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9]systema
read 2245 vote 0 2019.02.03 (05:31:49)

전체와 부분사이에 무엇이 있을까? 질서가 있다. 깨지는 점은 부분을 원한다면 전체를 얻어야 한다는 것이다.

부분을 원해서 부분을 가져가려 할때 철저하게 깨진다. 강군을 원하면서 신분제는 철폐하기 싫고.. 그러다가 깨진다.

부분은 그냥 있는 것이 아니라, 질서를 통과하여 있다. 부분을 얻기 위해서는 부분을 엮어낸 질서, 그 질서를 낳아낸 

자궁까지 통째로 얻어야 한다. 전체가 하나의 에너지원을 공유한다.

 공간의 대칭은 게임이론이나 지정학적 전략이나, 내가 죽던지 상대방이 죽던지 하는 제로섬 게임에서 잘 드러난다. 각별한

것은 시간의 호응이다. 공간에서는 경쟁자를 주목하면서 경쟁자의 실책을 역이용할때, 시간에서는 만물을 달고 갈 수 있다.

하나의 에너지원에 공유시키고 토대를 장악한다면, 적도 아군같이 사용할 수 있다. 

 소설이라면 혹은 영화라면, 시작부터 끝까지 긴장감을 밀고 갈 수 있는가가 태작과 명작을 가르는 하나의 기준이 될 수 있겠다. 만약 가문의 원수를 갚겠다면, 스승을 찾는데 2년, 무공을 익히는데 3년, 전략을 세우고 동료를 모으는데 5년 도합 10년의

세월이 그럭저럭 이해가 가겠지만, 기르던 강아지의 원수를 갚기 위해서라면? 5년간 무공을 익혀 보신탕 장사꾼에게 복수한다? 황당하다. 여기서 패턴발견. 시작안에 끝이 있고 시작의 에너지가 끝을 결정한다. 그렇다면? 사건을 예측할 수 있다.

 시작이 반이다. 왜? 시작에서 전체를 끌고가는 에너지의 크기가 결정되기 때문에. 그렇다면 나머지 반은? 에너지의 운용에서 결정난다. 엄밀하게 말하자면 시작이 전부다. 에너지의 운용은 에너지의 발생이 전제이므로. 호응이다. 인생이라는 사건을 조직하려면 결국 시작을 잘 조직해야 된다는 이야기. 그 사람이 가진 에너지의 크기가 인생이라는 사건을 끌고가는 원동력이 된다.

그냥 있는 것은 없다. 모든 것은 질서를 통과하여 존재한다. 질서를 엮어내니 미학이고, 질서를 풀어내니 역학이다. 이상주의로 얻는 것은 세력이고 세력의 힘으로 현실을 바꾼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615
1695 집 한 채의 미학. 6 아제 2010-02-04 5058
1694 이야기를 만드는 방법 1 김동렬 2013-10-21 5057
1693 시선의 방향 4 lpet 2010-10-27 5057
1692 여전한 서구의 인종주의 6 김동렬 2013-08-25 5052
1691 요즘 초딩들은 무서워. image 김동렬 2015-05-06 5048
1690 답이 나온 문제 18 김동렬 2013-02-27 5044
1689 뇌에 ‘유령 신경세포’ 많다 2 김동렬 2011-01-18 5038
1688 이 거짓말에 대해 논해보시오. 7 김동렬 2013-08-18 5030
1687 노무현이 죽는 이유 그리고 우리가 필승하는 방법 4 이기준 2009-07-22 5030
1686 [질문] 개념도에 나오는 모래시계의 사례에서. 3 르페 2009-01-06 5028
1685 쉬어가며 읽는 글: 우리는 왜 자본주의를 해야하는 거죠? 기준님하 2009-07-23 5017
1684 '기준님하'의 '노무현이 죽는 이유에' 대한 댓글. 3 눈내리는 마을 2009-07-24 5009
1683 본격 변희재 때리는 만화 image 7 김동렬 2016-10-10 5007
1682 시스템에서 감각으로 5 양을 쫓는 모험 2009-06-04 5006
1681 진화의 목적은 없는가? 9 김동렬 2013-12-29 5004
1680 존재론과 인식론 아제 2010-12-09 4998
1679 구조론 1번 읽은 기념 글쓰기 image 3 이상우 2010-01-31 4995
1678 남자는 진보의 적이다 image 4 김동렬 2013-06-26 4991
1677 김유신묘 관련 이야기 조금 더 김동렬 2012-03-04 4977
1676 생각하기 힘든생각을 대신 생각해주시는 수고로움 image 1 가혹한너 2008-10-14 49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