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ahmoo
read 5813 vote 0 2010.08.02 (21:39:49)

time.jpg

저는 어제 지갑을 잃어버렸다가 

찾았습니다.

생각해보니 참 많은 걸 잃어버리기도 하고 

다시 찾기도 하고 그랬네요.

팔순이 넘은 저의 노모는 

기억과 능력까지 조금씩 잃어가고 있습니다.

지갑을 잃어버리는 일이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듯이,

기억과 능력을 잃어버리는 일도

누구에게나 일어나는 일이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정말로 우리가 아무리 많은 지갑을 가졌어도

그 모든 지갑들을 모두 잃고

게다가 기억과 능력들까지

잃어버리게 될 것입니다.

우리 모두에게 일어나는 일이죠.

그러나 또 다른 면에서는

잃어버린 것이 대체 무엇일까요?

지갑은 다른 누군가에게로 흘러갈 것이고

우리가 남긴 기억과 말과 몸짓은

다른 사람에게로, 그리고 우리의 아이에게로

흘러갈 것입니다.

지갑은 중요하지 않기 때문에 

다른 누군가에게 버림을 받기도 할 것이고

우리가 했던 말 가운데 쓸데없는 것은

또 잊혀질 것입니다.

그렇게 버려지고 잊혀질 때에도

끝내 남아있는 것은 무엇일까요?

끝내 남길 것은 무엇일까요?

그런 것을 생각해보았나요?

혼자 있는 따뜻한 욕조에서, 혹은

어디 먼 곳을 목적없이 걸어갈 때나

잠들기 전에

이런 생각을 깊이 해본 적이 있나요.

내 삶에서 마지막까지 남길 것과

내가 사라져도 전해질 것에 대해.


시간의 강가에 앉아

프로필 이미지 [레벨:22]의명

2010.08.03 (00:19:01)

강 건너에서

자기별을 바라보는 저 순수한 왕자는

어머니 뱃속에서 그 누군가처럼 60년은 나오지 않고

기다렸을게야!

그런 긴장으로 세상에 튕겨져 나와야만 하는

오기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3275
1989 달과 손가락. 6 아제 2010-02-03 4920
1988 집 한 채의 미학. 6 아제 2010-02-04 5040
1987 현시대의 지정학 2 눈내리는 마을 2010-02-05 4349
1986 여와복희도. 2 아제 2010-02-06 5979
1985 자와 콤파스. 1 아제 2010-02-06 5324
1984 점검. 아제 2010-02-07 4603
1983 구조론 시 아제 2010-02-08 4891
1982 전모를 보라. 6 아제 2010-02-08 4775
1981 채찍과 당근 5 오세 2010-02-08 5647
1980 야만. 2 오세 2010-02-10 4659
1979 구조의 피라미드. 2 아제 2010-02-10 5099
1978 뒤를 돌아보라. 1 아제 2010-02-12 4901
1977 특별한 날. 아제 2010-02-14 4834
1976 막걸리는 한 병이다. 3 아제 2010-02-16 5591
1975 내가 미친건가? 13 오세 2010-02-17 5219
1974 개인용 컴을 만든다면, 이 정도가 기본. 4 ░담 2010-02-19 15798
1973 연역과 귀납 5 아제 2010-02-20 6738
1972 꽃과 바위. 1 아제 2010-02-22 4735
1971 완전함에 의해서. LPET 2010-02-22 5372
1970 한국의 20대 초반 젊은이들에게 '구조론'이 말을 건다면. 눈내리는 마을 2010-02-22 7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