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9]systema
read 2316 vote 0 2019.02.03 (05:31:49)

전체와 부분사이에 무엇이 있을까? 질서가 있다. 깨지는 점은 부분을 원한다면 전체를 얻어야 한다는 것이다.

부분을 원해서 부분을 가져가려 할때 철저하게 깨진다. 강군을 원하면서 신분제는 철폐하기 싫고.. 그러다가 깨진다.

부분은 그냥 있는 것이 아니라, 질서를 통과하여 있다. 부분을 얻기 위해서는 부분을 엮어낸 질서, 그 질서를 낳아낸 

자궁까지 통째로 얻어야 한다. 전체가 하나의 에너지원을 공유한다.

 공간의 대칭은 게임이론이나 지정학적 전략이나, 내가 죽던지 상대방이 죽던지 하는 제로섬 게임에서 잘 드러난다. 각별한

것은 시간의 호응이다. 공간에서는 경쟁자를 주목하면서 경쟁자의 실책을 역이용할때, 시간에서는 만물을 달고 갈 수 있다.

하나의 에너지원에 공유시키고 토대를 장악한다면, 적도 아군같이 사용할 수 있다. 

 소설이라면 혹은 영화라면, 시작부터 끝까지 긴장감을 밀고 갈 수 있는가가 태작과 명작을 가르는 하나의 기준이 될 수 있겠다. 만약 가문의 원수를 갚겠다면, 스승을 찾는데 2년, 무공을 익히는데 3년, 전략을 세우고 동료를 모으는데 5년 도합 10년의

세월이 그럭저럭 이해가 가겠지만, 기르던 강아지의 원수를 갚기 위해서라면? 5년간 무공을 익혀 보신탕 장사꾼에게 복수한다? 황당하다. 여기서 패턴발견. 시작안에 끝이 있고 시작의 에너지가 끝을 결정한다. 그렇다면? 사건을 예측할 수 있다.

 시작이 반이다. 왜? 시작에서 전체를 끌고가는 에너지의 크기가 결정되기 때문에. 그렇다면 나머지 반은? 에너지의 운용에서 결정난다. 엄밀하게 말하자면 시작이 전부다. 에너지의 운용은 에너지의 발생이 전제이므로. 호응이다. 인생이라는 사건을 조직하려면 결국 시작을 잘 조직해야 된다는 이야기. 그 사람이 가진 에너지의 크기가 인생이라는 사건을 끌고가는 원동력이 된다.

그냥 있는 것은 없다. 모든 것은 질서를 통과하여 존재한다. 질서를 엮어내니 미학이고, 질서를 풀어내니 역학이다. 이상주의로 얻는 것은 세력이고 세력의 힘으로 현실을 바꾼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7046
1677 시대가 깨달음. 2 아제 2012-12-13 3194
1676 쉬운 구조론 문제 image 37 김동렬 2012-12-14 4559
1675 헝가리와 한국 7 김동렬 2012-12-16 7145
1674 망하는 길은 버리는 것이 맞다 2 이성광 2012-12-21 4271
1673 작금의 단상 6 눈내리는 마을 2012-12-21 4252
1672 난리다. 동요 말고, 구조하라 이성광 2012-12-23 3523
1671 구조론 문제 33 김동렬 2012-12-23 4857
1670 구조론 문제 김진태 화백의 경우 image 31 김동렬 2012-12-24 5869
1669 솔로들은 못맞추는 문제 image 19 오세 2012-12-24 6708
1668 쉬운 구조론 문제 image 16 김동렬 2012-12-24 4179
1667 구조론 문제.. 모하비의 그릴 image 44 김동렬 2012-12-25 8494
1666 나름 꼽아본 그릴이 무난한 차 image 1 오세 2012-12-25 3769
1665 여성이 좋아할 만한 차 디자인 image 13 오세 2012-12-25 8030
1664 바다는 육지다 1 이성광 2012-12-26 4273
1663 악어새의 환상 image 10 김동렬 2012-12-26 14168
1662 양영순도 세계진출? image 3 김동렬 2012-12-26 6348
1661 진보는 출세한다 2 담 |/_ 2012-12-27 4044
1660 이성광 2012-12-31 3240
1659 알고 가기, 미국은 후지다. 그네들은 무능하다 image 1 이성광 2013-01-01 4501
1658 문제 왜 인도인은 이기적인가? 26 김동렬 2013-01-08 55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