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http://newspeppermint.com/2019/02/20/m-happiness-2/


"카네만은 만족감은 타인과의 비교에 매우 민감한 감정이라 말했습니다. “만족감은 사회적 목표를 이루고, 타인의 기대를 만족시키는 것과 같은 사회적 지표와 크게 관련이 있습니다.”"

---------------------------------------------------------------------------

시간이 지나면 "존엄"의 개념까지 올 수 있을런지...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9.03.10 (15:39:02)

진정한 만족감은 존엄과 자유와 사랑과 성취와 행복의 끊임없는 연결에서 옵니다.

기승전결로 사건을 계속 전개시켜 갈 수 있는 데서 만족감이 있는 거지요.


왕자로 태어나면 긍지와 자존감을 가지는 것이며 

어색하지 않고 비참하지 않고 당당한 것이며


우리는 왕자로 태어나지 않았으므로 

다른 방법으로 왕자의 존엄을 획득해야 합니다.


왕자는 돌봐주는 집사와 하인과 유모와 시녀가 있기 때문에 존엄한 것이며

인간은 역시 돌봐주는 사람이 있고 케어해주는 사람이 있어야 합니다.


부추겨 주는 친구과 말려주는 형제가 있어야 합니다.

헬조선이 등장한 때와 형제가 사라진 때가 일치합니다.


형제가 있던 시절에는 왕따나 이지메를 상상할 수 없는게

괴롭히다가는 형과 사촌이 반드시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톱니바퀴처럼 사회와 집단과 그리고 자연환경과 

유기적으로 맞물려 돌아가며 자연스러울 때 만족감이 있는 것입니다.  


5살 꼬마는 누구나 왕자 아니면 공주입니다. 

그 위치에서 끌어내려지는 것이 비참입니다. 


우리가 일체의 사회적 차별과 싸워야 하는 이유가 거기에 있습니다.

그러나 차별하는 자는 차별되어야 합니다. 


맞대응해야 하고 이겨야 합니다.  

게임에서 이겨야 다음 게임을 설계하여 계속 연결해갈 수 있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19.03.11 (03:40:30)

저출산 시대에 (예전처럼) 혈연에 기반한 동지를 기대하기는 어렵고, 결국 철학과 이념과 활동으로 토대를 공유하는 팀을 만들고 그 팀에 소속 되는 것이...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4632 구조론에 바탕한 새로운 역사해석 시도. 4 김미욱 2018-06-21 1930
4631 구조론 목요모임 image ahmoo 2018-06-21 1513
4630 교장과 교감의 부당한 권력 횡포를 막아야 교육이 바로섭니다. 2 이상우 2018-06-19 2277
4629 내일 학교폭력과 아동학대로 인한 갈등 중재 하러 갑니다. 이상우 2018-06-14 1692
4628 구조론 목요모임 image 1 ahmoo 2018-06-14 1557
4627 경남도지사 후보의 고군분투기! 1 달타(ㅡ) 2018-06-13 1953
4626 이런 영화 한편 만들고 싶다. 아제 2018-06-13 1684
4625 미국 군수업체 image 1 눈마 2018-06-13 2069
4624 안희정, 정봉주, 박수현, 이재명 건을 보면서... image 4 국궁진력 2018-06-11 3081
4623 벨기에 여행기 image 5 챠우 2018-06-08 2412
4622 구조론 목요모임 image ahmoo 2018-06-07 1599
4621 친구가 그대를 규정한다. 2 아제 2018-06-05 2198
4620 생명의 바운더리. 아제 2018-06-04 1828
4619 자한당 가고 다음은 조중동 보내기인데... 1 큰바위 2018-06-02 1894
4618 구조론 목요모임 image ahmoo 2018-05-31 1594
4617 <사람이 원하는 것 - 약한고리를 보호해야 한다> image 아란도 2018-05-25 1890
4616 트럼프에 대한 한 가지 일화 image 3 락에이지 2018-05-24 4055
4615 핸드폰에서 구조론 사이트 첫 화면을 열면... 4 다원이 2018-05-24 2133
4614 구조론 목요모임 image ahmoo 2018-05-24 1541
4613 대구 체험학습 휴게소 사건에 대한 생각의 변화 6 이상우 2018-05-22 25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