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9]systema
read 1848 vote 1 2019.05.04 (04:06:22)

글을 써보고 알게되는 것인데, 필자가 글을 쓰는게 아니라 글이 글을 쓴다. 전제가 진술을 부르고, 주어가 동사를 부른다. 글이 산만해 지지 않고 긴장감 유지하기 위해서는?  첫 문단, 첫 문장이 강렬해야 한다. 강렬한 만남, 강렬한 부딪힘으로 글 전체를 이끌어가는 긴장감을 얻는다. 


뜬금없이 글 이야기를 하는 이유는, 문학작품이나 영화나 같은 구조를 공유하고 있음을 이야기하기 위함이다. 가장 예시를 들기 쉬운 영화를 들자면, 영화감독의 입장에서 평균 2시간이나 되는 시간동안 관객의 관심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어떤 방법을 써야 할까? 기본에 충실한 탄탄한 내러티브, 스토리의 힘 등이 답이 될 수 있겠다. 그래서 그 탄탄한 내러티브를 어떻게 만드느냐? 답을 할 수 있어야 한다. 


타이타닉 - 배라는 고립된 공간에 계층이 다른 주인공들이 갇혀있내.

에일리언 - 우주선에 인간과 외계인이 갇혀있내.

스피드 - 달리는 버스안에 폭탄과 경찰이 갇혀있내.

시티오브갓 - 답 없는 도시에 마약상끼리 갇혀있내. 

노예 12년 - 흑인이 백인우월주의 도시에 갇혀버렸내.


더 예시를 들 필요는 없는 듯하다. 뇌를 간지럽히는, 다음 장면을 궁금하게하는, 강렬한 긴장감을 어떻게 부여할 것인가?

드러나는 것은 공간의 구조다. 닫힌계에 밀도를 걸면 이야기는 술술 전개된다. 질의 감각을 획득하기다. 에일리언보다

시티오브갓이나 노예 12년에 더 점수를 준다면, 그것은 작품의 이야기와 관객이 통하기 때문이다. 한국인이라면

몰라도 남미인이나 흑인이라면 느끼는 그런거 있겠다. 작품안의 긴장이 작품바깥의 관객의 일상에서 느낀 긴장과 

연결되기 때문이다. 소실점 바깥에 소실점 하나 더 찾기다.


그래서 결론은...? 일상속의 타자성을 깨닫기. 지구라는 닫힌계 안에 트럼프와 갇힌 처지. 깨달음의 구조안에 갇힌 처지.

인생이라는 영화속에 필름은 이미 돌아가고 있다. 뉘라서 벗어날수 있는가? 벗어날수 없다면 영화한편은 찍고 가야지.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3013
2168 가장 뛰어난 사람을 보고 그 나라를 판단해야 한다는데 new 서단아 2024-06-04 93
2167 세계일주를 앞두고.. 지난 8년의 결과물을 공유합니다. 1 강원닮아 2024-06-02 295
2166 상호작용을 늘리는 교사가 되자 이상우 2024-05-24 186
2165 방향전환과 초끈이론 1 서단아 2024-05-23 305
2164 좋은 일과 나쁜 일 이상우 2024-05-23 180
2163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4-05-23 86
2162 성품교육의 허상, 그냥 부모 니 인생이나 잘 살아라. 이상우 2024-05-17 445
2161 chatGPT 옆그레이드 chow 2024-05-15 468
2160 최병인 선생님 전시회 밀 image 5 김동렬 2024-05-13 545
2159 이제는 학교도 망하고 아이들도 망가진다. 이상우 2024-05-10 566
2158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4-05-08 179
2157 시민의회 소식 수원나그네 2024-05-03 283
2156 나치 시절 나치에 반대하는 소수 독일인이 있었다면 무슨 정신으로 살아가야합니까 2 서단아 2024-04-30 641
2155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4-04-25 230
2154 문제행동이 심한 학생을 변화시키는 방법이 있을까? 2 이상우 2024-04-24 495
2153 두 가지 곱셈, 기수와 횟수 그리고 서수 chow 2024-04-14 456
2152 나눗셈과 미분의 차이 chow 2024-04-14 497
2151 미분의 비밀 image chow 2024-04-12 699
2150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1 오리 2024-04-10 344
2149 촛불동지께 image 수원나그네 2024-04-09 546