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9]systema
read 2136 vote 0 2019.02.03 (05:31:49)

전체와 부분사이에 무엇이 있을까? 질서가 있다. 깨지는 점은 부분을 원한다면 전체를 얻어야 한다는 것이다.

부분을 원해서 부분을 가져가려 할때 철저하게 깨진다. 강군을 원하면서 신분제는 철폐하기 싫고.. 그러다가 깨진다.

부분은 그냥 있는 것이 아니라, 질서를 통과하여 있다. 부분을 얻기 위해서는 부분을 엮어낸 질서, 그 질서를 낳아낸 

자궁까지 통째로 얻어야 한다. 전체가 하나의 에너지원을 공유한다.

 공간의 대칭은 게임이론이나 지정학적 전략이나, 내가 죽던지 상대방이 죽던지 하는 제로섬 게임에서 잘 드러난다. 각별한

것은 시간의 호응이다. 공간에서는 경쟁자를 주목하면서 경쟁자의 실책을 역이용할때, 시간에서는 만물을 달고 갈 수 있다.

하나의 에너지원에 공유시키고 토대를 장악한다면, 적도 아군같이 사용할 수 있다. 

 소설이라면 혹은 영화라면, 시작부터 끝까지 긴장감을 밀고 갈 수 있는가가 태작과 명작을 가르는 하나의 기준이 될 수 있겠다. 만약 가문의 원수를 갚겠다면, 스승을 찾는데 2년, 무공을 익히는데 3년, 전략을 세우고 동료를 모으는데 5년 도합 10년의

세월이 그럭저럭 이해가 가겠지만, 기르던 강아지의 원수를 갚기 위해서라면? 5년간 무공을 익혀 보신탕 장사꾼에게 복수한다? 황당하다. 여기서 패턴발견. 시작안에 끝이 있고 시작의 에너지가 끝을 결정한다. 그렇다면? 사건을 예측할 수 있다.

 시작이 반이다. 왜? 시작에서 전체를 끌고가는 에너지의 크기가 결정되기 때문에. 그렇다면 나머지 반은? 에너지의 운용에서 결정난다. 엄밀하게 말하자면 시작이 전부다. 에너지의 운용은 에너지의 발생이 전제이므로. 호응이다. 인생이라는 사건을 조직하려면 결국 시작을 잘 조직해야 된다는 이야기. 그 사람이 가진 에너지의 크기가 인생이라는 사건을 끌고가는 원동력이 된다.

그냥 있는 것은 없다. 모든 것은 질서를 통과하여 존재한다. 질서를 엮어내니 미학이고, 질서를 풀어내니 역학이다. 이상주의로 얻는 것은 세력이고 세력의 힘으로 현실을 바꾼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3537
1830 kbs 심야토론 정관용진행자의 하차에 대해서 1 가혹한너 2008-11-01 5736
1829 트레일러 파크 보이즈 image 1 김동렬 2019-04-12 5730
1828 어느 쪽이 낫소? image 13 김동렬 2013-05-02 5724
1827 장안생활 격주 목요모임- 출간 파티 image 7 오리 2023-06-07 5716
1826 이런 저런 대화 지여 2009-08-05 5708
1825 왜란 무엇인가? image 4 김동렬 2013-02-07 5701
1824 이상우님이 학생들을 잘 지도하는 방법 기준님하 2010-02-02 5693
1823 추가할거 알려주오. 8 김동렬 2009-12-30 5684
1822 왜 태어났습니까? 10 김동렬 2013-07-22 5680
1821 노블 vs 도킨스 1 오리 2023-03-18 5664
1820 족같은 글이란? 4 김동렬 2015-09-30 5662
1819 한국 고대사의 비밀 image 1 김동렬 2015-11-24 5650
1818 채찍과 당근 5 오세 2010-02-08 5648
1817 한의원의 문제 image 13 김동렬 2015-01-09 5642
1816 s k i n . . image 3 조영민 2010-05-18 5624
1815 질문.. 관점을 포착하라 11 김동렬 2013-04-25 5620
1814 과학의 25가지 난제들 2 김동렬 2012-04-19 5619
1813 공간이란 뭘 까요? 8 율리 2008-10-07 5619
1812 SK, 한국 프로야구의 최대한 image 6 양을 쫓는 모험 2010-04-29 5616
1811 선형분석에서 면적분석으로 (n차에서 n+1차로의 차원이동) 2 눈내리는 마을 2009-07-18 5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