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9]systema
read 2202 vote 0 2019.02.03 (05:31:49)

전체와 부분사이에 무엇이 있을까? 질서가 있다. 깨지는 점은 부분을 원한다면 전체를 얻어야 한다는 것이다.

부분을 원해서 부분을 가져가려 할때 철저하게 깨진다. 강군을 원하면서 신분제는 철폐하기 싫고.. 그러다가 깨진다.

부분은 그냥 있는 것이 아니라, 질서를 통과하여 있다. 부분을 얻기 위해서는 부분을 엮어낸 질서, 그 질서를 낳아낸 

자궁까지 통째로 얻어야 한다. 전체가 하나의 에너지원을 공유한다.

 공간의 대칭은 게임이론이나 지정학적 전략이나, 내가 죽던지 상대방이 죽던지 하는 제로섬 게임에서 잘 드러난다. 각별한

것은 시간의 호응이다. 공간에서는 경쟁자를 주목하면서 경쟁자의 실책을 역이용할때, 시간에서는 만물을 달고 갈 수 있다.

하나의 에너지원에 공유시키고 토대를 장악한다면, 적도 아군같이 사용할 수 있다. 

 소설이라면 혹은 영화라면, 시작부터 끝까지 긴장감을 밀고 갈 수 있는가가 태작과 명작을 가르는 하나의 기준이 될 수 있겠다. 만약 가문의 원수를 갚겠다면, 스승을 찾는데 2년, 무공을 익히는데 3년, 전략을 세우고 동료를 모으는데 5년 도합 10년의

세월이 그럭저럭 이해가 가겠지만, 기르던 강아지의 원수를 갚기 위해서라면? 5년간 무공을 익혀 보신탕 장사꾼에게 복수한다? 황당하다. 여기서 패턴발견. 시작안에 끝이 있고 시작의 에너지가 끝을 결정한다. 그렇다면? 사건을 예측할 수 있다.

 시작이 반이다. 왜? 시작에서 전체를 끌고가는 에너지의 크기가 결정되기 때문에. 그렇다면 나머지 반은? 에너지의 운용에서 결정난다. 엄밀하게 말하자면 시작이 전부다. 에너지의 운용은 에너지의 발생이 전제이므로. 호응이다. 인생이라는 사건을 조직하려면 결국 시작을 잘 조직해야 된다는 이야기. 그 사람이 가진 에너지의 크기가 인생이라는 사건을 끌고가는 원동력이 된다.

그냥 있는 것은 없다. 모든 것은 질서를 통과하여 존재한다. 질서를 엮어내니 미학이고, 질서를 풀어내니 역학이다. 이상주의로 얻는 것은 세력이고 세력의 힘으로 현실을 바꾼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305
493 시험문제 3 - 성철과 숭산 15 김동렬 2012-11-13 5213
492 시험문제 2 - 아이유 뭐가 문제? 16 김동렬 2012-11-12 5592
491 과잉이 대박이 어미다 2 ░담 2012-11-11 3219
490 깨달음 시험문제 7 김동렬 2012-11-10 4475
489 복권 당첨~! 1 아제 2012-11-10 3152
488 싸이와 함께 말춤을 3 ahmoo 2012-11-05 3346
487 최악의 디자인은 이런 거. image 3 김동렬 2012-11-04 4915
486 혼자 가기로 했다 2005 05 26 image 3 눈내리는 마을 2012-11-04 3265
485 마음의 방향. 2 아제 2012-11-03 3459
484 마음의 하루. 1 아제 2012-11-03 2895
483 다음 시대의 강자를 마중하는 복지가 정치의 일이다 이성광 2012-11-03 3372
482 한글의 과학성 김동렬 2012-10-30 7195
481 오랑캐와 오랑우탄 김동렬 2012-10-30 6720
480 민 놈이 진짜다. 2 아제 2012-10-28 3526
479 21세기의 민족 image 눈내리는 마을 2012-10-27 2820
478 김기덕이 영화 "아리랑"으로 한 일 2 ░담 2012-10-26 3934
477 정보문화콘텐츠 생산 지원 시스템 ░담 2012-10-26 3035
476 쌈지뜨면 지나니.. 1 아제 2012-10-22 3320
475 정보기반 문명이란 깨달음의 계절이다, 혁명의 일상화다 -담 1 관리자* 2012-10-21 3500
474 소집의 종소리. -아제 관리자* 2012-10-21 28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