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9]systema
read 2210 vote 0 2019.02.03 (05:31:49)

전체와 부분사이에 무엇이 있을까? 질서가 있다. 깨지는 점은 부분을 원한다면 전체를 얻어야 한다는 것이다.

부분을 원해서 부분을 가져가려 할때 철저하게 깨진다. 강군을 원하면서 신분제는 철폐하기 싫고.. 그러다가 깨진다.

부분은 그냥 있는 것이 아니라, 질서를 통과하여 있다. 부분을 얻기 위해서는 부분을 엮어낸 질서, 그 질서를 낳아낸 

자궁까지 통째로 얻어야 한다. 전체가 하나의 에너지원을 공유한다.

 공간의 대칭은 게임이론이나 지정학적 전략이나, 내가 죽던지 상대방이 죽던지 하는 제로섬 게임에서 잘 드러난다. 각별한

것은 시간의 호응이다. 공간에서는 경쟁자를 주목하면서 경쟁자의 실책을 역이용할때, 시간에서는 만물을 달고 갈 수 있다.

하나의 에너지원에 공유시키고 토대를 장악한다면, 적도 아군같이 사용할 수 있다. 

 소설이라면 혹은 영화라면, 시작부터 끝까지 긴장감을 밀고 갈 수 있는가가 태작과 명작을 가르는 하나의 기준이 될 수 있겠다. 만약 가문의 원수를 갚겠다면, 스승을 찾는데 2년, 무공을 익히는데 3년, 전략을 세우고 동료를 모으는데 5년 도합 10년의

세월이 그럭저럭 이해가 가겠지만, 기르던 강아지의 원수를 갚기 위해서라면? 5년간 무공을 익혀 보신탕 장사꾼에게 복수한다? 황당하다. 여기서 패턴발견. 시작안에 끝이 있고 시작의 에너지가 끝을 결정한다. 그렇다면? 사건을 예측할 수 있다.

 시작이 반이다. 왜? 시작에서 전체를 끌고가는 에너지의 크기가 결정되기 때문에. 그렇다면 나머지 반은? 에너지의 운용에서 결정난다. 엄밀하게 말하자면 시작이 전부다. 에너지의 운용은 에너지의 발생이 전제이므로. 호응이다. 인생이라는 사건을 조직하려면 결국 시작을 잘 조직해야 된다는 이야기. 그 사람이 가진 에너지의 크기가 인생이라는 사건을 끌고가는 원동력이 된다.

그냥 있는 것은 없다. 모든 것은 질서를 통과하여 존재한다. 질서를 엮어내니 미학이고, 질서를 풀어내니 역학이다. 이상주의로 얻는 것은 세력이고 세력의 힘으로 현실을 바꾼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317
453 상호작용이 교육의 핵심이다 -아무 관리자* 2012-10-21 3286
452 시작은 존엄 -양모 2 관리자* 2012-10-21 3022
451 김어준과 구조론으로 놀다 -안현진 관리자* 2012-10-21 3238
450 구조론 심리학Intro: 구조론은 심리학이다. -오세 관리자* 2012-10-21 3026
449 구조론 심리학Structural Psychology 1: 욕망론 -오세 관리자* 2012-10-21 3739
448 고민이다, 고민이 아니다 -안현진 관리자* 2012-10-21 3127
447 음악 프로듀서의 구조론 - intro - Ra.d 관리자* 2012-10-21 3321
446 드라마, 골든 타임 보신 적 있나요? (갈등상황의 대화법적 해결을 중심으로) 이상우 관리자* 2012-10-21 3748
445 아! 겸재 정선 -스마일 관리자* 2012-10-21 3171
444 예술 선언 -담 관리자* 2012-10-21 2930
443 초등교사 카페에 올라온 글인데 어떻게들 생각하시오. -이상우 관리자* 2012-10-21 3687
442 팔푼이들을 제압하는 방법 김동렬* 2012-10-21 3336
441 구조론적인 습관 1 김동렬 2012-07-05 3403
440 하나부터 열까지 다 허튼소리. image 4 김동렬 2012-07-03 4302
439 진화의 오류? image 10 김동렬 2012-06-06 15544
438 제민일보 칼럼 - 방향을 이야기하는 교육 3 ahmoo 2012-05-30 3175
437 진화 - 과학의 붕괴 image 1 김동렬 2012-05-17 4482
436 한옥 짓는 순서 2 김동렬 2012-05-07 6439
435 과학의 25가지 난제들 2 김동렬 2012-04-19 5630
434 벌인척 하는 벌레 image 4 김동렬 2012-04-16 6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