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9]systema
read 2232 vote 0 2019.02.03 (05:31:49)

전체와 부분사이에 무엇이 있을까? 질서가 있다. 깨지는 점은 부분을 원한다면 전체를 얻어야 한다는 것이다.

부분을 원해서 부분을 가져가려 할때 철저하게 깨진다. 강군을 원하면서 신분제는 철폐하기 싫고.. 그러다가 깨진다.

부분은 그냥 있는 것이 아니라, 질서를 통과하여 있다. 부분을 얻기 위해서는 부분을 엮어낸 질서, 그 질서를 낳아낸 

자궁까지 통째로 얻어야 한다. 전체가 하나의 에너지원을 공유한다.

 공간의 대칭은 게임이론이나 지정학적 전략이나, 내가 죽던지 상대방이 죽던지 하는 제로섬 게임에서 잘 드러난다. 각별한

것은 시간의 호응이다. 공간에서는 경쟁자를 주목하면서 경쟁자의 실책을 역이용할때, 시간에서는 만물을 달고 갈 수 있다.

하나의 에너지원에 공유시키고 토대를 장악한다면, 적도 아군같이 사용할 수 있다. 

 소설이라면 혹은 영화라면, 시작부터 끝까지 긴장감을 밀고 갈 수 있는가가 태작과 명작을 가르는 하나의 기준이 될 수 있겠다. 만약 가문의 원수를 갚겠다면, 스승을 찾는데 2년, 무공을 익히는데 3년, 전략을 세우고 동료를 모으는데 5년 도합 10년의

세월이 그럭저럭 이해가 가겠지만, 기르던 강아지의 원수를 갚기 위해서라면? 5년간 무공을 익혀 보신탕 장사꾼에게 복수한다? 황당하다. 여기서 패턴발견. 시작안에 끝이 있고 시작의 에너지가 끝을 결정한다. 그렇다면? 사건을 예측할 수 있다.

 시작이 반이다. 왜? 시작에서 전체를 끌고가는 에너지의 크기가 결정되기 때문에. 그렇다면 나머지 반은? 에너지의 운용에서 결정난다. 엄밀하게 말하자면 시작이 전부다. 에너지의 운용은 에너지의 발생이 전제이므로. 호응이다. 인생이라는 사건을 조직하려면 결국 시작을 잘 조직해야 된다는 이야기. 그 사람이 가진 에너지의 크기가 인생이라는 사건을 끌고가는 원동력이 된다.

그냥 있는 것은 없다. 모든 것은 질서를 통과하여 존재한다. 질서를 엮어내니 미학이고, 질서를 풀어내니 역학이다. 이상주의로 얻는 것은 세력이고 세력의 힘으로 현실을 바꾼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521
1655 생명로드57- 원전위험공익제보센터 고문변호사 초빙 타겟기부 image 4 수원나그네 2020-04-28 1258
1654 몬티홀 문제 재소환, 믿음의 문제. 1 이금재. 2020-04-20 1530
1653 생명로드56 - 새 국회의 탄생과 주요행사안내 image 수원나그네 2020-04-16 50579
1652 생명로드55 - 기후위기시대의 문법을 생각한다 수원나그네 2020-04-12 1148
1651 일이관지 1 systema 2020-03-31 1586
1650 생명로드54 - 2020동해안 탈핵 걷기 image 수원나그네 2020-03-16 1350
1649 생명로드53 - 유럽 첫순례를 마치며 image 2 수원나그네 2020-03-14 1371
1648 공유의 시대 [제민] ahmoo 2020-03-11 1504
1647 콜럼버스의 진실 1 김동렬 2020-03-10 2165
1646 음악의 세가지 균일 image 오민규 2020-03-02 1351
1645 이사지왕은 누구인가? 1 김동렬 2020-02-24 3270
1644 사건의 단위 systema 2020-02-10 1543
1643 참 나쁜 자유당 4 김동렬 2020-02-01 2920
1642 맞대응의 원리 systema 2020-01-27 1416
1641 생명로드 52 - 2020 여름 유럽순례일정을 소개합니다~ image 수원나그네 2020-01-23 1337
1640 이념이 밥이다. 1 systema 2020-01-13 1510
1639 생산력은 권력의 생산규모이다. 2 현강 2020-01-12 1426
1638 하나를 바꾸려면 전부 다 바꿔야 한다. 현강 2020-01-09 1485
1637 올해는 북극이 춥고 남쪽이 따뜻하다 image 1 김동렬 2020-01-08 1869
1636 인간이 쓰는 언어에는 그럴만한 사정이 있다. 현강 2020-01-08 1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