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9]systema
read 2264 vote 0 2019.02.03 (05:31:49)

전체와 부분사이에 무엇이 있을까? 질서가 있다. 깨지는 점은 부분을 원한다면 전체를 얻어야 한다는 것이다.

부분을 원해서 부분을 가져가려 할때 철저하게 깨진다. 강군을 원하면서 신분제는 철폐하기 싫고.. 그러다가 깨진다.

부분은 그냥 있는 것이 아니라, 질서를 통과하여 있다. 부분을 얻기 위해서는 부분을 엮어낸 질서, 그 질서를 낳아낸 

자궁까지 통째로 얻어야 한다. 전체가 하나의 에너지원을 공유한다.

 공간의 대칭은 게임이론이나 지정학적 전략이나, 내가 죽던지 상대방이 죽던지 하는 제로섬 게임에서 잘 드러난다. 각별한

것은 시간의 호응이다. 공간에서는 경쟁자를 주목하면서 경쟁자의 실책을 역이용할때, 시간에서는 만물을 달고 갈 수 있다.

하나의 에너지원에 공유시키고 토대를 장악한다면, 적도 아군같이 사용할 수 있다. 

 소설이라면 혹은 영화라면, 시작부터 끝까지 긴장감을 밀고 갈 수 있는가가 태작과 명작을 가르는 하나의 기준이 될 수 있겠다. 만약 가문의 원수를 갚겠다면, 스승을 찾는데 2년, 무공을 익히는데 3년, 전략을 세우고 동료를 모으는데 5년 도합 10년의

세월이 그럭저럭 이해가 가겠지만, 기르던 강아지의 원수를 갚기 위해서라면? 5년간 무공을 익혀 보신탕 장사꾼에게 복수한다? 황당하다. 여기서 패턴발견. 시작안에 끝이 있고 시작의 에너지가 끝을 결정한다. 그렇다면? 사건을 예측할 수 있다.

 시작이 반이다. 왜? 시작에서 전체를 끌고가는 에너지의 크기가 결정되기 때문에. 그렇다면 나머지 반은? 에너지의 운용에서 결정난다. 엄밀하게 말하자면 시작이 전부다. 에너지의 운용은 에너지의 발생이 전제이므로. 호응이다. 인생이라는 사건을 조직하려면 결국 시작을 잘 조직해야 된다는 이야기. 그 사람이 가진 에너지의 크기가 인생이라는 사건을 끌고가는 원동력이 된다.

그냥 있는 것은 없다. 모든 것은 질서를 통과하여 존재한다. 질서를 엮어내니 미학이고, 질서를 풀어내니 역학이다. 이상주의로 얻는 것은 세력이고 세력의 힘으로 현실을 바꾼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795
135 음악의 세가지 균일 image 오민규 2020-03-02 1361
134 서울역 목요 모임(마스크 필수) image 오리 2020-09-23 1360
133 구조론 목요모임(서울역) image 오리 2020-08-06 1359
132 서울역 목요 모임(마스크 필수) image 오리 2020-10-07 1357
131 생명로드54 - 2020동해안 탈핵 걷기 image 수원나그네 2020-03-16 1357
130 큰 수의 원리 1 현강 2020-08-30 1356
129 오늘이 의사 파업일입니다. 1 회사원 2020-08-21 1354
128 량의 되먹임 현강 2020-08-01 1354
127 정은 동으로부터 연출된다. 1 현강 2020-08-03 1353
126 목요 오프모임 재개 [ 3층 ] image 4 김동렬 2022-04-13 1345
125 '군자론' 책을 기대합니다~ 1 수원나그네 2020-06-05 1344
124 생명로드 52 - 2020 여름 유럽순례일정을 소개합니다~ image 수원나그네 2020-01-23 1344
123 생명로드46- "현장에 해답 있다" 원전안전기술문제 아카데미 개설 image 1 수원나그네 2019-10-03 1342
122 격주 목요 (온)오프모임 일단 합니다. image 김동렬 2022-02-16 1336
121 구조론 용어를 헷갈려하는 경우 현강 2019-08-05 1336
120 학습에 대하여 현강 2020-08-21 1334
119 에너지 루트를 점검하자 systema 2019-07-27 1334
118 중첩은 1이다. 현강 2020-08-12 1333
117 진정한 시장경제를 위한 토지정책 image 수원나그네 2020-07-05 1333
116 구조론 목요모임(서울역) image 2 오리 2020-07-15 13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