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9]systema
read 2231 vote 0 2019.02.03 (05:31:49)

전체와 부분사이에 무엇이 있을까? 질서가 있다. 깨지는 점은 부분을 원한다면 전체를 얻어야 한다는 것이다.

부분을 원해서 부분을 가져가려 할때 철저하게 깨진다. 강군을 원하면서 신분제는 철폐하기 싫고.. 그러다가 깨진다.

부분은 그냥 있는 것이 아니라, 질서를 통과하여 있다. 부분을 얻기 위해서는 부분을 엮어낸 질서, 그 질서를 낳아낸 

자궁까지 통째로 얻어야 한다. 전체가 하나의 에너지원을 공유한다.

 공간의 대칭은 게임이론이나 지정학적 전략이나, 내가 죽던지 상대방이 죽던지 하는 제로섬 게임에서 잘 드러난다. 각별한

것은 시간의 호응이다. 공간에서는 경쟁자를 주목하면서 경쟁자의 실책을 역이용할때, 시간에서는 만물을 달고 갈 수 있다.

하나의 에너지원에 공유시키고 토대를 장악한다면, 적도 아군같이 사용할 수 있다. 

 소설이라면 혹은 영화라면, 시작부터 끝까지 긴장감을 밀고 갈 수 있는가가 태작과 명작을 가르는 하나의 기준이 될 수 있겠다. 만약 가문의 원수를 갚겠다면, 스승을 찾는데 2년, 무공을 익히는데 3년, 전략을 세우고 동료를 모으는데 5년 도합 10년의

세월이 그럭저럭 이해가 가겠지만, 기르던 강아지의 원수를 갚기 위해서라면? 5년간 무공을 익혀 보신탕 장사꾼에게 복수한다? 황당하다. 여기서 패턴발견. 시작안에 끝이 있고 시작의 에너지가 끝을 결정한다. 그렇다면? 사건을 예측할 수 있다.

 시작이 반이다. 왜? 시작에서 전체를 끌고가는 에너지의 크기가 결정되기 때문에. 그렇다면 나머지 반은? 에너지의 운용에서 결정난다. 엄밀하게 말하자면 시작이 전부다. 에너지의 운용은 에너지의 발생이 전제이므로. 호응이다. 인생이라는 사건을 조직하려면 결국 시작을 잘 조직해야 된다는 이야기. 그 사람이 가진 에너지의 크기가 인생이라는 사건을 끌고가는 원동력이 된다.

그냥 있는 것은 없다. 모든 것은 질서를 통과하여 존재한다. 질서를 엮어내니 미학이고, 질서를 풀어내니 역학이다. 이상주의로 얻는 것은 세력이고 세력의 힘으로 현실을 바꾼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520
1575 한국시리즈 무료 직관 번개 image 2 ahmoo 2023-11-11 2451
1574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3-08-30 2456
1573 전체와 부분. 1 systema 2017-08-04 2459
1572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4-01-03 2473
1571 사람들이 잘 모르는 확률의 의미 chow 2022-07-08 2481
1570 미적분과 통계 그리고 에너지 이금재. 2021-12-14 2490
1569 수준이하인 과학자들 3 김동렬 2017-11-30 2493
1568 베이즈 추론과 쌍자의 이해 image 2 이금재. 2020-05-09 2497
1567 구조론 단상. systema 2017-06-23 2499
1566 질문이 틀렸어 - 광속 4 이금재. 2021-09-22 2500
1565 행정구역개편 1 - 유역을 기초로 한 행정구역의 필요성 image 수원나그네 2018-04-03 2505
1564 인도에서 한국,일본기업을 대상으로 비지니스호텔을 함께 운영할 분 써니와조나단 2022-07-11 2506
1563 무량판 구조에서 펀칭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 chow 2023-07-30 2518
1562 환원주의 대 창발주의 image 1 다음 2020-08-17 2522
1561 오징어게임과 주식시장 - 고수가 이긴다 2 레인3 2021-10-04 2541
1560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2-09-22 2545
1559 도박사의 오류의 오류 김동렬 2017-12-09 2547
1558 [전달] 양승태 전 대법관 재판거래 파문 관련 문건 전체 공개합니다. image 수원나그네 2018-06-17 2549
1557 정의의 낙차 개념 2 다음 2021-10-14 2551
1556 마술을 꿰뚫어보자. image 2 김동렬 2018-12-07 25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