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6296 vote 0 2010.07.30 (11:31:27)

zzz5.JPG 


영월 한반도마을이다. 표시한 네 지점에 암반이 돌출하여 있다. 그 밑은 깊다.


 zzzk.JPG


물이 바위를 안고 휘돌아 간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는 보통의 상식과 다른 것이다.


zzzttt.JPG


정상적인 코스는 이 경우다. 암벽을 만나면 암벽 뒤에 모래가 쌓이고 물의 진행방향이 꺾여야 한다. 그런데 물이 바위를 안고 돈다.

zzzv.JPG


이것이 흔히 볼 수 있는 정상적인 지형이다. 영일만 호미곶 뒤에 모래가 쌓여있음을
알 수 있다. 동해안에 갯벌이 있어서 이상하다. 선암마을은 구룡포 밑에 모래가 없다.
선암마을의 한반도 지형은 보통의 사행천과 다른 특이지형이다.

zzzc.JPG 

어라연계곡도 선암마을과 비슷한 한반도 지형이다. 역시 구룡포에 모래가 없다. 재미있는 것은 깎여나가야 할 그 반대쪽에 오히려 모래
가 쌓여 상식과는 완전히 반대로 되어 있다는 점이다. 가운데 화살표 부분에 모래가 쌓였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위 옥천한반도와 완전히
반대되는 모습이다. 물이 바위를 만나면 바위를 안고 돌기 때문에 상식과 반대되는 특수지형이 만들어진다. 

물놀이 사고는 상식과 반대되는 이런 지형때문에 일어난다. 구조론의 에너지 조달루트 결정원리로 설명할 수 있다. 계에 밀도가 걸리면
개체는 에너지를 조달받기 쉬운 형태로 정렬하려고 한다. 에너지를 먼저 획득한 쪽이 잉여를 남기면 다른 개체들이 그 잉여를 취하여
모여들기 때문이다. 날은 심을 얻어 에너지를 조달할 수 있다. 물 분자들이 돌출한 절벽을 심으로 삼기 때문에 돌출한 바위를 중심으로
심과 날의 밸런스 구조가 만들어진다. 돌출부가 천칭저울의 축이고 그 왼쪽과 오른쪽이 천칭의 접시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양을 쫓는 모험

2010.07.30 (13:47:11)

작년 구조론 문경 모임에 갔다가 물에 빠져 죽을 뻔했소. 물살이 빨라지다가 큰 바위가 나타났는데, 바로 그 곳이 수심이 가장 깊은 곳이었소. 물이 유입되다가 바위에 부딛히면  물 속에서 휘돌아 나가는데, 그것이 오랜시간 반복되면 점점 모래가 패이면서 수심이 깊어지는 게요. 그 원리를 몸으로 체득했소. 다시는 물가에 안갈테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아란도

2010.07.31 (15:46:12)



물살은 바위를 만나면 서로 부딪힘이 있기에 힘이 세진다.
바위는 조금씩 부서지거나 깍이는데  물은 소용돌이를 만든다.
힘과 힘이 만난 것. 서로 일을 했으니 잉여를 남기는데...
바위는 모래를 남기고 물은 운반한다.
물의 힘은 지형을 만들고 바위의 부서짐은 지현의 환경을 조성한다.

바위가 많은 바닷가를 가보면 바위와 물이 만나는 지점이 가장 위험함을 알 수 있다.
파도도 바위에 부딪히면 크게 물보라를 일으킨다.
지속적으로 부딪히는 것과 부딪히면서 돌아가는 것은 같은 원리?
특히 돌로 된 무인도의 경우를 보면 물살이 세다.
그러나 대체로 바위가 많은 주변에는 그 근처나 그 건너편 섬에 백사장이 있는 경우가 많다.

여름철 물놀이 조심하기...^^
이리 생각해보다 가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540 몽! 도저히 이해가 안간다. @_@ 하늘땅 2002-12-05 16155
539 오마이뉴스가 간당간당한다 image 김동렬 2003-10-15 16164
538 박근혜 대표? 우끼고 자빠졌네 image 김동렬 2004-02-20 16167
537 김경재 박범진의 라디오대담 김동렬 2002-11-12 16172
536 Re..재미있네요..^^ image 자유발 2002-12-01 16172
535 이 틈에 부산을 공략하십시오 아다리 2002-10-17 16177
534 정의장 결단 잘했다 image 김동렬 2004-04-12 16178
533 펌 만화, 효순아 미선아 황인채 2002-12-03 16188
532 쥑이는 노래 : 아빠의 말씀 (또한번 디벼짐다) 관운장 2002-12-10 16189
531 소유란 무엇인가? 김동렬 2007-12-12 16189
530 부바키키효과 image 1 김동렬 2010-12-09 16189
529 DJ가 인기없는 이유는 김동렬 2002-09-18 16195
528 진화는 마이너스다 image 김동렬 2011-07-11 16195
527 손문상화백의 부산일보 만평 image 김동렬 2002-10-28 16200
526 콜라와 햄버거 치킨과 맥주 아다리 2002-10-05 16201
525 김근태의 날마다 아햏햏 image 김동렬 2004-01-07 16202
524 메기의 추억 image 김동렬 2003-06-01 16203
523 이어쓰기 김동렬 2009-02-13 16206
522 피보나치 수열의 원리 image 4 김동렬 2015-05-29 16207
521 시사저널 - 한인옥 10억원 받았다나. 김동렬 2002-11-06 16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