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2]말시인
read 1979 vote 0 2019.02.09 (11:46:35)


https://youtu.be/bwF6T9VTGj4?t=1027



며칠전에 올려주신 동렬님의 이번 유튜브도 잘 보았어요!☆


"우리가 연애하는 이유는 사회로부터 받아들여지고 싶은 마음 때문이다."


라는 해석이 싱기싱기ㅎㅎㅎ 


연애란무의식의결속장치.png




한 편 이런 생각이 들기도 하였어요. 




제 주변 연알못 지인들을 보면, 사회적으로 성공하거나 정착 잘 한 사람들이 많거든요. 


예쁘게들 생겼고 


회사 좋은 데 다니거나 학력도 높고, 


그런데 연애를 너무 하고 싶어하고, 하지만 막상 연애할 상대를 어디서 찾을지 어떻게 만날 수 있을지 고민하고,


주로 여성들이 많이들 이런 편이에요. 


사회로 부터 튕겨져나갈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되는 그녀들이 왜 그렇게 연애에 절절 메는 것일까요? 




동렬님 강의 속 연애하는 이유에 대한 설명의 예시가 남성이어서, 여성에게는 이런 동기가 적용되지 않는 것일까 싶기도 하였어요



남성들의 경우에도 사회생활 멀쩡하게 잘 하지만 그럴 수록 연애를 간절하게 필요로 하고, 소개팅 백전백패하면서 연애가 계속 잘 안되는 경우도 꽤 되거든요. 



사회 주변부에서 사회 안으로 진입하기 위함으로써의 연애 욕망은 이해가 가는 한 편, 


사회 한가운데에 단단하게 자리 잡은 남녀일 수록 더욱 연애에 고파하는 것은 




김민희.jpeg


어떤 이유때문인지 



 201609081536_61180010914921_2.jpg201609081536_61180010914921_1.jpg




넘 넘 궁금하고 알고 싶어 졌어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9.02.09 (14:02:41)

원래 있는 사람이 더 가지고 싶어합니다.
기술이 있으니까 써먹어야지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수원나그네

2019.02.09 (19:43:53)

명답입니다~
[레벨:2]말시인

2019.02.11 (00:07:47)

사회에서 한 자리 차지 한 사람들일 수록 더더욱 탐욕적이게 되는 것과 같은 맥락인 가봐요!

현답 감사해요 동렬님:)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19.02.10 (04:17:26)

잃을 것이 있(다고 생각하)는 경우, 의사결정이 더 힘든 경우가 많죠...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952 대통령을 대상으로 손해배상 청구하는 민사소송이 가능할까요? 열수 2017-02-09 1974
951 <치명적 위협> image 아란도 2014-03-23 1974
950 구조론 역삼동 토론회 image ahmoo 2014-09-04 1973
949 오늘 문득 든 생각인데... 까뮈 2014-05-14 1973
948 . 곱슬이 2012-12-20 1973
947 스스로 "하야" 하라 !! 해안 2016-10-28 1972
946 서울 주제 모임 재공지 챠우 2016-04-29 1972
945 gotye - somebody 오케스트라 챠우 2016-04-16 1972
944 역삼동 정기모임 공지 image 냥모 2014-06-05 1972
943 흥미진진 수원대 ! 2 수원나그네 2015-12-14 1971
942 진리는 집이 아니라 길입니다. 3 상동 2015-05-05 1970
941 6년 전 노대통령 국민장 시청 모습 2 까뮈 2015-05-23 1968
940 11일 구조론 광주모임(문제가 문제여) 탈춤 2014-04-11 1968
939 유사과학 퇴치하자 1 ahmoo 2018-08-12 1967
938 독일은 에너지 혁명중 수원나그네 2015-08-27 1967
937 2월 2일 영화 '판도라'를 리뷰하는 세미나가 열립니다~ image 수원나그네 2017-01-20 1966
936 박근혜 하야 상빈 2016-11-07 1965
935 [속보] 영덕주민투표, 핵발전소를 압도적으로 반대하다 수원나그네 2015-11-13 1965
934 세상이 하도 어처구니 없어 힘 빠지죠. 2 까뮈 2014-10-05 1965
933 Goodbye vs badbye 큰바위 2016-12-10 19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