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9]systema
read 2069 vote 0 2019.02.03 (05:31:49)

전체와 부분사이에 무엇이 있을까? 질서가 있다. 깨지는 점은 부분을 원한다면 전체를 얻어야 한다는 것이다.

부분을 원해서 부분을 가져가려 할때 철저하게 깨진다. 강군을 원하면서 신분제는 철폐하기 싫고.. 그러다가 깨진다.

부분은 그냥 있는 것이 아니라, 질서를 통과하여 있다. 부분을 얻기 위해서는 부분을 엮어낸 질서, 그 질서를 낳아낸 

자궁까지 통째로 얻어야 한다. 전체가 하나의 에너지원을 공유한다.

 공간의 대칭은 게임이론이나 지정학적 전략이나, 내가 죽던지 상대방이 죽던지 하는 제로섬 게임에서 잘 드러난다. 각별한

것은 시간의 호응이다. 공간에서는 경쟁자를 주목하면서 경쟁자의 실책을 역이용할때, 시간에서는 만물을 달고 갈 수 있다.

하나의 에너지원에 공유시키고 토대를 장악한다면, 적도 아군같이 사용할 수 있다. 

 소설이라면 혹은 영화라면, 시작부터 끝까지 긴장감을 밀고 갈 수 있는가가 태작과 명작을 가르는 하나의 기준이 될 수 있겠다. 만약 가문의 원수를 갚겠다면, 스승을 찾는데 2년, 무공을 익히는데 3년, 전략을 세우고 동료를 모으는데 5년 도합 10년의

세월이 그럭저럭 이해가 가겠지만, 기르던 강아지의 원수를 갚기 위해서라면? 5년간 무공을 익혀 보신탕 장사꾼에게 복수한다? 황당하다. 여기서 패턴발견. 시작안에 끝이 있고 시작의 에너지가 끝을 결정한다. 그렇다면? 사건을 예측할 수 있다.

 시작이 반이다. 왜? 시작에서 전체를 끌고가는 에너지의 크기가 결정되기 때문에. 그렇다면 나머지 반은? 에너지의 운용에서 결정난다. 엄밀하게 말하자면 시작이 전부다. 에너지의 운용은 에너지의 발생이 전제이므로. 호응이다. 인생이라는 사건을 조직하려면 결국 시작을 잘 조직해야 된다는 이야기. 그 사람이 가진 에너지의 크기가 인생이라는 사건을 끌고가는 원동력이 된다.

그냥 있는 것은 없다. 모든 것은 질서를 통과하여 존재한다. 질서를 엮어내니 미학이고, 질서를 풀어내니 역학이다. 이상주의로 얻는 것은 세력이고 세력의 힘으로 현실을 바꾼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3125
2068 스타일에 구속당하는가? 스타일을 주도하는가? 1 양을 쫓는 모험 2009-06-10 4866
2067 삶의 일관성을 일깨우는 교육 image 5 ahmoo 2009-06-10 5392
2066 구조론이 생각하는 '조직관리'가 듣고 싶습니다 3 눈내리는 마을 2009-06-11 5158
2065 뿌듯한 느낌 6 ahmoo 2009-06-14 4554
2064 궁금한데요... 2 다원이 2009-06-15 4956
2063 지역주의의 구조론적 해결방안 질의 1 천왕성 편지 2009-06-15 7003
2062 징병제가 낫다. 1 양을 쫓는 모험 2009-06-16 8448
2061 낳는 일이 존재의 가장 고귀한 목적이다. 3 ahmoo 2009-06-29 4704
2060 무르팍에 나온 '안철수'를 보고 4 눈내리는 마을 2009-07-08 5842
2059 구조론으로 가짜 미네르바 증명하기. 9 양을 쫓는 모험 2009-07-12 4603
2058 중국의 소수민족 위구르 시위를 보며 1 눈내리는 마을 2009-07-12 4911
2057 에너지의 조달방법?? 4 천왕성 편지 2009-07-12 4530
2056 독배 혹은 독백 2 마법사 2009-07-13 4269
2055 질문입니다. 2 마법사 2009-07-13 4046
2054 <상상력>에 대한 질문입니다. 3 마법사 2009-07-13 4611
2053 '어떻게'를 어떻게 이해하면 좋을까요.(구조론291~300p 관련) 7 통나무 2009-07-13 4554
2052 토론의 차원 7 통나무 2009-07-14 4646
2051 선형분석에서 면적분석으로 (n차에서 n+1차로의 차원이동) 2 눈내리는 마을 2009-07-18 5612
2050 페미니즘 image 2 꾸이맨 2009-07-20 4807
2049 김동렬을 대신해서 씀 2 기준님하 2009-07-21 50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