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0]범아일여
read 2011 vote 0 2019.02.24 (21:42:47)


프로필 이미지 [레벨:21]챠우

2019.02.25 (04:00:11)

구조론은 수학적으로 비선형 시스템과 유사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대강 다음 링크에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http://www.aistudy.com/physics/chaos/nonlinear.htm 


제 이야기는 수학적으로는 엄밀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당신에게 어떤 현상이 선형적(인과가 비례적)으로 보인다면, 이는 당신이 대립하는 두 독립 변수 중 하나를 고정시켰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지구를 고정하고 물체만 바라보기 때문에 물체의 운동을 선형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이는 모든 '측정'의 원리입니다. 


한편, 일반적으로 비선형계를 예측하기 어려운 이유는 관찰자가 현상에서 비선형계를 구성하는 변수를 2가지로 압축시키는데 어려움을 겪기 때문입니다. 그 이유는 귀납적 추론을 사용하기 때문이고요. 연역적으로 추론하지 않으므로 생기는 오류입니다.


진화나 발달이 계단식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이러한 비선형 원리 때문입니다. 한 쪽 독립 변수가 아무리 채워져도 다른 쪽 독립 변수가 채워지지 않으면 다음 단계(종속 변수)로 올라갈 수 없습니다. 밸런스 원리라고도 하죠. 


최근 트렌드인 머신러닝과 관련된 비선형성을 생각하시려면 다음 링크도 추천합니다. 보통은 하위의 어떤 다수의 특성(피처, 독립변수)으로 상위의 레이블(정의 혹은 분류, 귀납적으로 봤을 때 종속변수)을 귀납적으로 규정하는 방법을 머신러닝이라고 합니다. 그 방법의 대표적인 예시가 신경망이고요. 

https://developers.google.com/machine-learning/crash-course/feature-crosses/encoding-nonlinearity?hl=ko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4752 네안데르탈인의 조각상? image 김동렬 2009-05-14 8516
4751 곰다방 image 9 양을 쫓는 모험 2009-05-15 4292
4750 일단 2 무위 2009-05-15 3505
4749 초록이 동색이라 본인 홈페이지에 글을 가져다 올렸습니다. 계속 좋은 글 부탁합니다. image 1 arcana 2009-05-16 3467
4748 난 사기를 당하지않았다. 1 꾸이맨 2009-05-18 4007
4747 내가 이시간에 빌게이츠를 만나고 와야했던 이유 image 7 꾸이맨 2009-05-18 4048
4746 설토화 image 23 안단테 2009-05-18 4936
4745 밸런스 맞추기 게임 8 심연 2009-05-20 3824
4744 넝쿨장미가 담을 넘고 있다... image 11 안단테 2009-05-20 7053
4743 일상조각모음. image 3 양을 쫓는 모험 2009-05-21 3467
4742 노무현 대통령, 죽음까지도 그의 역할이던가? image 4 양을 쫓는 모험 2009-05-23 3919
4741 아... 2 오세 2009-05-23 3403
4740 멍 합니다... 독소 2009-05-23 3464
4739 백지입니다. 강철나비 2009-05-23 3746
4738 모든 것이 제 책임입니다. 무위 2009-05-23 3461
4737 슬픕니다.... image 3 안단테 2009-05-23 4005
4736 오늘을 기록함이 역사다. image 3 아란도 2009-05-24 3743
4735 아기장수....... 1 폴라리스 2009-05-24 3467
4734 덕수궁에 다녀왔습니다. 1 스피릿 2009-05-24 3669
4733 무엇이 신앙인가 image 1 Ra.D 2009-05-24 77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