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7]눈마
read 1770 vote 0 2019.04.11 (01:52:22)

https://namu.wiki/w/원주율


P = 2* pi * r ==> pi = P/(2*r) = P/diameter


Screen Shot 2019-04-10 at 12.41.58 PM.png


http://muslimheritage.com/article/muslim-founders-mathematics


7-13세기를 이슬람 수학의 전성기로 두고 있다. 몽골 침략이야기는 그만하고, pi를 강조하는 이유는,


r (radius) -- 2 pi r (perimeter) -- pi r^2 (area)


가 정확하게 오른쪽으로 적분방향, 왼쪽으로 미분 방향과일치하기 때문이다.

정확하진 않지만, 구조론에서 점-선-각 으로 나갈때 깜짝 놀란적이 있다.

점선면이 아니라, 점선각...


면이 아니라 각이라는 것. 면을 표현하는것이 선을 일정한 변동률 (각)으로 돌려서, 둥그런 면을 만들어내는것. 


pi를 대수적 기하학적으로 표현한것이, 위의 링크에 나오는 이슬람의 수학자들이고, 그 기간이, 7-13세기.

그리고, 서양 수학자의 최고봉으로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오일러'와 이슬람 수학자 '오마르' 의 그림을 보자.

 Screen Shot 2019-04-10 at 12.59.24 PM.png Screen Shot 2019-04-10 at 12.47.44 PM.png


오일러는 지금의 러시아 셍 페테르스부르크 ( 레닌그라드)에서 수학을 공부했고, 러시아와 페르시아는 오랜 무역의 전통이 있는 나라들이다. 물론, 몽골 (바투)의 침략으로 13세기에 두나라다 아작 났다...


원주율 pi라는 무리수 (소수점 이하가 끝나지 않는수)로, 선-->각 이라는 차원변동이 일어나고, 미분과 적분이 자유자재로 사용되게 된것이다. 그 역할을 중세 (7-13세기) 이슬람지역이  해내었던 것이다. 


르네상스 시기에, 베네치아 가문과, 스위스 공작들이 13세기의 이슬람 참변의 수혜를 입은거고.


다음에는, 미적분을 상세히 보자. 뉴턴과 라이프치히를 좀 뒤져 볼 생각이다.


푸코의 진자는 덤으로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308
333 선풍기 괴담의 비과학성 1 김동렬 2011-07-04 5817
332 구조의 의미. 1 아제 2010-09-17 5824
331 구조론 문제 김진태 화백의 경우 image 31 김동렬 2012-12-24 5826
330 토요일 구조론 토론모임에 초청합니다. image 2 김동렬 2010-03-18 5827
329 브라질 땅콩 효과 image 김동렬 2016-06-03 5828
328 시간의 강가에 앉아 image 1 ahmoo 2010-08-02 5829
327 트럼프의 미국을 예언한 영화 이디오크러시 image 김동렬 2016-11-10 5838
326 법륜의 사기극 8 김동렬 2014-04-30 5845
325 무르팍에 나온 '안철수'를 보고 4 눈내리는 마을 2009-07-08 5859
324 문답 - 나쁜 글의 예 11 김동렬 2013-07-08 5862
323 과거를 생각하면 눈알을 위로 굴리고 뒷머리를 긁적인다? 기준님하 2010-02-02 5863
322 자기존중감과 선을 넘기 3 ahmoo 2009-04-15 5879
321 나이들면 알게 되는 비밀 image 6 김동렬 2014-12-17 5888
320 어휴...좀 어처구니없는 질문 드려보아요. 1 지구인 2008-09-24 5890
319 TV의 발명 image 1 김동렬 2013-11-26 5897
318 과학 속의 비과학 image 3 김동렬 2009-04-16 5898
317 개 한 마리에 592억 image 2 김동렬 2014-06-30 5899
316 야심만만한 설정 ░담 2010-04-28 5900
315 구조론적 사유란 무엇인가? image 14 김동렬 2016-12-01 5900
314 구조론적 개입 -양육- 3 오세 2010-07-12 5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