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9]systema
read 2040 vote 0 2019.02.03 (05:31:49)

전체와 부분사이에 무엇이 있을까? 질서가 있다. 깨지는 점은 부분을 원한다면 전체를 얻어야 한다는 것이다.

부분을 원해서 부분을 가져가려 할때 철저하게 깨진다. 강군을 원하면서 신분제는 철폐하기 싫고.. 그러다가 깨진다.

부분은 그냥 있는 것이 아니라, 질서를 통과하여 있다. 부분을 얻기 위해서는 부분을 엮어낸 질서, 그 질서를 낳아낸 

자궁까지 통째로 얻어야 한다. 전체가 하나의 에너지원을 공유한다.

 공간의 대칭은 게임이론이나 지정학적 전략이나, 내가 죽던지 상대방이 죽던지 하는 제로섬 게임에서 잘 드러난다. 각별한

것은 시간의 호응이다. 공간에서는 경쟁자를 주목하면서 경쟁자의 실책을 역이용할때, 시간에서는 만물을 달고 갈 수 있다.

하나의 에너지원에 공유시키고 토대를 장악한다면, 적도 아군같이 사용할 수 있다. 

 소설이라면 혹은 영화라면, 시작부터 끝까지 긴장감을 밀고 갈 수 있는가가 태작과 명작을 가르는 하나의 기준이 될 수 있겠다. 만약 가문의 원수를 갚겠다면, 스승을 찾는데 2년, 무공을 익히는데 3년, 전략을 세우고 동료를 모으는데 5년 도합 10년의

세월이 그럭저럭 이해가 가겠지만, 기르던 강아지의 원수를 갚기 위해서라면? 5년간 무공을 익혀 보신탕 장사꾼에게 복수한다? 황당하다. 여기서 패턴발견. 시작안에 끝이 있고 시작의 에너지가 끝을 결정한다. 그렇다면? 사건을 예측할 수 있다.

 시작이 반이다. 왜? 시작에서 전체를 끌고가는 에너지의 크기가 결정되기 때문에. 그렇다면 나머지 반은? 에너지의 운용에서 결정난다. 엄밀하게 말하자면 시작이 전부다. 에너지의 운용은 에너지의 발생이 전제이므로. 호응이다. 인생이라는 사건을 조직하려면 결국 시작을 잘 조직해야 된다는 이야기. 그 사람이 가진 에너지의 크기가 인생이라는 사건을 끌고가는 원동력이 된다.

그냥 있는 것은 없다. 모든 것은 질서를 통과하여 존재한다. 질서를 엮어내니 미학이고, 질서를 풀어내니 역학이다. 이상주의로 얻는 것은 세력이고 세력의 힘으로 현실을 바꾼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2975
1428 게임에 모든 것을 건 사람 1 기준님하 2011-03-02 4336
1427 지성인이 되고 싶습니다. 1 빨간풍차 2008-12-28 4333
1426 영어에 토를 달자 6 김동렬 2017-07-11 4332
1425 역사 영화는 왜 만드는가? image 1 냥모 2015-04-04 4324
1424 달 세계 여행 김동렬 2015-03-17 4324
1423 장하준 교수를 만났소. image 4 양을 쫓는 모험 2010-12-22 4324
1422 Ⅰ. 왜 구조론인가? (논문 발췌) 오세 2010-11-12 4323
1421 한국은 유목민의 나라다 image 3 김동렬 2016-07-25 4322
1420 손주은이나 대치동 똥강사들보다 100배 낳은 최겸 image 3 dksnow 2022-12-07 4315
1419 Sheer 바람21 2022-07-31 4314
1418 정몽주의 실패 김동렬 2014-05-19 4312
1417 지진 무개념 일본 image 4 김동렬 2016-10-18 4310
1416 조선의 3권분립 1 김동렬 2015-03-03 4305
1415 폭락전야 image dksnow 2022-08-31 4287
1414 문제 - 제갈량의 승산은? image 4 김동렬 2013-02-13 4286
1413 순간 계산 궁금하오 17 지여 2011-01-10 4286
1412 하나부터 열까지 다 허튼소리. image 4 김동렬 2012-07-03 4285
1411 척추동물의 탄생? 4 김동렬 2012-03-06 4285
1410 중국의 역사 김동렬 2015-11-14 4282
1409 쫄지 말아야 진보다. 1 김동렬 2012-01-05 42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