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9]systema
read 2213 vote 0 2019.02.03 (05:31:49)

전체와 부분사이에 무엇이 있을까? 질서가 있다. 깨지는 점은 부분을 원한다면 전체를 얻어야 한다는 것이다.

부분을 원해서 부분을 가져가려 할때 철저하게 깨진다. 강군을 원하면서 신분제는 철폐하기 싫고.. 그러다가 깨진다.

부분은 그냥 있는 것이 아니라, 질서를 통과하여 있다. 부분을 얻기 위해서는 부분을 엮어낸 질서, 그 질서를 낳아낸 

자궁까지 통째로 얻어야 한다. 전체가 하나의 에너지원을 공유한다.

 공간의 대칭은 게임이론이나 지정학적 전략이나, 내가 죽던지 상대방이 죽던지 하는 제로섬 게임에서 잘 드러난다. 각별한

것은 시간의 호응이다. 공간에서는 경쟁자를 주목하면서 경쟁자의 실책을 역이용할때, 시간에서는 만물을 달고 갈 수 있다.

하나의 에너지원에 공유시키고 토대를 장악한다면, 적도 아군같이 사용할 수 있다. 

 소설이라면 혹은 영화라면, 시작부터 끝까지 긴장감을 밀고 갈 수 있는가가 태작과 명작을 가르는 하나의 기준이 될 수 있겠다. 만약 가문의 원수를 갚겠다면, 스승을 찾는데 2년, 무공을 익히는데 3년, 전략을 세우고 동료를 모으는데 5년 도합 10년의

세월이 그럭저럭 이해가 가겠지만, 기르던 강아지의 원수를 갚기 위해서라면? 5년간 무공을 익혀 보신탕 장사꾼에게 복수한다? 황당하다. 여기서 패턴발견. 시작안에 끝이 있고 시작의 에너지가 끝을 결정한다. 그렇다면? 사건을 예측할 수 있다.

 시작이 반이다. 왜? 시작에서 전체를 끌고가는 에너지의 크기가 결정되기 때문에. 그렇다면 나머지 반은? 에너지의 운용에서 결정난다. 엄밀하게 말하자면 시작이 전부다. 에너지의 운용은 에너지의 발생이 전제이므로. 호응이다. 인생이라는 사건을 조직하려면 결국 시작을 잘 조직해야 된다는 이야기. 그 사람이 가진 에너지의 크기가 인생이라는 사건을 끌고가는 원동력이 된다.

그냥 있는 것은 없다. 모든 것은 질서를 통과하여 존재한다. 질서를 엮어내니 미학이고, 질서를 풀어내니 역학이다. 이상주의로 얻는 것은 세력이고 세력의 힘으로 현실을 바꾼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326
533 윤석열이 대통령이 된 것은 어떤 의미가 있는가? 이상우 2022-03-21 2197
532 가설연역법에 기반한 상호작용 시스템 chow 2022-12-11 2186
531 개의 탄생 김동렬 2018-02-15 2182
530 관점의 이동 image 1 systema 2018-02-22 2181
529 유럽 순례를 재개합니다~ image 3 수원나그네 2021-12-29 2178
528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3-11-09 2177
527 게잡아보세. 1 김동렬 2017-09-14 2172
526 [좌담] 평화의 열쇠는 판문점, 워싱턴 아닌 광화문에 있다 image 수원나그네 2018-05-13 2169
525 종로에서 뺨맞고 1 chowchow 2021-12-28 2164
524 베트남은 왜 월남이 되었는가? 1 김동렬 2018-01-15 2164
523 P-NP 문제 1 이금재. 2020-11-07 2162
522 콜럼버스의 진실 1 김동렬 2020-03-10 2162
521 AI 시대의 대학강의/시험에 대한 새로운 실험 1 수원나그네 2019-05-20 2162
520 2002-2022 dksnow 2022-12-12 2159
519 적신호 우회전? chowchow 2022-01-13 2156
518 [김어준-이정윤] 냉각수 떨어지면 자동차 터지듯이 원전도 위험 수원나그네 2017-11-24 2154
517 탈북작가 장진성 대표(뉴포커스) 입장 표명 영상 수피아 2021-01-30 2145
516 땅값 집값 문제 18 - 핀란드 모델 image 수원나그네 2018-01-30 2145
515 죄수의 딜레마에서 개인에게 주어진 두가지 선택지와, 또다른 선택지 image mowl 2021-11-02 2143
514 한국인이 영어가 안 되는 진짜 이유 5 이금재. 2020-06-01 2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