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9]systema
read 2086 vote 0 2019.02.03 (05:31:49)

전체와 부분사이에 무엇이 있을까? 질서가 있다. 깨지는 점은 부분을 원한다면 전체를 얻어야 한다는 것이다.

부분을 원해서 부분을 가져가려 할때 철저하게 깨진다. 강군을 원하면서 신분제는 철폐하기 싫고.. 그러다가 깨진다.

부분은 그냥 있는 것이 아니라, 질서를 통과하여 있다. 부분을 얻기 위해서는 부분을 엮어낸 질서, 그 질서를 낳아낸 

자궁까지 통째로 얻어야 한다. 전체가 하나의 에너지원을 공유한다.

 공간의 대칭은 게임이론이나 지정학적 전략이나, 내가 죽던지 상대방이 죽던지 하는 제로섬 게임에서 잘 드러난다. 각별한

것은 시간의 호응이다. 공간에서는 경쟁자를 주목하면서 경쟁자의 실책을 역이용할때, 시간에서는 만물을 달고 갈 수 있다.

하나의 에너지원에 공유시키고 토대를 장악한다면, 적도 아군같이 사용할 수 있다. 

 소설이라면 혹은 영화라면, 시작부터 끝까지 긴장감을 밀고 갈 수 있는가가 태작과 명작을 가르는 하나의 기준이 될 수 있겠다. 만약 가문의 원수를 갚겠다면, 스승을 찾는데 2년, 무공을 익히는데 3년, 전략을 세우고 동료를 모으는데 5년 도합 10년의

세월이 그럭저럭 이해가 가겠지만, 기르던 강아지의 원수를 갚기 위해서라면? 5년간 무공을 익혀 보신탕 장사꾼에게 복수한다? 황당하다. 여기서 패턴발견. 시작안에 끝이 있고 시작의 에너지가 끝을 결정한다. 그렇다면? 사건을 예측할 수 있다.

 시작이 반이다. 왜? 시작에서 전체를 끌고가는 에너지의 크기가 결정되기 때문에. 그렇다면 나머지 반은? 에너지의 운용에서 결정난다. 엄밀하게 말하자면 시작이 전부다. 에너지의 운용은 에너지의 발생이 전제이므로. 호응이다. 인생이라는 사건을 조직하려면 결국 시작을 잘 조직해야 된다는 이야기. 그 사람이 가진 에너지의 크기가 인생이라는 사건을 끌고가는 원동력이 된다.

그냥 있는 것은 없다. 모든 것은 질서를 통과하여 존재한다. 질서를 엮어내니 미학이고, 질서를 풀어내니 역학이다. 이상주의로 얻는 것은 세력이고 세력의 힘으로 현실을 바꾼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3200
2068 마루치 아라치의 기원 2 김동렬 2011-02-14 8668
2067 흑인이 백인처럼 문명을 발달시키지 못한 이유 10 김동렬 2017-08-14 8632
2066 범어와 한국어의 유사성 image 3 김동렬 2014-03-18 8608
2065 에디슨의 명언 image 5 김동렬 2013-12-12 8608
2064 콜럼버스의 달걀 image 2 양을 쫓는 모험 2010-12-26 8597
2063 거북선의 진실 image 3 김동렬 2015-10-17 8582
2062 [re] 문명과 대중 그리고 지식 1 김동렬 2006-03-01 8564
2061 문제란 무엇인가? image 6 양을 쫓는 모험 2010-07-16 8550
2060 두더지의 눈 image 1 김동렬 2012-01-04 8544
2059 나쁜감독, 김기덕 바이오그라피(1996-2009) image 11 양을 쫓는 모험 2009-11-28 8482
2058 결혼의 조건 image 5 양을 쫓는 모험 2010-06-12 8458
2057 징병제가 낫다. 1 양을 쫓는 모험 2009-06-16 8449
2056 팬택과 노키아가 망한 이유 3 챠우 2014-11-30 8425
2055 구조론으로 본 영어 어원(엑셀파일로 정리함) 1 오세 2010-05-16 8415
2054 6천년 전에 세워진 아일랜드 고인돌 image 2 김동렬 2011-05-25 8408
2053 스티브 잡스의 아이콘 image 4 양을 쫓는 모험 2010-06-22 8402
2052 구조론 문제.. 모하비의 그릴 image 44 김동렬 2012-12-25 8370
2051 혈액형과 인류구조관점 4 지여 2010-10-31 8345
2050 전치사 혼 안 내기 image 4 김동렬 2015-10-15 8341
2049 글 잘 쓰는 방법 7 김동렬 2013-10-11 8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