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9]systema
read 2230 vote 0 2019.02.03 (05:31:49)

전체와 부분사이에 무엇이 있을까? 질서가 있다. 깨지는 점은 부분을 원한다면 전체를 얻어야 한다는 것이다.

부분을 원해서 부분을 가져가려 할때 철저하게 깨진다. 강군을 원하면서 신분제는 철폐하기 싫고.. 그러다가 깨진다.

부분은 그냥 있는 것이 아니라, 질서를 통과하여 있다. 부분을 얻기 위해서는 부분을 엮어낸 질서, 그 질서를 낳아낸 

자궁까지 통째로 얻어야 한다. 전체가 하나의 에너지원을 공유한다.

 공간의 대칭은 게임이론이나 지정학적 전략이나, 내가 죽던지 상대방이 죽던지 하는 제로섬 게임에서 잘 드러난다. 각별한

것은 시간의 호응이다. 공간에서는 경쟁자를 주목하면서 경쟁자의 실책을 역이용할때, 시간에서는 만물을 달고 갈 수 있다.

하나의 에너지원에 공유시키고 토대를 장악한다면, 적도 아군같이 사용할 수 있다. 

 소설이라면 혹은 영화라면, 시작부터 끝까지 긴장감을 밀고 갈 수 있는가가 태작과 명작을 가르는 하나의 기준이 될 수 있겠다. 만약 가문의 원수를 갚겠다면, 스승을 찾는데 2년, 무공을 익히는데 3년, 전략을 세우고 동료를 모으는데 5년 도합 10년의

세월이 그럭저럭 이해가 가겠지만, 기르던 강아지의 원수를 갚기 위해서라면? 5년간 무공을 익혀 보신탕 장사꾼에게 복수한다? 황당하다. 여기서 패턴발견. 시작안에 끝이 있고 시작의 에너지가 끝을 결정한다. 그렇다면? 사건을 예측할 수 있다.

 시작이 반이다. 왜? 시작에서 전체를 끌고가는 에너지의 크기가 결정되기 때문에. 그렇다면 나머지 반은? 에너지의 운용에서 결정난다. 엄밀하게 말하자면 시작이 전부다. 에너지의 운용은 에너지의 발생이 전제이므로. 호응이다. 인생이라는 사건을 조직하려면 결국 시작을 잘 조직해야 된다는 이야기. 그 사람이 가진 에너지의 크기가 인생이라는 사건을 끌고가는 원동력이 된다.

그냥 있는 것은 없다. 모든 것은 질서를 통과하여 존재한다. 질서를 엮어내니 미학이고, 질서를 풀어내니 역학이다. 이상주의로 얻는 것은 세력이고 세력의 힘으로 현실을 바꾼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520
1675 생각하기 힘든생각을 대신 생각해주시는 수고로움 image 1 가혹한너 2008-10-14 4974
1674 궁금한데요... 2 다원이 2009-06-15 4968
1673 그냥 사는게 사는걸까요? 1 가혹한너 2009-02-16 4967
1672 백년해로할 배우자를 만나는 방법 1 빨간풍차 2008-12-28 4965
1671 조선은 왜 망했는가? image 김동렬 2015-03-05 4961
1670 한 방에 이해하는 구조론 image 2 김동렬 2014-12-03 4950
1669 예술은 대칭이다. image 1 김동렬 2013-12-11 4950
1668 큰넘을 잡았구려. image 2 dallimz 2009-01-14 4935
1667 이명박의 자전거가 골로 가는 이유 image 2 김동렬 2010-12-27 4933
1666 이말년의 예언 김동렬 2016-05-19 4932
1665 달과 손가락. 6 아제 2010-02-03 4929
1664 인간이 원하는것 image dksnow 2022-08-04 4927
1663 김용옥의 수준 1 김동렬 2015-03-01 4925
1662 한국 진보의 잘못: '합리성'과 '영성' 2 눈내리는 마을 2009-01-29 4925
1661 아이의 문제에 교사가 휘말릴 때 image 2 이상우 2023-06-13 4919
1660 최악의 디자인은 이런 거. image 3 김동렬 2012-11-04 4919
1659 중국의 소수민족 위구르 시위를 보며 1 눈내리는 마을 2009-07-12 4919
1658 왼발이 커지는 원리에 대해서 1 기준님하 2010-02-02 4918
1657 북미 관계 어떻게 볼것인가 4 눈내리는 마을 2009-02-24 4915
1656 여자의 19금 발언 2 김동렬 2014-11-07 4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