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9]systema
read 2222 vote 0 2019.02.03 (05:31:49)

전체와 부분사이에 무엇이 있을까? 질서가 있다. 깨지는 점은 부분을 원한다면 전체를 얻어야 한다는 것이다.

부분을 원해서 부분을 가져가려 할때 철저하게 깨진다. 강군을 원하면서 신분제는 철폐하기 싫고.. 그러다가 깨진다.

부분은 그냥 있는 것이 아니라, 질서를 통과하여 있다. 부분을 얻기 위해서는 부분을 엮어낸 질서, 그 질서를 낳아낸 

자궁까지 통째로 얻어야 한다. 전체가 하나의 에너지원을 공유한다.

 공간의 대칭은 게임이론이나 지정학적 전략이나, 내가 죽던지 상대방이 죽던지 하는 제로섬 게임에서 잘 드러난다. 각별한

것은 시간의 호응이다. 공간에서는 경쟁자를 주목하면서 경쟁자의 실책을 역이용할때, 시간에서는 만물을 달고 갈 수 있다.

하나의 에너지원에 공유시키고 토대를 장악한다면, 적도 아군같이 사용할 수 있다. 

 소설이라면 혹은 영화라면, 시작부터 끝까지 긴장감을 밀고 갈 수 있는가가 태작과 명작을 가르는 하나의 기준이 될 수 있겠다. 만약 가문의 원수를 갚겠다면, 스승을 찾는데 2년, 무공을 익히는데 3년, 전략을 세우고 동료를 모으는데 5년 도합 10년의

세월이 그럭저럭 이해가 가겠지만, 기르던 강아지의 원수를 갚기 위해서라면? 5년간 무공을 익혀 보신탕 장사꾼에게 복수한다? 황당하다. 여기서 패턴발견. 시작안에 끝이 있고 시작의 에너지가 끝을 결정한다. 그렇다면? 사건을 예측할 수 있다.

 시작이 반이다. 왜? 시작에서 전체를 끌고가는 에너지의 크기가 결정되기 때문에. 그렇다면 나머지 반은? 에너지의 운용에서 결정난다. 엄밀하게 말하자면 시작이 전부다. 에너지의 운용은 에너지의 발생이 전제이므로. 호응이다. 인생이라는 사건을 조직하려면 결국 시작을 잘 조직해야 된다는 이야기. 그 사람이 가진 에너지의 크기가 인생이라는 사건을 끌고가는 원동력이 된다.

그냥 있는 것은 없다. 모든 것은 질서를 통과하여 존재한다. 질서를 엮어내니 미학이고, 질서를 풀어내니 역학이다. 이상주의로 얻는 것은 세력이고 세력의 힘으로 현실을 바꾼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359
573 돌연변이의 의미 image chow 2022-07-01 2358
572 멍청한 설명 4 chowchow 2021-12-27 2358
571 하버드 특강 image 김동렬 2018-04-16 2356
570 에너지 유도와 리더의 도출. 2 systema 2017-09-20 2352
569 인간의 수명 증가 이유 - 냉장시설 dksnow 2023-07-31 2350
568 어렸을 적의 결론 1 다음 2021-03-01 2347
567 구조론으로 익힌것 2 존재-확율 눈마 2017-01-06 2346
566 버스 노선의 운명 레인3 2021-10-06 2344
565 생명탈핵 실크로드는 지금 image 1 김동렬 2017-06-18 2344
564 아인슈타인의 시계 이금재. 2021-09-24 2333
563 영남일보 살아있네. 김동렬 2018-03-19 2331
562 학교폭력 해결방법에 대한 어느 방송국의 진단 이상우 2021-11-10 2319
561 목요 토론모임 공지 image 2 김동렬 2021-10-27 2316
560 탈원전 333 (8월 8일 현재) 30 수원나그네 2018-07-28 2315
559 파인만 별 거 없네, 무한과 재규격화 6 chow 2023-01-29 2310
558 땅값 집값 문제 1 - 디카프리오의 선택 image 수원나그네 2018-01-11 2303
557 [제민] 소유의 비극을 넘어 1 ahmoo 2018-04-24 2300
556 테슬라의 실패 이금재. 2021-11-02 2295
555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3-07-05 2294
554 목요모임 image 1 김동렬 2021-11-10 22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