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9]systema
read 2085 vote 0 2019.02.03 (05:31:49)

전체와 부분사이에 무엇이 있을까? 질서가 있다. 깨지는 점은 부분을 원한다면 전체를 얻어야 한다는 것이다.

부분을 원해서 부분을 가져가려 할때 철저하게 깨진다. 강군을 원하면서 신분제는 철폐하기 싫고.. 그러다가 깨진다.

부분은 그냥 있는 것이 아니라, 질서를 통과하여 있다. 부분을 얻기 위해서는 부분을 엮어낸 질서, 그 질서를 낳아낸 

자궁까지 통째로 얻어야 한다. 전체가 하나의 에너지원을 공유한다.

 공간의 대칭은 게임이론이나 지정학적 전략이나, 내가 죽던지 상대방이 죽던지 하는 제로섬 게임에서 잘 드러난다. 각별한

것은 시간의 호응이다. 공간에서는 경쟁자를 주목하면서 경쟁자의 실책을 역이용할때, 시간에서는 만물을 달고 갈 수 있다.

하나의 에너지원에 공유시키고 토대를 장악한다면, 적도 아군같이 사용할 수 있다. 

 소설이라면 혹은 영화라면, 시작부터 끝까지 긴장감을 밀고 갈 수 있는가가 태작과 명작을 가르는 하나의 기준이 될 수 있겠다. 만약 가문의 원수를 갚겠다면, 스승을 찾는데 2년, 무공을 익히는데 3년, 전략을 세우고 동료를 모으는데 5년 도합 10년의

세월이 그럭저럭 이해가 가겠지만, 기르던 강아지의 원수를 갚기 위해서라면? 5년간 무공을 익혀 보신탕 장사꾼에게 복수한다? 황당하다. 여기서 패턴발견. 시작안에 끝이 있고 시작의 에너지가 끝을 결정한다. 그렇다면? 사건을 예측할 수 있다.

 시작이 반이다. 왜? 시작에서 전체를 끌고가는 에너지의 크기가 결정되기 때문에. 그렇다면 나머지 반은? 에너지의 운용에서 결정난다. 엄밀하게 말하자면 시작이 전부다. 에너지의 운용은 에너지의 발생이 전제이므로. 호응이다. 인생이라는 사건을 조직하려면 결국 시작을 잘 조직해야 된다는 이야기. 그 사람이 가진 에너지의 크기가 인생이라는 사건을 끌고가는 원동력이 된다.

그냥 있는 것은 없다. 모든 것은 질서를 통과하여 존재한다. 질서를 엮어내니 미학이고, 질서를 풀어내니 역학이다. 이상주의로 얻는 것은 세력이고 세력의 힘으로 현실을 바꾼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3187
2008 혈액형 삼국지 image 2 김동렬 2013-02-09 7378
2007 언어의 의미란 무엇인가? 1 김동렬 2016-10-01 7366
2006 붉은 수수밭 image 김동렬 2013-10-23 7348
2005 남극빙어와 진화 4 다원이 2009-04-14 7345
2004 질문 -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image 24 김동렬 2013-01-11 7337
2003 최악의 디자인 제네시스 image 3 김동렬 2013-11-14 7322
2002 척력. 2 아제 2010-07-14 7299
2001 바둑을 하면 머리가 좋아진다? 3 오세 2010-07-15 7290
2000 비움과 채움의 균형잡기 image 3 ahmoo 2009-05-14 7286
1999 서정윤 시인은 왜 망가졌을까? 3 김동렬 2013-11-20 7263
1998 안녕하십니까? 감히 요청드립니다. 20 나투나 2010-07-21 7260
1997 구조론적 언어진화론의 가능성 4 LPET 2009-11-15 7260
1996 같다와 다르다. 2 아제 2010-07-28 7255
1995 MSG는 유해한가? 9 김동렬 2013-03-04 7251
1994 김동렬님께 질문이 1 나그네 2008-01-26 7216
1993 격투기에 관한 구조론적 해석 image 2 양을 쫓는 모험 2011-10-02 7202
1992 라운키에르 식물 생활형 분류 챠우 2015-01-14 7193
1991 생물의 진화 image 5 김동렬 2013-11-12 7173
1990 한글의 과학성 김동렬 2012-10-30 7171
1989 깨달음을 그리다 영번역 두 번째 image 15 ahmoo 2010-01-18 7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