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9]systema
read 2073 vote 0 2019.02.03 (05:31:49)

전체와 부분사이에 무엇이 있을까? 질서가 있다. 깨지는 점은 부분을 원한다면 전체를 얻어야 한다는 것이다.

부분을 원해서 부분을 가져가려 할때 철저하게 깨진다. 강군을 원하면서 신분제는 철폐하기 싫고.. 그러다가 깨진다.

부분은 그냥 있는 것이 아니라, 질서를 통과하여 있다. 부분을 얻기 위해서는 부분을 엮어낸 질서, 그 질서를 낳아낸 

자궁까지 통째로 얻어야 한다. 전체가 하나의 에너지원을 공유한다.

 공간의 대칭은 게임이론이나 지정학적 전략이나, 내가 죽던지 상대방이 죽던지 하는 제로섬 게임에서 잘 드러난다. 각별한

것은 시간의 호응이다. 공간에서는 경쟁자를 주목하면서 경쟁자의 실책을 역이용할때, 시간에서는 만물을 달고 갈 수 있다.

하나의 에너지원에 공유시키고 토대를 장악한다면, 적도 아군같이 사용할 수 있다. 

 소설이라면 혹은 영화라면, 시작부터 끝까지 긴장감을 밀고 갈 수 있는가가 태작과 명작을 가르는 하나의 기준이 될 수 있겠다. 만약 가문의 원수를 갚겠다면, 스승을 찾는데 2년, 무공을 익히는데 3년, 전략을 세우고 동료를 모으는데 5년 도합 10년의

세월이 그럭저럭 이해가 가겠지만, 기르던 강아지의 원수를 갚기 위해서라면? 5년간 무공을 익혀 보신탕 장사꾼에게 복수한다? 황당하다. 여기서 패턴발견. 시작안에 끝이 있고 시작의 에너지가 끝을 결정한다. 그렇다면? 사건을 예측할 수 있다.

 시작이 반이다. 왜? 시작에서 전체를 끌고가는 에너지의 크기가 결정되기 때문에. 그렇다면 나머지 반은? 에너지의 운용에서 결정난다. 엄밀하게 말하자면 시작이 전부다. 에너지의 운용은 에너지의 발생이 전제이므로. 호응이다. 인생이라는 사건을 조직하려면 결국 시작을 잘 조직해야 된다는 이야기. 그 사람이 가진 에너지의 크기가 인생이라는 사건을 끌고가는 원동력이 된다.

그냥 있는 것은 없다. 모든 것은 질서를 통과하여 존재한다. 질서를 엮어내니 미학이고, 질서를 풀어내니 역학이다. 이상주의로 얻는 것은 세력이고 세력의 힘으로 현실을 바꾼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3125
2128 지성인이 되고 싶습니다. 1 빨간풍차 2008-12-28 4333
2127 백년해로할 배우자를 만나는 방법 1 빨간풍차 2008-12-28 4944
2126 대표적인 지성인을 꼽아주시겠습니까. 2 빨간풍차 2008-12-29 4533
2125 이건 수준이 낮은 이야기인지도 모릅니다. 1 빨간풍차 2008-12-30 4415
2124 <연구공간 수유+너머>라는 공간에 대해서는 어떤 생각을 가지고 계신가요. 1 빨간풍차 2008-12-30 4583
2123 거짓말에 대하여 2 빨간풍차 2009-01-01 4517
2122 질문합니다. 4 도플솔드너 2009-01-03 4614
2121 [질문] 개념도에 나오는 모래시계의 사례에서. 3 르페 2009-01-06 5001
2120 질 입자 운동 량 찾기 image 2 dallimz 2009-01-06 6369
2119 과제물 제출 2 꼬치가리 2009-01-07 4384
2118 구조분석의 문제. 2 김동렬 2009-01-08 4623
2117 구조론이란 무엇인가? 1 김동렬 2009-01-11 4410
2116 문화발전의 5단계 1 르페 2009-01-11 5488
2115 아무님의 교육 5단계론에 대한 생각. 3 르페 2009-01-11 4670
2114 파일업로드 테스트 image 1 김동렬 2009-01-14 4699
2113 큰넘을 잡았구려. image 2 dallimz 2009-01-14 4907
2112 만나기 1 ahmoo 2009-01-14 4478
2111 허전함과 뻑적지근함 2 르페 2009-01-16 5211
2110 서늘한 날. image 3 참삶 2009-01-16 5230
2109 질이라 함은.. 9 도플솔드너 2009-01-20 48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