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9]systema
read 2199 vote 0 2019.02.03 (05:31:49)

전체와 부분사이에 무엇이 있을까? 질서가 있다. 깨지는 점은 부분을 원한다면 전체를 얻어야 한다는 것이다.

부분을 원해서 부분을 가져가려 할때 철저하게 깨진다. 강군을 원하면서 신분제는 철폐하기 싫고.. 그러다가 깨진다.

부분은 그냥 있는 것이 아니라, 질서를 통과하여 있다. 부분을 얻기 위해서는 부분을 엮어낸 질서, 그 질서를 낳아낸 

자궁까지 통째로 얻어야 한다. 전체가 하나의 에너지원을 공유한다.

 공간의 대칭은 게임이론이나 지정학적 전략이나, 내가 죽던지 상대방이 죽던지 하는 제로섬 게임에서 잘 드러난다. 각별한

것은 시간의 호응이다. 공간에서는 경쟁자를 주목하면서 경쟁자의 실책을 역이용할때, 시간에서는 만물을 달고 갈 수 있다.

하나의 에너지원에 공유시키고 토대를 장악한다면, 적도 아군같이 사용할 수 있다. 

 소설이라면 혹은 영화라면, 시작부터 끝까지 긴장감을 밀고 갈 수 있는가가 태작과 명작을 가르는 하나의 기준이 될 수 있겠다. 만약 가문의 원수를 갚겠다면, 스승을 찾는데 2년, 무공을 익히는데 3년, 전략을 세우고 동료를 모으는데 5년 도합 10년의

세월이 그럭저럭 이해가 가겠지만, 기르던 강아지의 원수를 갚기 위해서라면? 5년간 무공을 익혀 보신탕 장사꾼에게 복수한다? 황당하다. 여기서 패턴발견. 시작안에 끝이 있고 시작의 에너지가 끝을 결정한다. 그렇다면? 사건을 예측할 수 있다.

 시작이 반이다. 왜? 시작에서 전체를 끌고가는 에너지의 크기가 결정되기 때문에. 그렇다면 나머지 반은? 에너지의 운용에서 결정난다. 엄밀하게 말하자면 시작이 전부다. 에너지의 운용은 에너지의 발생이 전제이므로. 호응이다. 인생이라는 사건을 조직하려면 결국 시작을 잘 조직해야 된다는 이야기. 그 사람이 가진 에너지의 크기가 인생이라는 사건을 끌고가는 원동력이 된다.

그냥 있는 것은 없다. 모든 것은 질서를 통과하여 존재한다. 질서를 엮어내니 미학이고, 질서를 풀어내니 역학이다. 이상주의로 얻는 것은 세력이고 세력의 힘으로 현실을 바꾼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304
653 인류 부채한도 담 |/_ 2013-08-27 3488
652 여전한 서구의 인종주의 6 김동렬 2013-08-25 5050
651 중국은 왜 대포와 시계를 만들지 못했나? 2 김동렬 2013-08-24 6126
650 생각의 정석 9회 오세 2013-08-22 3187
649 페이스북에서 본 어이없는 글 2 오세 2013-08-21 7033
648 아빠 어디가, 사승봉도가 무인도? image 1 김동렬 2013-08-19 6661
647 어디서 본 역겨운 글 image 2 김동렬 2013-08-19 5166
646 이 거짓말에 대해 논해보시오. 7 김동렬 2013-08-18 5026
645 뭘까요? image 17 김동렬 2013-08-16 5445
644 영장류 연구의 권위자 프란스 드발의 헛소리 2 오세 2013-08-15 4448
643 생각의 정석 8회 (충격대예언-박근혜의 운명에서 2013년 하반기 트렌드로 변경) 2 오세 2013-08-14 4908
642 설국열차를 탈출하라 - 제민포럼 4 ahmoo 2013-08-12 4431
641 생각의 정석 7회 3 오세 2013-08-08 4080
640 카스트 제도 비극의 원인은? 22 김동렬 2013-08-04 9524
639 생각의정석 6회 주제 오세 2013-08-01 4098
638 설국열차의 진실은? image 4 김동렬 2013-07-31 6775
637 맞다고 생각하시오? 11 김동렬 2013-07-31 6266
636 생각의 정석 5회 1 오세 2013-07-25 4712
635 못하는 능력 담 |/_ 2013-07-24 3812
634 진격의 강물. 4 아제 2013-07-24 43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