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9]systema
read 2172 vote 0 2019.02.03 (05:31:49)

전체와 부분사이에 무엇이 있을까? 질서가 있다. 깨지는 점은 부분을 원한다면 전체를 얻어야 한다는 것이다.

부분을 원해서 부분을 가져가려 할때 철저하게 깨진다. 강군을 원하면서 신분제는 철폐하기 싫고.. 그러다가 깨진다.

부분은 그냥 있는 것이 아니라, 질서를 통과하여 있다. 부분을 얻기 위해서는 부분을 엮어낸 질서, 그 질서를 낳아낸 

자궁까지 통째로 얻어야 한다. 전체가 하나의 에너지원을 공유한다.

 공간의 대칭은 게임이론이나 지정학적 전략이나, 내가 죽던지 상대방이 죽던지 하는 제로섬 게임에서 잘 드러난다. 각별한

것은 시간의 호응이다. 공간에서는 경쟁자를 주목하면서 경쟁자의 실책을 역이용할때, 시간에서는 만물을 달고 갈 수 있다.

하나의 에너지원에 공유시키고 토대를 장악한다면, 적도 아군같이 사용할 수 있다. 

 소설이라면 혹은 영화라면, 시작부터 끝까지 긴장감을 밀고 갈 수 있는가가 태작과 명작을 가르는 하나의 기준이 될 수 있겠다. 만약 가문의 원수를 갚겠다면, 스승을 찾는데 2년, 무공을 익히는데 3년, 전략을 세우고 동료를 모으는데 5년 도합 10년의

세월이 그럭저럭 이해가 가겠지만, 기르던 강아지의 원수를 갚기 위해서라면? 5년간 무공을 익혀 보신탕 장사꾼에게 복수한다? 황당하다. 여기서 패턴발견. 시작안에 끝이 있고 시작의 에너지가 끝을 결정한다. 그렇다면? 사건을 예측할 수 있다.

 시작이 반이다. 왜? 시작에서 전체를 끌고가는 에너지의 크기가 결정되기 때문에. 그렇다면 나머지 반은? 에너지의 운용에서 결정난다. 엄밀하게 말하자면 시작이 전부다. 에너지의 운용은 에너지의 발생이 전제이므로. 호응이다. 인생이라는 사건을 조직하려면 결국 시작을 잘 조직해야 된다는 이야기. 그 사람이 가진 에너지의 크기가 인생이라는 사건을 끌고가는 원동력이 된다.

그냥 있는 것은 없다. 모든 것은 질서를 통과하여 존재한다. 질서를 엮어내니 미학이고, 질서를 풀어내니 역학이다. 이상주의로 얻는 것은 세력이고 세력의 힘으로 현실을 바꾼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074
1932 목요 오프모임 재개 [ 3층 ] image 4 김동렬 2022-04-13 1336
1931 구조론의 응용 dksnow 2022-04-07 1116
1930 한중일 엘리트 dksnow 2022-03-25 1793
1929 윤석열이 대통령이 된 것은 어떤 의미가 있는가? 이상우 2022-03-21 2189
1928 온라인 모임으로 대체합니다. 김동렬 2022-03-17 1471
1927 가케무샤 석렬 dksnow 2022-03-14 1995
1926 2022년 봄 2 dksnow 2022-03-13 1623
1925 2022-03-10 목요 온라인 모임 오리 2022-03-10 1354
1924 대장동 개발 사업의 그 모든 것 / 사건 연대기를 글로 재구성 1 아란도 2022-03-09 1934
1923 목요 격주 (온) 오프라인 모임 공지 image 1 김동렬 2022-03-02 1315
1922 2022-02-24 구조론 목요 온라인 모임 오리 2022-02-23 1304
1921 흥미로운 고지도 dksnow 2022-02-18 1766
1920 메타버스를 살리는 법 1 chowchow 2022-02-16 1848
1919 격주 목요 (온)오프모임 일단 합니다. image 김동렬 2022-02-16 1328
1918 2022-02-10 목요 온라인 모임 오리 2022-02-10 1305
1917 양구군 해안면 vs 합천 초계분지 image 2 오리 2022-02-08 1975
1916 2022-02-01 구조론 설날 온 오프 모임 image 1 오리 2022-01-31 1996
1915 구조론 번역 게시판 올린 번역물에 대한 의견을 기다립니다. 3 오리 2022-01-28 2224
1914 푹신한 거 찾지마라. image chowchow 2022-01-20 3228
1913 목요 격주 공적모임 공지 image 2 김동렬 2022-01-19 23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