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9]systema
read 2212 vote 0 2019.02.03 (05:31:49)

전체와 부분사이에 무엇이 있을까? 질서가 있다. 깨지는 점은 부분을 원한다면 전체를 얻어야 한다는 것이다.

부분을 원해서 부분을 가져가려 할때 철저하게 깨진다. 강군을 원하면서 신분제는 철폐하기 싫고.. 그러다가 깨진다.

부분은 그냥 있는 것이 아니라, 질서를 통과하여 있다. 부분을 얻기 위해서는 부분을 엮어낸 질서, 그 질서를 낳아낸 

자궁까지 통째로 얻어야 한다. 전체가 하나의 에너지원을 공유한다.

 공간의 대칭은 게임이론이나 지정학적 전략이나, 내가 죽던지 상대방이 죽던지 하는 제로섬 게임에서 잘 드러난다. 각별한

것은 시간의 호응이다. 공간에서는 경쟁자를 주목하면서 경쟁자의 실책을 역이용할때, 시간에서는 만물을 달고 갈 수 있다.

하나의 에너지원에 공유시키고 토대를 장악한다면, 적도 아군같이 사용할 수 있다. 

 소설이라면 혹은 영화라면, 시작부터 끝까지 긴장감을 밀고 갈 수 있는가가 태작과 명작을 가르는 하나의 기준이 될 수 있겠다. 만약 가문의 원수를 갚겠다면, 스승을 찾는데 2년, 무공을 익히는데 3년, 전략을 세우고 동료를 모으는데 5년 도합 10년의

세월이 그럭저럭 이해가 가겠지만, 기르던 강아지의 원수를 갚기 위해서라면? 5년간 무공을 익혀 보신탕 장사꾼에게 복수한다? 황당하다. 여기서 패턴발견. 시작안에 끝이 있고 시작의 에너지가 끝을 결정한다. 그렇다면? 사건을 예측할 수 있다.

 시작이 반이다. 왜? 시작에서 전체를 끌고가는 에너지의 크기가 결정되기 때문에. 그렇다면 나머지 반은? 에너지의 운용에서 결정난다. 엄밀하게 말하자면 시작이 전부다. 에너지의 운용은 에너지의 발생이 전제이므로. 호응이다. 인생이라는 사건을 조직하려면 결국 시작을 잘 조직해야 된다는 이야기. 그 사람이 가진 에너지의 크기가 인생이라는 사건을 끌고가는 원동력이 된다.

그냥 있는 것은 없다. 모든 것은 질서를 통과하여 존재한다. 질서를 엮어내니 미학이고, 질서를 풀어내니 역학이다. 이상주의로 얻는 것은 세력이고 세력의 힘으로 현실을 바꾼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322
513 <이 달의 가짜뉴스·나쁜뉴스> 공모 image 11 수원나그네 2021-02-04 2138
512 반쪽 부동산 정책! 2 아나키(÷) 2020-12-17 2135
511 미국의 검사장 선출제도에 대한 고견을 듣고 싶습니다. 4 수원나그네 2018-05-01 2133
510 [김익중] 10만년 괴롭힐 핵폐기물 수원나그네 2018-02-15 2127
509 일 잘하는 관료의 특징 1 수원나그네 2019-01-04 2125
508 요즘 한창 검찰 때려 잡고 있는 중인데~ 1 수원나그네 2018-05-15 2122
507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3-08-16 2119
506 비슷한 둘을 짝지어 보세요 image 10 챠우 2019-08-15 2112
505 개인에게만 책임 물어서는 아동학대 문제해결 안된다. 1 이상우 2021-09-22 2110
504 멋진 번역 - Transforming Han River’s Tail into a Center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mage 2 수원나그네 2019-06-06 2106
503 대칭중첩 1 바람21 2021-12-03 2105
502 like의 의미 1 이금재. 2020-09-09 2105
501 게임에서 탈출하기 systema 2017-07-09 2100
500 베이즈주의 VS 빈도주의(표준통계학) 3 챠우 2019-08-15 2099
499 학습의 원리 이금재. 2021-01-09 2097
498 코로나 2년 남짓 후 dksnow 2022-01-07 2096
497 목요모임 25일 목요일 image 1 김동렬 2021-11-24 2096
496 인생의 목적 이상우 2021-01-29 2094
495 조선일보 고발 + '가짜뉴스'상금 60만원 image 수원나그네 2021-03-08 2091
494 바른 정의란 무엇인가 1 다음 2021-08-30 20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