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9]systema
read 2104 vote 0 2019.02.03 (05:31:49)

전체와 부분사이에 무엇이 있을까? 질서가 있다. 깨지는 점은 부분을 원한다면 전체를 얻어야 한다는 것이다.

부분을 원해서 부분을 가져가려 할때 철저하게 깨진다. 강군을 원하면서 신분제는 철폐하기 싫고.. 그러다가 깨진다.

부분은 그냥 있는 것이 아니라, 질서를 통과하여 있다. 부분을 얻기 위해서는 부분을 엮어낸 질서, 그 질서를 낳아낸 

자궁까지 통째로 얻어야 한다. 전체가 하나의 에너지원을 공유한다.

 공간의 대칭은 게임이론이나 지정학적 전략이나, 내가 죽던지 상대방이 죽던지 하는 제로섬 게임에서 잘 드러난다. 각별한

것은 시간의 호응이다. 공간에서는 경쟁자를 주목하면서 경쟁자의 실책을 역이용할때, 시간에서는 만물을 달고 갈 수 있다.

하나의 에너지원에 공유시키고 토대를 장악한다면, 적도 아군같이 사용할 수 있다. 

 소설이라면 혹은 영화라면, 시작부터 끝까지 긴장감을 밀고 갈 수 있는가가 태작과 명작을 가르는 하나의 기준이 될 수 있겠다. 만약 가문의 원수를 갚겠다면, 스승을 찾는데 2년, 무공을 익히는데 3년, 전략을 세우고 동료를 모으는데 5년 도합 10년의

세월이 그럭저럭 이해가 가겠지만, 기르던 강아지의 원수를 갚기 위해서라면? 5년간 무공을 익혀 보신탕 장사꾼에게 복수한다? 황당하다. 여기서 패턴발견. 시작안에 끝이 있고 시작의 에너지가 끝을 결정한다. 그렇다면? 사건을 예측할 수 있다.

 시작이 반이다. 왜? 시작에서 전체를 끌고가는 에너지의 크기가 결정되기 때문에. 그렇다면 나머지 반은? 에너지의 운용에서 결정난다. 엄밀하게 말하자면 시작이 전부다. 에너지의 운용은 에너지의 발생이 전제이므로. 호응이다. 인생이라는 사건을 조직하려면 결국 시작을 잘 조직해야 된다는 이야기. 그 사람이 가진 에너지의 크기가 인생이라는 사건을 끌고가는 원동력이 된다.

그냥 있는 것은 없다. 모든 것은 질서를 통과하여 존재한다. 질서를 엮어내니 미학이고, 질서를 풀어내니 역학이다. 이상주의로 얻는 것은 세력이고 세력의 힘으로 현실을 바꾼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3282
1989 성매매 문제에 대한 합리적인 관점 1 오세 2010-08-04 7141
1988 구조론으로 본 에너지 장애 진단론 1 -에너지 입구의 문제 4 오세 2010-08-11 7135
1987 최소작용의 원리 5 김동렬 2013-09-11 7115
1986 이기는 선거 (승전vs패전) vs(전쟁vs평화) ░담 2010-05-25 7114
1985 사람 노무현 한 결 족보 ░담 2010-01-08 7091
1984 헝가리와 한국 7 김동렬 2012-12-16 7070
1983 스타크래프트의 구조론적 해석 image 3 양을 쫓는 모험 2010-04-01 7060
1982 해군되는것보다는 해적이 되는게 낫다 (It's better to be a pirate than to join the Navy. ) image 2 눈내리는 마을 2009-09-19 7060
1981 읍내리님께 image 1 김동렬 2009-04-09 7058
1980 세상을 바라보는 시선, 생각의 힘. 6 오세 2009-10-15 7052
1979 류시화이야기 펌 image 4 김동렬 2013-12-08 7048
1978 멈추지 말라. 5 아제 2010-07-18 7027
1977 털 없는 인간의 탈모사 2 LPET 2010-01-09 7019
1976 페이스북에서 본 어이없는 글 2 오세 2013-08-21 7016
1975 지역주의의 구조론적 해결방안 질의 1 천왕성 편지 2009-06-15 7005
1974 한국의 20대 초반 젊은이들에게 '구조론'이 말을 건다면. 눈내리는 마을 2010-02-22 7000
1973 오캄의 면도날 1 다원이 2010-09-28 6946
1972 교과목의 분류 3 LPET 2009-11-02 6941
1971 그 변방세력이 주류를 치게 된 이유, 질문하기 ░담 2010-08-06 6936
1970 여성 많은 집단이 문제해결력 높다 6 김동렬 2010-10-01 6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