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7]눈마
read 1734 vote 0 2019.04.11 (01:52:22)

https://namu.wiki/w/원주율


P = 2* pi * r ==> pi = P/(2*r) = P/diameter


Screen Shot 2019-04-10 at 12.41.58 PM.png


http://muslimheritage.com/article/muslim-founders-mathematics


7-13세기를 이슬람 수학의 전성기로 두고 있다. 몽골 침략이야기는 그만하고, pi를 강조하는 이유는,


r (radius) -- 2 pi r (perimeter) -- pi r^2 (area)


가 정확하게 오른쪽으로 적분방향, 왼쪽으로 미분 방향과일치하기 때문이다.

정확하진 않지만, 구조론에서 점-선-각 으로 나갈때 깜짝 놀란적이 있다.

점선면이 아니라, 점선각...


면이 아니라 각이라는 것. 면을 표현하는것이 선을 일정한 변동률 (각)으로 돌려서, 둥그런 면을 만들어내는것. 


pi를 대수적 기하학적으로 표현한것이, 위의 링크에 나오는 이슬람의 수학자들이고, 그 기간이, 7-13세기.

그리고, 서양 수학자의 최고봉으로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오일러'와 이슬람 수학자 '오마르' 의 그림을 보자.

 Screen Shot 2019-04-10 at 12.59.24 PM.png Screen Shot 2019-04-10 at 12.47.44 PM.png


오일러는 지금의 러시아 셍 페테르스부르크 ( 레닌그라드)에서 수학을 공부했고, 러시아와 페르시아는 오랜 무역의 전통이 있는 나라들이다. 물론, 몽골 (바투)의 침략으로 13세기에 두나라다 아작 났다...


원주율 pi라는 무리수 (소수점 이하가 끝나지 않는수)로, 선-->각 이라는 차원변동이 일어나고, 미분과 적분이 자유자재로 사용되게 된것이다. 그 역할을 중세 (7-13세기) 이슬람지역이  해내었던 것이다. 


르네상스 시기에, 베네치아 가문과, 스위스 공작들이 13세기의 이슬람 참변의 수혜를 입은거고.


다음에는, 미적분을 상세히 보자. 뉴턴과 라이프치히를 좀 뒤져 볼 생각이다.


푸코의 진자는 덤으로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2634
2006 통짜, 통짜 덩어리란 말 4 굿길 2010-01-05 5202
2005 구조론에 기반한 메모1 5 오세 2010-01-07 4547
2004 구조론 메모2 -상담계, 2 오세 2010-01-07 4545
2003 사람 노무현 한 결 족보 ░담 2010-01-08 7082
2002 털 없는 인간의 탈모사 2 LPET 2010-01-09 7005
2001 구글, 오바마 효과? image 1 ░담 2010-01-15 4811
2000 리플대박 관련공지 11 김동렬 2010-01-15 5550
1999 노무현, 님의 설정을 권하오. ░담 2010-01-15 5385
1998 깨달음을 그리다 영어번역에 관하여 image 1 ahmoo 2010-01-18 6757
1997 깨달음을 그리다 영번역 첫 번째 image 1 ahmoo 2010-01-18 14442
1996 깨달음을 그리다 영번역 두 번째 image 15 ahmoo 2010-01-18 7148
1995 문제해결능력 - 고부간의 갈등 편 image 21 양을 쫓는 모험 2010-01-19 7391
1994 아이패드와 eBook 혁명 image 5 양을 쫓는 모험 2010-01-31 6395
1993 밸런스의 중요성. 3 오세 2010-01-31 4401
1992 구조론 1번 읽은 기념 글쓰기 image 3 이상우 2010-01-31 4971
1991 앞날 생각할 때 자세 앞으로 쏠려 1 김동렬 2010-02-01 4845
1990 과거를 생각하면 눈알을 위로 굴리고 뒷머리를 긁적인다? 기준님하 2010-02-02 5846
1989 왼발이 커지는 원리에 대해서 1 기준님하 2010-02-02 4897
1988 이상우님이 학생들을 잘 지도하는 방법 기준님하 2010-02-02 5684
1987 구조론 옷입히기. 3 아제 2010-02-02 46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