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9]systema
read 2203 vote 0 2019.02.03 (05:31:49)

전체와 부분사이에 무엇이 있을까? 질서가 있다. 깨지는 점은 부분을 원한다면 전체를 얻어야 한다는 것이다.

부분을 원해서 부분을 가져가려 할때 철저하게 깨진다. 강군을 원하면서 신분제는 철폐하기 싫고.. 그러다가 깨진다.

부분은 그냥 있는 것이 아니라, 질서를 통과하여 있다. 부분을 얻기 위해서는 부분을 엮어낸 질서, 그 질서를 낳아낸 

자궁까지 통째로 얻어야 한다. 전체가 하나의 에너지원을 공유한다.

 공간의 대칭은 게임이론이나 지정학적 전략이나, 내가 죽던지 상대방이 죽던지 하는 제로섬 게임에서 잘 드러난다. 각별한

것은 시간의 호응이다. 공간에서는 경쟁자를 주목하면서 경쟁자의 실책을 역이용할때, 시간에서는 만물을 달고 갈 수 있다.

하나의 에너지원에 공유시키고 토대를 장악한다면, 적도 아군같이 사용할 수 있다. 

 소설이라면 혹은 영화라면, 시작부터 끝까지 긴장감을 밀고 갈 수 있는가가 태작과 명작을 가르는 하나의 기준이 될 수 있겠다. 만약 가문의 원수를 갚겠다면, 스승을 찾는데 2년, 무공을 익히는데 3년, 전략을 세우고 동료를 모으는데 5년 도합 10년의

세월이 그럭저럭 이해가 가겠지만, 기르던 강아지의 원수를 갚기 위해서라면? 5년간 무공을 익혀 보신탕 장사꾼에게 복수한다? 황당하다. 여기서 패턴발견. 시작안에 끝이 있고 시작의 에너지가 끝을 결정한다. 그렇다면? 사건을 예측할 수 있다.

 시작이 반이다. 왜? 시작에서 전체를 끌고가는 에너지의 크기가 결정되기 때문에. 그렇다면 나머지 반은? 에너지의 운용에서 결정난다. 엄밀하게 말하자면 시작이 전부다. 에너지의 운용은 에너지의 발생이 전제이므로. 호응이다. 인생이라는 사건을 조직하려면 결국 시작을 잘 조직해야 된다는 이야기. 그 사람이 가진 에너지의 크기가 인생이라는 사건을 끌고가는 원동력이 된다.

그냥 있는 것은 없다. 모든 것은 질서를 통과하여 존재한다. 질서를 엮어내니 미학이고, 질서를 풀어내니 역학이다. 이상주의로 얻는 것은 세력이고 세력의 힘으로 현실을 바꾼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306
473 차 한잔 어떻소. -아제 관리자* 2012-10-21 3098
472 둘 과 셋 -지여 관리자* 2012-10-21 2867
471 "애니팡 하트시스템" 이거 재미있다. -담 관리자* 2012-10-21 4711
470 家族하라. - 아제 관리자* 2012-10-21 2740
469 한 700억 쯤 한가하게 살 수 있다면 -담 관리자* 2012-10-21 2929
468 애니팡 피할 수 있을까? -담 관리자* 2012-10-21 2989
467 문재인과 문재인들은, 비선출 권력을 민주화하라. -담 관리자* 2012-10-21 3036
466 대한민국, 존엄의 자궁을 만들다. -담 관리자* 2012-10-21 2897
465 구조가 느껴지는것 같다. -soul 관리자* 2012-10-21 3479
464 싸이도 김기덕도 정답이 아니다 -오세 image 관리자* 2012-10-21 3479
463 묶기,옮기기,풀기. -아제 관리자* 2012-10-21 2910
462 가지치기 -부하지하 관리자* 2012-10-21 3228
461 툭. -아제 관리자* 2012-10-21 2801
460 동그라미 태풍이 무섭다. -아제 관리자* 2012-10-21 2917
459 구조론 심리학3. 남자들이여, 치마를 입어라! -오세 image 관리자* 2012-10-21 6515
458 심판, 하지 말아라 - 오세 관리자* 2012-10-21 2931
457 구조론 심리학2. 엄마아빠 찾지 말아라. -오세 1 관리자* 2012-10-21 3324
456 철수의 생각 -오세 관리자* 2012-10-21 3137
455 지성은 없다. -오세 관리자* 2012-10-21 3169
454 상호작용의 문제는 사람의 질(인격)이 결정한다. -오세 관리자* 2012-10-21 31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