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9]systema
read 2037 vote 0 2019.02.03 (05:31:49)

전체와 부분사이에 무엇이 있을까? 질서가 있다. 깨지는 점은 부분을 원한다면 전체를 얻어야 한다는 것이다.

부분을 원해서 부분을 가져가려 할때 철저하게 깨진다. 강군을 원하면서 신분제는 철폐하기 싫고.. 그러다가 깨진다.

부분은 그냥 있는 것이 아니라, 질서를 통과하여 있다. 부분을 얻기 위해서는 부분을 엮어낸 질서, 그 질서를 낳아낸 

자궁까지 통째로 얻어야 한다. 전체가 하나의 에너지원을 공유한다.

 공간의 대칭은 게임이론이나 지정학적 전략이나, 내가 죽던지 상대방이 죽던지 하는 제로섬 게임에서 잘 드러난다. 각별한

것은 시간의 호응이다. 공간에서는 경쟁자를 주목하면서 경쟁자의 실책을 역이용할때, 시간에서는 만물을 달고 갈 수 있다.

하나의 에너지원에 공유시키고 토대를 장악한다면, 적도 아군같이 사용할 수 있다. 

 소설이라면 혹은 영화라면, 시작부터 끝까지 긴장감을 밀고 갈 수 있는가가 태작과 명작을 가르는 하나의 기준이 될 수 있겠다. 만약 가문의 원수를 갚겠다면, 스승을 찾는데 2년, 무공을 익히는데 3년, 전략을 세우고 동료를 모으는데 5년 도합 10년의

세월이 그럭저럭 이해가 가겠지만, 기르던 강아지의 원수를 갚기 위해서라면? 5년간 무공을 익혀 보신탕 장사꾼에게 복수한다? 황당하다. 여기서 패턴발견. 시작안에 끝이 있고 시작의 에너지가 끝을 결정한다. 그렇다면? 사건을 예측할 수 있다.

 시작이 반이다. 왜? 시작에서 전체를 끌고가는 에너지의 크기가 결정되기 때문에. 그렇다면 나머지 반은? 에너지의 운용에서 결정난다. 엄밀하게 말하자면 시작이 전부다. 에너지의 운용은 에너지의 발생이 전제이므로. 호응이다. 인생이라는 사건을 조직하려면 결국 시작을 잘 조직해야 된다는 이야기. 그 사람이 가진 에너지의 크기가 인생이라는 사건을 끌고가는 원동력이 된다.

그냥 있는 것은 없다. 모든 것은 질서를 통과하여 존재한다. 질서를 엮어내니 미학이고, 질서를 풀어내니 역학이다. 이상주의로 얻는 것은 세력이고 세력의 힘으로 현실을 바꾼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2969
1368 간단한 구조분석 systema 2017-11-23 1740
1367 생명탈핵실크로드 12 - 후원의 밤 영상 image 수원나그네 2017-11-19 1720
1366 러빙 빈센트를 보고 image 7 김동렬 2017-11-16 3515
1365 진화의 방아쇠 김동렬 2017-11-16 2060
1364 AK 대 M16 명총은? 2 김동렬 2017-11-15 2832
1363 2017-11-15 포항지진5.5 image 수원나그네 2017-11-15 1706
1362 진실은 사람을 불편하게 한다. systema 2017-11-15 1619
1361 생명탈핵실크로드11 - 인도순례 및 옥천행사 image 수원나그네 2017-11-14 1625
1360 환경이 행동을 규정한다. 김동렬 2017-11-14 1841
1359 자른 흔적도 붙인 흔적도 없다. 아제 2017-11-12 1792
1358 생명탈핵실크로드 10 - 재미있었던 날들 그리고 옥천행사 image 수원나그네 2017-11-11 1764
1357 관점. 1 아제 2017-11-11 1580
1356 인간성장의 5단계 이상우 2017-11-09 2058
1355 시간의 인과율에서 공간의 인과율로 1 systema 2017-11-08 1804
1354 생각의 방향성을 탐구하다. systema 2017-11-04 1836
1353 완전성은 무엇인가. 2 systema 2017-11-04 1596
1352 생명탈핵실크로드 9 - 국가안보의 기초 image 수원나그네 2017-10-28 1567
1351 티라노의 발목 image 1 김동렬 2017-10-26 4014
1350 구조론 단상 1 systema 2017-10-26 1732
1349 생명탈핵실크로드 소식 8 - 방콕기자회견 및 발표자료 image 수원나그네 2017-10-25 17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