렬 2015-10-17 8636
2070 범어와 한국어의 유사성 image 3 김동렬 2014-03-18 8630
2069 [re] 문명과 대중 그리고 지식 1 김동렬 2006-03-01 8625
2068 문제란 무엇인가? image 6 양을 쫓는 모험 2010-07-16 8596
2067 두더지의 눈 image 1 김동렬 2012-01-04 8590
2066 나쁜감독, 김기덕 바이오그라피(1996-2009) image 11 양을 쫓는 모험 2009-11-28 8524
2065 결혼의 조건 image 5 양을 쫓는 모험 2010-06-12 8482
2064 징병제가 낫다. 1 양을 쫓는 모험 2009-06-16 8474
2063 팬택과 노키아가 망한 이유 3 챠우 2014-11-30 8458
2062 6천년 전에 세워진 아일랜드 고인돌 image 2 김동렬 2011-05-25 8448
2061 구조론으로 본 영어 어원(엑셀파일로 정리함) 1 오세 2010-05-16 8444
2060 구조론 문제.. 모하비의 그릴 image 44 김동렬 2012-12-25 8438
2059 스티브 잡스의 아이콘 image 4 양을 쫓는 모험 2010-06-22 8427
2058 혈액형과 인류구조관점 4 지여 2010-10-31 8384
2057 전치사 혼 안 내기 image 4 김동렬 2015-10-15 8372
2056 글 잘 쓰는 방법 7 김동렬 2013-10-11 83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