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9]systema
read 2093 vote 0 2019.02.03 (05:31:49)

전체와 부분사이에 무엇이 있을까? 질서가 있다. 깨지는 점은 부분을 원한다면 전체를 얻어야 한다는 것이다.

부분을 원해서 부분을 가져가려 할때 철저하게 깨진다. 강군을 원하면서 신분제는 철폐하기 싫고.. 그러다가 깨진다.

부분은 그냥 있는 것이 아니라, 질서를 통과하여 있다. 부분을 얻기 위해서는 부분을 엮어낸 질서, 그 질서를 낳아낸 

자궁까지 통째로 얻어야 한다. 전체가 하나의 에너지원을 공유한다.

 공간의 대칭은 게임이론이나 지정학적 전략이나, 내가 죽던지 상대방이 죽던지 하는 제로섬 게임에서 잘 드러난다. 각별한

것은 시간의 호응이다. 공간에서는 경쟁자를 주목하면서 경쟁자의 실책을 역이용할때, 시간에서는 만물을 달고 갈 수 있다.

하나의 에너지원에 공유시키고 토대를 장악한다면, 적도 아군같이 사용할 수 있다. 

 소설이라면 혹은 영화라면, 시작부터 끝까지 긴장감을 밀고 갈 수 있는가가 태작과 명작을 가르는 하나의 기준이 될 수 있겠다. 만약 가문의 원수를 갚겠다면, 스승을 찾는데 2년, 무공을 익히는데 3년, 전략을 세우고 동료를 모으는데 5년 도합 10년의

세월이 그럭저럭 이해가 가겠지만, 기르던 강아지의 원수를 갚기 위해서라면? 5년간 무공을 익혀 보신탕 장사꾼에게 복수한다? 황당하다. 여기서 패턴발견. 시작안에 끝이 있고 시작의 에너지가 끝을 결정한다. 그렇다면? 사건을 예측할 수 있다.

 시작이 반이다. 왜? 시작에서 전체를 끌고가는 에너지의 크기가 결정되기 때문에. 그렇다면 나머지 반은? 에너지의 운용에서 결정난다. 엄밀하게 말하자면 시작이 전부다. 에너지의 운용은 에너지의 발생이 전제이므로. 호응이다. 인생이라는 사건을 조직하려면 결국 시작을 잘 조직해야 된다는 이야기. 그 사람이 가진 에너지의 크기가 인생이라는 사건을 끌고가는 원동력이 된다.

그냥 있는 것은 없다. 모든 것은 질서를 통과하여 존재한다. 질서를 엮어내니 미학이고, 질서를 풀어내니 역학이다. 이상주의로 얻는 것은 세력이고 세력의 힘으로 현실을 바꾼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3231
648 [종전선언기념] 국제기구도시 구상 image 수원나그네 2018-09-22 1909
647 국제기구도시의 발상과 구상과정 image 수원나그네 2018-09-23 1491
646 국제기구 2 눈마 2018-09-25 1556
645 관료를 다루는 법 1 수원나그네 2018-09-25 1753
644 신의 포즈 2 systema 2018-09-26 1805
643 탈원전 333 참여자 명단과 한겨레 7차 모집 image 수원나그네 2018-10-01 1398
642 경주최부자 대구향교 강연회 대성황 image 수원나그네 2018-10-05 1713
641 생명로드 28 - 탈원전, 우리의 양심을 찾는 길 image 2 수원나그네 2018-10-08 1745
640 모두의 동의를 구하기. systema 2018-10-17 1465
639 12월 1일(토) 교동도~한강하구~강화도 북부 산보 image 3 수원나그네 2018-10-21 1983
638 생명로드 29 - [강연] 생명과 탈핵의 코스모폴리스를 향하여 수원나그네 2018-10-24 1715
637 땅값집값 27 - 청와대 김수현 수석의 트라우마 image 수원나그네 2018-10-31 2346
636 생명로드 30 - 국제소송 준비토론회 image 수원나그네 2018-11-02 1234
635 이정우 "김수현은 경제 몰라서 정책실장 곤란" 6 수원나그네 2018-11-05 1928
634 축구하다 다투는 아이들 - 심은 축구하고 싶은 마음 이상우 2018-11-06 1573
633 에너지와 통제 1 systema 2018-11-14 1382
632 12월 1일(토) 걷기행사 다시 알려드립니다. image 2 수원나그네 2018-11-16 1391
631 아우라지 연구 1 김동렬 2018-11-18 2382
630 물때표의 진실 image 김동렬 2018-11-20 3205
629 그린벨트(개발제한구역) 정책토론회 image 3 수원나그네 2018-11-21 15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